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노 다이스케(정치인)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일본국 제49대 중의원 의원
오노 다이스케
小野泰輔 | Ono Taisuke
파일:오노다이스케(정치인).jpg
출생1974년 4월 20일 (50세)
도쿄도 메구로구
현직제49대 중의원 의원
[ 펼치기 · 접기 ]

학력고다이라시립 고다이라제9소학교 (졸업)
고다이라시립 고다이라제3중학교 (졸업)
카이조 고등학교 (졸업)
도쿄대학 (법학 / 학사)
배우자아내
소속 정당

지역구도쿄 1구도쿄 7구
의원 선수1 (중)
의원 대수49[1]
약력액센츄어 직원
후지시마 마사유키 중의원 의원 비서
구마모토현 부지사
중의원 의원 (제49대)

[1] 석패율제 당선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정치인.


2. 생애[편집]


1974년 4월 20일 도쿄도 메구로구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효고현으로 이사하여 고다이라시에 정착했다. 고다이라시립 고다이라제9소학교와 고다이라시립 고다이라제3중학교, 카이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9년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액센츄어에 입사했다.

2000년부터 2년간 자유당 소속의 후지시마 마사유키의 중의원 의원 비서직을 맡았고, 이후 2008년까지 다른 회사에서 근무했다.

2008년, 대학에서 인연을 맽은 가바시마 이쿠오가 구마모토현지사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어 정책에 관여하기 시작해, 2012년엔 당시 전국 최연소 부지사로 임명되어 공무원을 맡았으나, 2015년에 폐암이 발견되어 절제 수술을 받고 다음 해에 공무에 복귀했다. 같은 해에 가바시마가 재선됨에따라 연임되었다.

2020년에도 부지사직을 연임할 생각이었으나, 가바시마로부터 "부지사는 한 번만 연임하는게 적당하다"는 말을 들어 연임을 포기했고, 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개표 결과 4위로 낙선했다.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 유신회의 공천을 받아 도쿄도 제1구에 입후보했다. 개표 결과 야마다 미키가이에다 반리에게 밀려 3위로 낙선했으나, 석패율제 구제를 받아 당선되어 국정에 진출했다.

2022년, 제50회 중원선에서 도쿄도 제7구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하기로 결정했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2020 - 2021정계 입문


2021 -입당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20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도쿄도
무소속

612,530 (9.99%)낙선(4위)
202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도쿄 1구

60,230 (23.70%)낙선(3위)
석패율제 당선
초선


5. 둘러보기[편집]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

일본유신회
제49대 중의원 의원
||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무라 류나나카쓰카 히로시다카하시 히데아키모리야마 다다시미노베 데루오
미사키 마키미키 게바바 노부유키사와다 료소라모토 세이키
스기모토 가즈미스미요시 히로키아다치 야스시아베 쓰카사아베 히로키
아사카와 요시하루아오야기 히토시아와타니 료헤이아카기 마사유키야마모토 고세이
에카와 기요시게엔도 다카시엔도 료타오노 다이스케오쿠시타 다케미쓰
와타 유이치로요시다 도모요우라노 야스토우루마 조지이노우에 히데타카
이치무라 고이치로이치타니 유이치로이케시타 다쿠이케하타 고타로이토 노부히사
하야사카 아쓰시하야시 유미호리바 사치코호리이 겐지후지마키 겐타
후지타 후미타케





도쿄도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0 15:42:49에 나무위키 오노 다이스케(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