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산역(호남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부산 도시철도의 연산역에 대한 내용은 연산역(부산) 문서
연산역(부산)번 문단을
연산역(부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연산역
목포·광주 방면
논 산
11.2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Yeonsan
한자連山
간체자连山
가나連山(ヨンサン
주소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선비로275번길 31-2 (청동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
(서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운영 기관
호남선한국철도공사
개업일
호남선1911년 7월 10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승강장 구조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연 산

連山驛 / Yeonsan Station

파일:연산역(호남선).jpg
현 역사(1957년 준공)

1. 개요
2. 역사
3. 급수탑
4. 승강장
5. 일평균 이용객
6. 시간표
7. 여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첨성대를 닮은 국내 최고령 급수탑

연산역은 1911년 7월 호남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0년 10월 16일 공비피습으로 역사가 소실된 바 있으며 현재의 역사는 1957년에 벽돌조 기와 단층으로 준공하였다. 역 근처에 고급술집, 양복점, 한약방, 아이스크림 공장 등이 자리했을 만큼 번화한 곳으로 대전, 논산으로 통학을 하는 학생들의 이용도 많았다. 그 많은 승객 때문에 양정고개에서 기차가 멈춰서면 승객들이 내려 걸어가기도 했다고 한다. 1911년 세워진 연산역 급수탑은 1970년대까지 증기기관차에 급수를 해주던 시설이다. 출입구의 이맛돌이 매우 정교하게 쌓여져 있으며, 우리나라에 남은 급수탑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으며 건축학적 미적 보존가치가 높아 2003년 등록문화재 제48호에 지정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철도역.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선비로275번길 31-2 (청동리 127-74) 소재.

연산면 소재지인 청동리에 있는데, 특이하게도 청동리보다는 이웃한 연산시장이 있는 연산리가 더 번화하다.


2. 역사[편집]


1957년 7월 18일에 현재의 역사가 완공되었으며 2003년 1월 8일에 이 역의 급수탑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90년대 중반엔 이래봬도 특실전용 무궁화호가 정차하던 역이었다. 하필 논산역과 같이 서던 열차라서 논산역에 내리실 손님께서는 다음 역에서 하차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방송을 넣었다는 일화도 존재한다.

2004년 4월 1일부터 새마을호가 정차했지만 6월 22일부터 다시 통과역이 되었다.

하루에 무궁화호가 11회 정차하고 있다. 농촌 인구 감소로 지속적으로 이용객이 감소해 왔으나 2007년 3월부터 어린이 일일 역장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8월부터 전 연령층으로 확대했다. 포토존으로 KTX가 떡하니 자리하고있다. 그 덕분인지 이용객은 2007년을 기점으로 반등해 2013년에는 2006년과 비교해 2배 이상으로 다시 늘어나 하루 평균 100명 정도가 이용한다.

2013년에 들어서 철도 동호인들의 개입으로 철도 관련 축제가 주로 이곳에서 벌어졌다. 2013년 5월 11일에는 철도 청소년문화제를 이곳에서 했으며 2013년 7월 27일에는 철도모형엑스포가 개최되었다.

손현주의 간이역 5번째 촬영지로 지정되었다.

2022년 8월 24일 최종 발표된 호남선 서대전역~논산역 구간 직선화 계획에서 계룡역논산역을 직선으로 잇는 선형이 채택되면서 이 역은 무궁화호를 비롯한 일반열차는 정차하지 않게 되며, 충청권 광역철도만 정차하게 될 예정이다. 관련 기사


3. 급수탑[편집]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47호48호49호
추풍령역 급수탑연산역 급수탑안동역 급수탑

파일:external/www.heritage.go.kr/img_transportation_04.jpg
* 연산역 급수탑 (등록문화재 제48호) 출처

연산역의 급수탑은 1911년 12월 30일에 건립된 원통형 급수탑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급수탑 중 가장 오래되었다. 콘크리트가 아닌 화강암 석재를 쌓아올려 만든 특이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상단 물탱크 부분은 철제로 되어 있다.


4. 승강장[편집]


계룡
1234
논산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무궁화호
비고
2004년54명
2005년55명
2006년50명
2007년62명
2008년91명
2009년71명
2010년83명
2011년113명
2012년107명
2013년119명
2014년116명
2015년107명
2016년93명
2017년92명
2018년99명
2019년104명
2020년38명
2021년43명
2022년67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6. 시간표[편집]


무궁화호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49무궁화1462서대전
09:05무궁화1502용산
09:52무궁화1402용산
14:55무궁화1444용산
16:06무궁화1504용산
19:05무궁화1404용산
21:00무궁화1506용산

무궁화호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8:18무궁화1501여수엑스포
12:12무궁화1441익산
14:57무궁화1503여수엑스포
18:46무궁화1423광주


7. 여담[편집]


  • 특이하게 네이버 카페를 통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이곳.
  • 손현주의 간이역 5번째 촬영지로 지정되었으며 2022년 4월 24일 방영되었다.
  • 1000원에 기념입장권 발권이 가능했으나 무료입장이 가능해지면서 더이상 발권하지 않는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3:52:22에 나무위키 연산역(호남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