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MRT 동북선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정치정치 전반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싱가포르 정부(공무원) · 싱가포르 국회 · 탐오조사국
외교외교 전반 · 싱가포르 여권 · 영연방 · ASEAN· TPP · IPEF · APEC · 영미권 · 말레이권 · 중화권 · 미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한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싱가포르 관계 · 홍콩-싱가포르 관계 · 일본-싱가포르 관계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싱가포르 관계 · 싱가포르 비자
경제경제 전반 · 싱가포르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테마섹 · 싱가포르 거래소 · OCBC · 싱가포르 텔레콤 · 싱가포르 포스트 · 블루힐릭스
국방싱가포르군(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 · 싱가포르 경찰청 · 싱가포르 주재 미군 · 싱가포르 주재 영국군 · 파야르바르 국제공항 · 셀레타 공항
교육다중언어 · 싱가포르 국립대학 · 난양 공과대학교 · 싱가포르 경영대학 ·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
문화언어 · 종교 · 교육 · 사회 · 요리(싱가폴 슬링)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중국어(표준중국어 · 호키엔어 · 광동어 · 객가어) · 영어 · 싱가포르식 영어 · 마인어 · 타밀어 · 미디어코프 · CNA · 연합조보 · 싱가포르 영화 · 싱가포르 엑스포 · 한자(간체자 · 정체자)
인물리콴유 · 리셴룽
교통싱가포르 창이 공항 · 셀레타 공항 · 항공사(싱가포르항공 · 스쿠트 항공 · 제트스타 아시아 · 실크에어) · 싱가포르 항만 공사 · 싱가포르 MRT(싱가포르 LRT) · 말레이 철도 · SMRT · SBS Transit · 우드랜즈 역
관광관광
민족싱가포르인(중국계 싱가포르인 ·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베트남인)
기타싱가포르 주택개발청




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
파일:c651e.jpg
North East MRT line
新加坡地铁东北线
싱가포르 MRT 동북선
노선 명
[ 펼치기 · 접기 ]

영어North East MRT line
말레이어Laluan MRT Timur Laut
정체자東北地鐵線
간체자东北地铁线
타밀어வடக்கு கிழக்கு எம்ஆர்டி வழி

노선 정보
소유자파일:Land Transport Authority 로고.svg
운영기관파일:SBS Transit 로고.svg
분류MRT
노선 기호NEL
상징색
보라색 (#9900AA)
개업일2003년 6월 20일
구성 노선싱가포르 MRT 동북선
사용차량싱가포르 MRT C751A형 전동차
싱가포르 MRT C751C형 전동차
싱가포르 MRT C851E형 전동차
차량기지셍캉 차량기지
노선 제원
영업거리20.0 km
궤간1,435 mm
역 수16[1]
사용전류직류 1500 V 가공전차선[2]
신호방식CBTC / ATC / ATO
최고속도90 km/h
표정속도36.4 km/h
지상구간없음(전 구간 지하)[3]
개통연혁2003.6.20 하버프론트 ~ 풍골[A]
2006.1.15 부앙콕
2011.6.20 우들리
개통예정2024 풍골 코스트
명칭 불명 NE2 역


1. 개요
2. 차량
3. 노선
4. 연장 계획
5. 주행 영상




1. 개요[편집]


싱가포르 MRT의 한 노선으로 노선색은 보라색이다.[4] MRT 동북선(North East Line)은 싱가포르 남부 하버프론트 역에서 동북부에 있는 풍골역까지를 운행하는 노선이다. SBS Transit가 운영하는 지하철이다.[5]

이 노선은 세계 최초로 지하철 부분에서 전 구간 무인운전을 실시하였다. 이후 무인운전은 싱가포르 MRT 2기 전체로 확대되었다.

역 안내 방송이 영어로만 나오는 다른 노선과는 달리 동북선은 영어, 표준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가 순서대로 모두 나온다. 다른 싱가포르 MRT 노선들이 모두 제3궤조집전식을 채용하는 가운데, 혼자서 가공전차선을 채용한 노선이기도 하다. 대신 역 구내에서의 안내방송은 없는데 이것은 어차피 다른 곳들도 마찬가지다.

차이나타운, 클락키, 리틀 인디아, 하버프론트 등 알짜배기 지역들을 모두 지나간다. 이 노선이 개통되기 전까지 차이나타운은 동서선 우트램 파크와 탄종파가 역에서 짤없이 오래 걸어야 했고, 리틀 인디아도 동서선 부기스와 남북선 도비고트에서 버스로 환승해야 했으며 하버프론트와 클락키는 짤없이 버스로 가야 했으나 이 노선이 개통되자 지하철이 모두 닿아 편리해졌다.

파일:nel19861996.jpg
1984년경에 풍골과 잘란 카유 지역을 가는 노선이 거론될 때 계획되었다.

원래는 세랑군 에서 풍골은 지상 고가구간으로 개통될 예정이었는데 결국에는 지하화돼서 개통되었다.

