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만 유카리가오카선

덤프버전 : (♥ 0)

간토 대중교통
[ 펼치기 · 접기 ]

JR 동일본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도호쿠·조에츠·호쿠리쿠 신칸센
JR 도카이
도카이도 신칸센
대형 사철도부 철도세이부 철도케이세이 전철케이오 전철
도큐 전철케이큐 전철도쿄메트로오다큐 전철
사가미 철도
준대형 사철신케이세이 전철
중소 사철사이타마 고속철도수도권 신도시 철도토요 고속철도도쿄 임해고속철도
요코하마 고속철도모오카 철도야간 철도와타라세 계곡철도
카시마 임해철도히타치나카 해안철도이스미 철도에노시마 전철
시바야마 철도호쿠소 철도③㋙칸토 철도코미나토 철도
조모 전기철도오다큐 하코네나리타 공항 고속철도③㊂㋙류테츠
조신 전철쵸시 전기철도치치부 철도이즈하코네 철도
모노레일·슬로프카·신교통타마 도시 모노레일③㋖치바 도시 모노레일③㋖요코하마 시사이드라인③㋖사이타마 신도시 교통
유리카모메우츠노미야 라이트레일③㋖쇼난 모노레일도쿄 모노레일
마이하마 리조트라인야마만(유카리가오카선)아스카야마공원 모노레일곤탄
강삭철도·케이블카츠쿠바 관광철도타카오 등산전철미타케 등산철도오야마 케이블카
노코기리야마 로프웨이프린스 호텔키누가와온천 로프웨이아케치다이라 로프웨이
나스 로프웨이이카호 로프웨이닛코 시라네야마 로프웨이타니가와다케 로프웨이
하루나산 로프웨이호도산 로프웨이요미우리랜드 스카이셔틀센요 흥업
버스·BRT요코하마 교통개발이바라키 교통가나가와 중앙 교통카시테츠 버스
도큐 버스오다큐 버스오다큐 시티 버스케이세이 버스
도큐 트란세케이오 버스케이큐 버스타치카와 버스
니시토쿄 버스치바 교통도쿄공항교통도쿄 BRT
국제흥업버스에노덴 버스닛토 교통칸에츠 교통
국제 중앙 교통쿠주쿠리 철도신케이세이 버스간토 자동차
헤이와 교통치바 중앙버스치바 내륙버스치바 시내버스
니시자키 관광닛코 도부 버스
공영 교통도영 교통 (도쿄도 교통국)도에이 지하철, 도영 버스, 도쿄 사쿠라 트램, 닛포리·토네리 라이너, 우에노 동물원 모노레일
요코하마시 교통국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요코하마 시영 버스
공항도쿄(하네다)HND도쿄 나리타NRT이바라키IBR오시마OIM
※ ③: 제3섹터 사업자 / ㋖: 궤도 및 궤도경영업자 / ㊂: 제3종 철도사업자 / ㋙: 상위 사업자의 자회사



파일:Yamaman_Wlogo.png
ユーカリが(おか(せん
Yūkarigaoka Line | 유카리가오카선
파일:Yamaman1000-2.jpg

야마만 1000형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경전철
기점유카리가오카역
종점코엔역
역 수6
개업일1982년 11월 2일
소유자파일:Yamaman_logo.png
야마만
운영자
사용차량야마만 1000형 전동차
차량기지유카리가오카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4.1km
안내궤조중앙안내식
선로구성단선
사용전류직류 750V
신호방식ATS
최고속도50km/h
개통 연혁1982. 11. 2. 유카리가오카츄갓코
1983. 9. 22. 츄갓코코엔

파일:Yukarigaoka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유카리가오카선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1. 개요
2. 역 목록



1. 개요[편집]


부동산 회사 야마만(山万)이 운영하는 신교통 시스템(경전철) 노선으로, 1979년부터 자사에서 직접 택지로 개발한 유카리가오카 뉴타운의 교통 수요 공급 및 택지지구 주민복지 차원을 위해 개설하였다. 그 동안 제3섹터 형식으로 지어져 왔던 신교통 시스템과는 달리, 일본에서 둘밖에 없는 순수 민간 자본으로 지어진 신교통 시스템이다.# (나머지 하나는 세이부 야마구치선)

1982년 유카리가오카에서 츄갓코(중학교)까지 개업하였으며, 이듬해 츄갓코-코엔 구간이 개업하였으며, 1992년에는 치쿠센터역이 개업하였다.

모든 열차는 1인승무를 실시하며, 운행 형태는 월미바다열차와 동일하게 유카리가오카역에서 코엔역까지 간 다음 루프 구간을 돌아 다시 코엔역을 거쳐 유카리가오카에서 종착하는 형태이다.

이 노선은 Suica, PASMO 교통카드가 통하지 않는다. 이용시 주의할 것. 그래서 유카리가오카 연선에서는 마그네틱 정기권을 자주 이용한다. 1990년대부터 도입한 오므론사의 S-PG 자동개집표기[1]지금까지 사용중인데 노후화[2]로 인해 표준규격 IC카드 시스템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리고 2018년 8월부터 심야 시간대에 루프 구간의 개찰기와 매표기를 끄고 승무원이 직접 검표하거나 요금을 정산(=신용승차)한다.참고 또한, 신 500엔도 매표기 노후화와 관련된 문제로 못 쓴다.

또한 이 노선을 달리는 야마만 1000형 전동차냉방장치가 없다.[3] 에어콘 뿐만 아니라 선풍기도 없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부채와 아이스백 안의 물수건을 비치하고 있다고... 이마저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방지를 위해 당분간 제공이 중지된다. 시승후기 심지어 영상 안에 있는 광고에서는 대놓고 레트로삘을 강조한다(...). 그러나 엉뚱한 곳에서 첨단화가 이뤄지고 있는데 파나소닉과 협조하여 2021년 안면인식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에어컨, 교통카드부터 좀

토카다이 신교통이 망할 때 야마만에서 토카다이의 열차를 싸게 사오려고 했으나, 유카리가오카선의 차량 규격이 더 좁아서 무산되었다.[4]

시스템 개선이나 차량 교체도 검토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계획은 아니다.

2. 역 목록[편집]



야마만 유카리가오카선
역명km환승노선
유카리가오카
ユーカリが丘
0.0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본선(KS33)
치쿠센터
地区センター
0.6
코엔
公園
1.1
죠시다이
女子大
2.0
츄갓코
中学校
2.8
이노
井野
3.6
코엔
公園
4.1
치쿠센터
地区センター
4.6
유카리가오카
ユーカリが丘
5.2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본선(KS3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1:38:28에 나무위키 야마만 유카리가오카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0년대 초반 삼성SDS가 일본에서 수입한 물건이 바로 이거다. 한국철도공사의 일부 전철역, 서울교통공사 6, 7호선 역에서도 가끔 볼 수 있다.[2] 다른 철도사업자들은 자동개집표기를 10~15년 마다 교체하지만, 유카리가오카선에서는 1990년대 초반 설치한 이래 30년 넘게 계속 사용하고 있다.[3] 사실 여기와 비교하는 것도 에러인 것이, 삿포로 지하철이 있는 삿포로는 저 멀리 북쪽에 있는 홋카이도에 있는 도시로 가장 더운 8월 평균 기온도 22.8℃밖에 안 된다. 에어컨이 필요없는 환경에 가깝다.[4] 토카다이 신교통과 야마만 유카리가오카선은 같은 기술을 토대로 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