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 0)

교토 애니메이션 작품
풀 메탈 패닉! The Second Raid
2005년 3분기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006년 2분기
Kanon
2006년 4분기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006)
涼宮ハルヒの憂鬱
파일:스즈미야하루히의우울_애니1기.jpg
작품 정보 ▼
장르학원, 연애, SF
원작타니가와 나가루
구성협력
원작 일러스트이토 노이지
캐릭터 원안
총감독스즈미야 하루히
감독이시하라 타츠야
시리즈 연출야마모토 유타카
시리즈 구성스즈미야 하루히와 유쾌한 동료들
캐릭터 디자인이케다 쇼코
총 작화감독
미술 감독타무라 세이키(田村せいき)
색채 설계이시다 나오미(石田奈央美)
촬영 감독타나카 토시코(田中淑子)
편집시게무라 켄고(重村建吾)
음향 감독츠루오카 요타
음악코우사키 사토루
녹음 스튜디오스튜디오 공(スタジオごんぐ)
아오이 스튜디오(アオイスタジオ)
기획 프로듀서야스다 타케시(安田 猛)
이토 아츠시(伊藤 敦)
핫타 히데아키(八田英明)1화
애니메이션 제작교토 애니메이션
제작SOS단
방영 기간파일:일본 국기.svg 2006. 04. 03. ~ 2006. 07. 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01. 11. ~ 2008 .02. 22.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치바 테레비 / (월) 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맥스 코리아 / (금) 22:00
한국 정식발매미라지 엔터테인먼트 (DVD)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14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PV
4. 음악
4.1. 주제가
4.2. 삽입곡
4.3. 클래식 음악
5. 회차 목록
5.1. 본편
5.2. DVD판
6. 방송국 일람
7. 평가
8. 흥행
9. 수상
10. 미디어 믹스
10.1. DVD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지구대세, 하루히즘


일본의 라이트 노벨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2006년판.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 연출 야마모토 유타카, 캐릭터 디자인 이케다 쇼코.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일본 독립 UHF국 계열에서 심야 시간대에 전 14화로 방송되었으며, 2009년 4월부터 10월까지 재방송+신작 14화로 구성된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009)」이 공개되었다.


2. PV[편집]


애니맥스 코리아 예고편


3.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음악[편집]


2000년대 중~후반을 강타한 작품이니만큼 삽입곡들도 유명한 편인데, 특히 노래방에 캐릭터송마저도 엄청나게 실리는 기염을 토했다. 2006년 당시는 물론이고, 10년이 지난 지금도 노래방에 수록된 애니메이션 음악 중 오프닝이나 엔딩곡이 아닌 캐릭터송이 이렇게 대거 수록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더군다나 겨우 1쿨짜리 작품에서, 일본도 아닌 한국 노래방에 10곡 가까운 캐릭터송이 수록된 것이다.


4.1. 주제가[편집]



4.1.1. 1화 OP[편집]




4.1.2. OP[편집]


OP, 14화 ED
冒険でしょでしょ?
모험이겠지. 그렇지?
TV ver.
Full ver.
노래히라노 아야
작사하타 아키
작곡토미타 아키코(冨田暁子)
편곡후지타 준페이(藤田淳平) (Elements Garden)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1.3. ED[편집]


ED
ハレ晴レユカイ
맑고 맑게 유쾌하게
TV ver.
Full ver.
노래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작사하타 아키
작곡타시로 토모카즈(田代智一)
편곡안도 타카히로 (安藤高弘)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ハレ晴レユカ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삽입곡[편집]


TV판ED 스페셜 - 하루히 댄스 풀버전
하루히 댄스 - 해설동화 전편 하루히 댄스 - 해설동화 후편


4.3. 클래식 음악[편집]


  • 교향곡 제7번(쇼스타코비치)
  • 교향곡 제4번(차이콥스키)
  • 교향곡 제8번(말러)
  • 에릭 사티 - 짐노페디 제1번[1]


5. 회차 목록[편집]



5.1. 본편[편집]