결국, 잘란 카유 지선 역시 개통되지 못했으며 플라우 우빈과 플라우 테콩 구간 역시 백지화되었다. 다만 개통되었더라도 플라우 우빈만 민간인이 갈 수 있었을 것이고 풀라우 테콩은 민간인 출입 통제 지역으로 싱가포르군 소속 군인 및 군무원만 갈 수 있는 곳이었을 것이다.[6] 플라우 우빈 구간은 아마도 자연 관광 등을 즐기는 사람들이 주로 가는 곳이었을 거다.

원래 1990년대 중~후반에 완공되어야 했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2003년에 개통했다. 또한 시내와 세랑군 로드 부분이 먼저 개통하고 위쪽의 호우강, 부앙콕, 풍골 구간은 나중에 개통하는 식이었으나 결국 2003년에 전 구간이 일괄 개통되었다.

2020년 하루 평균 이용객은 230,852명 정도다.[7]

1990년대까지만 해도 지하철 사각지대이던 곳들을 모두 뚫어주는 아주 편리한 노선이라 인기가 많다. 특히, 싱가포르의 서북쪽 끝과 동남쪽 끝은 이 노선 하나만이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차량[편집]


파일:C751A-stock-photo-1024x683.jpg파일:c751c-exterior.jpg
알스톰 메트로폴리스 C751A형 차량 , 동북선에 25 편성 운행 중알스톰제 상하이 알스톰 메트로폴리 C751C형 차량 ,동북선에 18 편성 운행 중
파일:c851en-bg.jpg
알스톰제 C851E형 차량 동북선에 6 편성 운행준


3. 노선[편집]


파일:NEL-Split-SM-Up-to-TEL2-01.png

역번호한국어 역명영어/말레이어 역명중국어 역명타밀어 역명환승노선비고
동북선 - 2003년 6월 20일 개통
NE1하버 프론트 역Harbour Front港湾துறைமுகம்CCL 서클선
NE3우트램 파크 역Outram Park欧南园ஊட்ரம் பார்க்EWL 동서선
TEL 톰슨-이스트코스트선
NE4차이나 타운 역Chinatown牛车水சைனாடவுன்DTL 다운타운선
NE5클락 키 역Clarke Quay克拉码头கிளார்க் கீ
NE6도비 곳 역Dhoby Ghaut多美歌தோபி காட்NSL 남북선
CCL 서클선
NE7리틀 인디아 역Little India小印度லிட்டில் இந்தியாDTL 다운타운선
NE8파러 파크 역Farrer Park花拉公园ஃபேரர் பார்க்
NE9분 켕 역Boon Keng文庆பூன் கெங்
NE10포통 파시르 역Potong Pasir波东巴西போத்தோங் பாசிர்
NE11우들리 역Woodleigh兀里உட் லீ2011년 6월 20일에 개통했다.
NE12세랑군 역Serangoon实龙岗சிராங்கூன்CCL 서클선
NE13코반 역Kovan高文கோவன்
NE14호우강 역Hougang后港ஹவ்காங்CRL 크로스 아일랜드선동사 버스터미널로 환승 가능
NE15부앙콕 역Buangkok万国புவாங்கோக்2006년 1월 10일에 개통했다.
NE16셍캉 역Sengkang盛港செங்காங்SKLRT 셍캉선
NE17풍골 역Punggol榜鹅பொங்கோல்PGLRT 풍골선
동북선 풍골 북부연장 - 2023년 개통 예정
NE18풍골 코스트Punggol Coast榜鹅海岸பொங்கோல் கோஸ்ட்2024년 개통 예정


4. 연장 계획[편집]


2013년 7월에 북쪽 방향으로 풍골 역에서 풍골 북부의 풍골해변역 까지의 연장이 발표되었다. 완공은 2024년으로 예정되어있다.



5. 주행 영상[편집]


풍골 → 하버프론트 운행 영상
하버프론트 → 풍골 운행 영상


[1] 역수가 MRT 중에서는 적다.[2] 카테너리가선[3] 원래는 호우강 역 부터 지상구간으로 지으려 했다.[A] 우들리, 부앙콕 제외[4] 3호선[5] 한국의 SBS와는 무관하다. 1970년대쯤부터 Singapore Bus Service의 약자인 SBS로 알려졌으니 이쪽이 더 오래된 듯 하다.[6] 왜냐하면 테콩 섬 전체가 싱가포르군이 통제하는 군사기지로 여기에서 기초군사훈련을 실시하는 훈련소가 있어서이다. 사관후보생 양성학교와 부사관후보생 양성학교도 여기에 있다. 플라우 테콩 구간을 계획한 목적이 플라우 테콩에서 근무하는 군인 및 군무원의 출퇴근과 훈련소에 입소하는 훈련병들의 수송을 위한 것이었다.[7]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거의 같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1:59:40에 나무위키 싱가포르 MRT 동북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