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로공주

덤프버전 : (♥ 0)




신라 혁거세 거서간의 왕녀
아로공주 | 阿老公主
생몰년미상
본관밀양 박씨
아로(阿老)
부왕혁거세 거서간
모후알영부인
형제자매오빠 - 남해 차차웅
별칭아로공주(阿老公主)[1]
1. 개요
2. 생애
2.1. 신라 최초의 제사장
3.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신라의 초대 국왕 혁거세 거서간과 왕비 알영부인의 딸.


2. 생애[편집]



2.1. 신라 최초의 제사장[편집]


6년(남해 차차웅 3), 동복형제 남해 차차웅의 명령으로 아버지 혁거세 거서간의 사당에 1년에 4번씩 정기적으로 지내는 제사를 주관하게 되었다.[2]

이러한 삼국사기의 아로공주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울산대학교의 나희라 연구교수는 신라 초기에는 여성이 제사를 담당했지만, 시대가 흐를수록 남성에게 제사권이 넘어갔을 것으로 추측했다.[3]

또한 제사를 주관했다는 점에서 이세 신궁무녀와 역할이 비슷한데,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사망할 때까지 독신으로 산 것으로 추측할 수도 있다.[4]


3. 대중매체에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9:03:10에 나무위키 아로공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서 원문에는 공주(公主) 작위를 붙이지 않고 그냥 '아로(阿老)'라고만 칭하지만, 신라에 명칭이 비슷한 여성들이 2 더 있기 때문에 후대에 와서는 이들과의 구분을 위해 공주를 붙여 표기한다.[2] “신라의 종묘 제도는 다음과 같다. 제2대 남해왕 3년(서기 6) 봄에 처음으로 시조 혁거세사당을 세우고 사계절에 맞추어 제사를 지냈는데, 친여동생 아로로 하여금 제사를 주관하게 하였다.” - ≪삼국사기≫ 제사지 中[3] 「신라초기 왕의 성격과 제사」 (나희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4] 그러나 신라와 일본의 문화가 서로 완벽히 일치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확실하게 단정지을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