회차제목[2]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朝比奈ミクルの冒険 Episode00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야마모토 유타카카도와키 사토시日: 2006.04.03.
韓: 2008.01.11.
제2화涼宮ハルヒの憂鬱 I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1
이시하라 타츠야이케다 쇼코日: 2006.04.10.
韓: 2008.01.11.
제3화涼宮ハルヒの憂鬱 II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
야마모토 유타카키타노하라 노리유키요네다 미츠요시
(米田光良)
日: 2006.04.17.
韓: 2008.01.18.
제4화涼宮ハルヒの退屈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무라모토 카츠히코
(村元克彦)
요시오카 시노부
(吉岡 忍)
이케다 카즈미
아라타니 토모에
日: 2006.04.24.
韓: 2008.01.18.
제5화涼宮ハルヒの憂鬱 III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3
야마모토 유타카사카모토 카즈야호리구치 유키코日: 2006.05.01.
韓: 2008.01.25.
제6화孤島症候群(前編)
고도증후군 (전편)
무라모토 카츠히코요시오카 시노부
아라타니 토모에
요시오카 시노부아라타니 토모에日: 2006.05.08.
韓: 2008.01.25.
제7화ミステリックサイン
미스테릭 사인 Mysteric Sign
죠 이토[3]
(ジョー伊藤)
이시다테 타이치니시야 후토시日: 2006.05.15.
韓: 2008.02.01.
제8화孤島症候群(後編)
고도증후군 (후편)
시모 후미히코아라타니 토모에카도와키 사토시日; 2006.05.22.
韓: 2008.02.01.
제9화サムデイ イン ザ レイン
썸데이 인 더 레인 Someday in the Rain
타니가와 나가루야마모토 유타카키타노하라 노리유키요네다 미츠요시日: 2006.05.29.
韓: 2008.02.08.
제10화涼宮ハルヒの憂鬱 IV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4
이시하라 타츠야이시다테 타이치니시야 후토시日: 2006.06.05.
韓: 2008.02.08.
제11화射手座の日
사수자리의 날
가토 쇼우지타케모토 야스히로호리구치 유키코日: 2006.06.12.
韓: 2008.02.15.
제12화ライブ ア ライブ
라이브 얼라이브 Live Alive
야마모토 유타카야마모토 유타카
카도와키 사토시
야마모토 유타카카도와키 사토시日: 2006.06.19.
韓: 2008.02.15.
제13화涼宮ハルヒの憂鬱 V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5
시모 후미히코키타노하라 노리유키요네다 미츠요시日: 2006.06.26.
韓: 2008.02.22.
제14화涼宮ハルヒの憂鬱 VI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6
이시하라 타츠야이케다 쇼코日: 2006.07.03.
韓: 2008.02.22.

  • 방송일은 모두 치바테레비의 최속방영을 기준으로 계산


5.2. DVD판[편집]


DVD 수록회차제목원작계절
원제번역
제0권01朝比奈ミクルの冒険 Episode00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에피소드006권:동요10월
제1권02涼宮ハルヒの憂鬱 I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1권:우울4~5월
03涼宮ハルヒの憂鬱 II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2권05涼宮ハルヒの憂鬱 III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10涼宮ハルヒの憂鬱 IV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3권13涼宮ハルヒの憂鬱 V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14涼宮ハルヒの憂鬱 VI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제4권04涼宮ハルヒの退屈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3권:무료6월
07ミステリックサイン미스테릭 사인7월
제5권06孤島症候群(前編)고도증후군(전편)
08孤島症候群(後編)고도증후군 (후편)
제6권12ライブアライブ라이브어라이브6권:동요10월
11射手座の日사수좌의 날5권:폭주11월
제7권09サムデイ イン ザ レイン섬데이 인 더 레인오리지널12월
  • DVD는 시간 순서대로 재배정 되어 발매.
  • 1, 2분 정도 미방송 장면이나 일부 작화 수정이 포함되어 있다.


