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코스 1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통합 오드뤼사이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테레스 1세시탈케스세우테스 1세아마도코스 1세
제5대제6대제7대
세우테스 2세헤브리젤미스코티스 1세
서부 오드뤼사이 왕국
초대제2대
베리사데스케트리포리스
중부 오드뤼사이 왕국
초대제2대
아마도코스 2세테레스 2세
동부 오드뤼사이 왕국
초대
케르소블렙테스
오드뤼사이 왕국의 부흥기
초대제2대
세우테스 3세로이고스
오드뤼사이-사파이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코티스 1세레스쿠포리스 1세코티스 2세로메탈케스 1세
제5대제6대제7대
레스쿠포리스 2세안토니아 트뤼파이나로메탈케스 3세
코티스 3세로메탈케스 2세피토도리스 2세




오드뤼사이 제4대 국왕
아마도코스 1세
Ἀμάδοκος
파일:아마도코스 1세.jpg
출생생년 미상
사망기원전 390년 이후 (향년 ?세)
재위기간오드뤼사이 국왕
기원전 411년 ~ 기원전 390년 이후
(?년)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스파라도코스
어머니 미상
배우자미상
자녀헤브리젤미스
형제자매세우테스 1세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오드뤼사이 왕국 4대 국왕.


2. 생애[편집]


아이소크라테스의 기록에는 "트라키아의 전 왕 아마도코스"를 거론하며, 크세노폰아나바시스에는 트라키아의 "현재 군주" 아마도코스가 기술되어 있다. 테오폼포스의 남아있는 기록에는 아마도코스라는 이름의 왕 2명이 트라키아를 다스렸다고 기술되었다. 한편, 기원전 405년 아이고스포타모이 해전 때 아테네 해군에 접근한 알키비아데스가 "나는 트라키아 왕 메도쿠스와 세우테스를 친구로 두고 있다"라고 자랑했다. 역사학계는 알키비아데스가 거론한 메도쿠스가 아마도코스 1세와 동일인물일 거라 추정한다.

그는 마로네이아의 조폐국에서 은화와 동화를 주조했으며, 아테네인들과 우호 관계를 맺고자 노력했다. 알키비아데스는 트라키아에 그와 세우테스 2세가 왕으로 군림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이에 따르면 이 시기에 오드뤼사이 왕국은 둘로 쪼개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그의 권위가 세우테스 2세보다 앞섰던 것으로 보인다. 크세노폰은 용병대장으로서 세우테스 2세를 도운 적이 있었는데, 자신의 저작 아나바시스에서 그를 아마도코스 1세의 군주이자 보호자로 묘사했다. 그러면서 그가 해안에서 12일 정도 떨어진 내륙 지역에 거주한다고 기술했다. 이로 보건대, 트라키아 내륙 지역은 그가 다스렸고 해안 지역은 세우테스 2세가 다스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와 세우테스 2세는 한동안 공존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정치적 이해관계 차이로 인해 마찰을 벌이다 나중에는 전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그러던 기원전 390/389년, 아테네 장군 트라시볼로스가 둘을 중재해 세우테스 2세가 그의 권위를 인정하는 대가로 트라키아 해안 지대의 지배를 인정받았다. 그는 평화 협약을 맺은 지 몇년 후 사망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사후 헤브리젤미스가 왕위를 물려받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21:26:31에 나무위키 아마도코스 1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