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메니아 항공

덤프버전 :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ta-hash-start=w-9d702ffd99ad9c70ac37e506facc8c38[[파일:북한 국기.svg 북한ta-hash-start=w-d2c1295f655a2d436edda96084211820[[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d83a3ece517109abe8c5127136eb6145[[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고려항공 로고.svg
ta-hash-start=w-cb94aaf0b2c6b5f1e466536643548ed9[[파일:중국 국기.svg 중국ta-hash-start=w-4bea6954f150dffe36b732708adb1a2b[[파일:대만 국기.svg 대만ta-hash-start=w-076fea007d19592983b2da7f5c2d3631[[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ta-hash-start=w-7105f7f2eff89eb19fc9014f6baa257a[[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
ta-hash-start=w-514148c3be109fdff881552c506e22cd[[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ta-hash-start=w-82367463300c6d423d4bf86699b0d20b[[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싱가포르ta-hash-start=w-87a6f9a7b759a6d0282612c014a33b0c[[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브루나이
파일: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로고.svg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
카자흐스탄ta-hash-start=w-5b2f16e950daeab64b597227513d743b[[파일:인도 국기.svg 인도ta-hash-start=w-cd7d8dd9b2914d0c899f8abe2873c37d[[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ta-hash-start=w-94d231f11cdc1fae024849f33f7a7156[[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파일:네팔항공_2023로고.png
방글라데시ta-hash-start=w-3f0941f2242f018fcfe495851e2d2652[[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
파일:드루크 항공 로고.svg
파일:스리랑카 항공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
파키스탄ta-hash-start=w-24b8238ed3a342bd6ade866de537a029[[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ta-hash-start=w-9db6faeef387dc789777227a8bed4d52[[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 로고.svg
파일:중동항공 로고.svg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 영문.svg
ta-hash-start=w-97d18cc9bf0601b596bca54c5d25a160[[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ta-hash-start=w-9f0fbe2d01a47e6e652d84e4f1fd0b89[[파일:오만 국기.svg 오만ta-hash-start=w-c4c36e598d4ed6a24e057248a0b68b1f[[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cd36a187d608a900c08ca7d480361e79[[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스라엘ta-hash-start=w-1a5b3ea32ec9b15779a8d133ec844fde[[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엘알 이스라엘 항공 로고.svg
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svg
아프가니스탄ta-hash-start=w-973bc36f4729330b7993f2fdb1a7f9e7[[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ta-hash-start=w-6548cf02964800e58014e5040bb14e01[[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svg
파일:걸프에어 로고.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30607b4dd43c83cd567bfe8dd3823e37[[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ta-hash-start=w-9ce57f597f4d21293056fde3d665bbda[[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시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몰디비안 로고.svg




예메니아 항공
Yemenia Airways | اليمنية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svg
부호항공사 호출 부호 (YEMENI)
IATA (IY) ICAO (IYE)
항공권 식별 번호635
설립 연도1962년
허브 공항사나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5
취항지 수11
항공 동맹미가입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취항지
4. 사건 사고
5. 보유 항공기
6. 여담



1. 개요[편집]


예메니아는 예멘의 국영 항공사이자 플래그 캐리어다.

2. 역사[편집]


예멘 왕국에서 1940년대 예멘항공(Yemen Airlines)으로 출범시켰으며, 1962년 북예멘(예멘 아랍 공화국)이 세워진 해, 공기업이 되었다. 1967년부터 1972년까지 아랍 연합 공화국아랍 연합 항공과 협력 관계를 맺어 예멘 아랍 항공이라 불리기도 했었다.

1972년 국유화되어 예멘 항공 공사가 되었고 DC-6DC-3로 카이로, 제다, 쿠웨이트등에 취항했다. 또한 월드 에어웨이즈에서 보잉 737-200 2기를 리스했다. 1977년 북예멘 정부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51 대 49로 새로운 항공사를 설립했고 이 항공사가 예메니아 항공이 되었다. 이후 보잉 707, 보잉 727등의 비행기를 도입해 아테네, 런던, 프랑크푸르트등의 유럽 도시와 두바이, 제다, 샤르자등의 중동 도시들까지 노선망을 확대했다. 1990년 예멘 통일 이후 구 남예멘플래그 캐리어인 알옘다(Alyemda) 항공을 합병하기위한 계획을 세웠으며 1996년 알옘다를 완전히 합병했다.

2002년 보잉 737-800을 리스했으며 2004년에는 A330을 리스해 도입했다. 하지만 열악한 유지 보수 능력으로 인해 2009년, 2기의 A310의 감항증명이 취소되었다. 2015년, 예멘 내전 도중 사우디군의 개입으로 허브 사나 국제공항이 큰 피해를 입었고 이로인해 현재까지 여러 차례 운항을 중지와 재개를 반복하고 있다.

3. 취항지[편집]


국가취항지
지부티지부티
이집트카이로
에티오피아아디스아바바
요르단암만
수단하르툼
아랍에미리트두바이
예멘아덴 · 사나 · 세이윤 · 소코트라 · 무칼라

4. 사건 사고[편집]


  • 1985년 예멘항공 C-47 추락 사고
  • 1969년 예멘항공 C-47 추락 사고
  • 1971년 예멘항공 C-47 추락 사고
  • 2000년 예메니아 항공 보잉 737 활주로 이탈 사고
  • 2001년 예메니아 항공 보잉 727 활주로 이탈 사고
  • 2007년 예메니아 항공 DHC-6 총격 사건
  •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 사고


5. 보유 항공기[편집]


  • 에어버스
    • A320-200 4기
    • A330-200 1기

6. 여담[편집]


펠릭스 에어와 코드셰어를 하고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0:53:22에 나무위키 예메니아 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