6. 방송국 일람[편집]


지역방송국기간시간계열
치바 현치바 테레비06/04/02~06/07/02日 24:00~24:30독립UHF국
사이타마 현테레비 사이타마日 25:30~26:00
카나가와 현테레비 가나가와06/04/03~06/07/03月 25:15~25:45
교토 부교토 방송月 25:30~26:00
홋카이도TV 홋카이도月 26:00~26:30TV 도쿄 계열
효고 현선 텔레비전06/04/04~06/07/04火 24:00~24:30독립UHF국
미야기 현도호쿠 방송火 26:00~26:30TBS 테레비 계열
도쿄 도TOKYO MX06/04/05~06/07/05水 25:30~26:00독립UHF국
아이치 현테레비 아이치水 26:28~26:58TV 도쿄 계열
히로시마 현히로시마 홈 TV06/04/08~06/07/08土 26:05~26:35테레비 아사히 계열
후쿠오카 현TVQ 규슈방송土 26:40~27:10TV 도쿄 계열


7. 평가[편집]





하루히즘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어마어마한 흥행과 여파를 몰고 온 작품. 또한 제작사인 교토 애니메이션이 전세계적인 인지도를 갖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도 평가된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에 미친 영향은 실로 어마어마한데,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시리즈 탭을 참조.

연출면에서는 1화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과 ED 영상에서 보여준 일명 『하루히 댄스』, 원작에는 없는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9화 『Someday in the Rain』, 12화 『Live Alive』의 하이라이트인 경음악 장면 등에서 부감독 야마모토 유타카가 선보인 연출이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받는다. 현재까지도 이 작품이 그의 출세작이자 대표작으로 꼽히는데 지대한 영향을 줬다고 언급될 정도.[4]

또한 2006년 2분기 TVA 방영 당시 1화를 갑자기 극중극인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으로 한 것과 방송 순서를 원작과 달리 무작위로 배치하는 과감함으로 신선하다는 평을 받으며 주목받기도 했다.[5]

작화면에서는 나가토 유키아사쿠라 료코의 대결이라든가, 「라이브 어 라이브」에서 보여준 밴드 연주신이 소위 미친 퀄리티로 화제가 되었고[6] 9화 '섬데이 인 더 레인'의 경우 원작 소설에 없는 오리지널 스토리로, 원작자 타니가와 나가루가 애니메이션을 위해 집필하는 등 여러모로 정성을 기울였다.

원작이 작품의 배경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지 않았던 것에 비해,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의 여러 장소를 참고로 자세하게 묘사했으며 성지순례의 동기를 제공했다.

평론가 히카와 류스케 #, 오구로 유이치로 #의 호평을 받았으며 2006년 일본 문화청이 주관한 역대 작품 순위인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에서 애니메이션 부문 22위로 선정되었고, 애니메이션 고베 TV부문 작품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 또한 인정받았다.

종합적으로 하루히의 성공은 심야 애니메이션 계열이 다크호스의 아이콘이 될 정도로 예상 외의 대흥행을 거두면서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를 완전히 뒤흔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 때의 대흥행에 눈이 멀어버린 카도카와의 간섭이 심해져 2기 제작에 마찰을 빚게 되었고, 교토 애니메이션은 2010년대 중반부터 카도카와와 사실상 손절을 선언하고 자체 제작의 길을 걷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수학사적으로도 꽤나 큰 의미가 있는 애니메이션이기도 한데, 방영 이후 5년이 지난 2011년. 초순열 문제에 관련된 질문이 4ch에 올라오면서 초순열에 대한 연구에 큰 진전이 일어났다. 그래서 초순열에 관련된 별명이 하루히 문제(The Haruhi Problem).

8. 흥행[편집]


공전의 대히트를 기록하여 광매체(BD+DVD) 평균판매량이 80,000장에 달하는 등 2006년 최고의 흥행작이 되었다. 또한 하루히를 기점으로 교토 애니메이션은 전성기에 접어들며 애니 업계의 핵심회사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나아가 하루히즘으로 일컬어지는 전 세계적인 신드롬과 업계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하루히를 기점으로 모에 애니메이션이 애니계의 주요 장르가 되었고 라노벨을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증가했다.

또한 수많은 패러디를 양산했으며 심지어 교도소(...)에서 수감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활용되기도 했다.

원작 역시 애니의 인기에 힘입어 라이트 노벨 분야 최고의 인기작으로 올라서며 누적 2,000만부의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9. 수상[편집]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애니메이션)
[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만화)
종합 순위
1위신세기 에반게리온
2위바람계곡의 나우시카
3위천공의 성 라퓨타
4위기동전사 건담
5위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6위충사
7위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8위이웃집 토토로
9위강철의 연금술사
10위공각기동대
11위드래곤볼 애니메이션 시리즈
12위모노노케 히메
13위AKIRA
1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15위도라에몽
16위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17위붉은 돼지
18위은하영웅전설
19위어른제국의 역습
20위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21위카드캡터 사쿠라
22위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3위카미츄!
24위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
25위기동전사 Z 건담
26위별의 목소리
27위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8위은하철도 999
29위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30위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31위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
32위반딧불이의 묘
33위미래소년 코난
34위하울의 움직이는 성
35위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
36위왕립우주군 - 오네아미스의 날개
37위슬램덩크
38위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공동 39위기동전사 건담 SEED
개구리 중사 케로로
41위톱을 노려라!
42위도라에몽 극장판
43위용자 시리즈
44위카우보이 비밥
45위사무라이 7
46위기동전함 나데시코
47위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48위시끌별 녀석들
49위철완 아톰
50위루팡 3세
전문가 순위
1위바람계곡의 나우시카
2위철완 아톰
3위AKIRA
4위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5위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6위기동전사 건담
7위신세기 에반게리온
공동 8위이웃집 토토로
사자에상
은하철도 999
도라에몽
마운틴 헤드
2006년 발표 / 출처



{#000000,#dddddd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 펼치기 · 접기 ]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밀림의 왕자 레오요술공주 샐리마하 GoGoGo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비밀의 아코짱타이거 마스크사자에상내일의 죠
루팡 3세데빌맨과학닌자대 갓챠맨마징가 Z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마법소녀 메구짱우주전함 야마토만화 일본 옛날이야기감바의 모험
타임보칸잇큐씨엄마찾아 삼만리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캔디캔디
얏타맨미래소년 코난은하철도 999보물섬빨강머리 앤
도라에몽기동전사 건담베르사이유의 장미전설거신 이데온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시끌별 녀석들초시공요새 마크로스미래경찰 우라시맨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캡틴 츠바사북두의 권터치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시티헌터키테레츠 대백과날아라 호빵맨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닌자보이 란타로슬램덩크슬레이어즈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용자왕 가오가이가포켓몬스터소녀혁명 우테나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오자루마루꼬마마법사 레미∀건담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방가방가 햄토리갤럭시 엔젤테니스의 왕자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나루토기동전사 건담 SEED강철의 연금술사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블리치AIR허니와 클로버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혼제로의 사역마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전뇌 코일기동전사 건담 00트루 티어즈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이나즈마 일레븐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케이온!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골판지 전기TIGER & BUNNY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
작품상 - TV 부문
제10회
(2005년)
제11회
(2006년)
제12회
(2007년)
암굴왕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10. 미디어 믹스[편집]



10.1. DVD[편집]


파일:attachment/suzumiyaharuhi-2006.jpg

표지에 들고 있는 레몬은 잡지인 '더 텔레비전(ザテレビジョン)'의 표지 패러디. 참고로 더 텔레비전도 KADOKAWA 계열의 잡지다.

  • 涼宮ハルヒの憂鬱 朝比奈ミクルの冒険 Episode00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 KABA-1501 (초회한정판) KABA-1601(통상판) /2006년 6월 24일 발매
  • 涼宮ハルヒの憂鬱 第1巻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1권)
    • KABA-1502 (초회한정판) KABA-1602 (통상판) /2006년 7월28일 발매
  • 涼宮ハルヒの憂鬱 第2巻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2권)
    • KABA-1503 (초회한정판) KABA-1603 (통상판) /2006년 8월25일 발매
  • 涼宮ハルヒの憂鬱 第3巻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3권)
    • KABA-1504 (초회한정판) KABA-1604 (통상판) /2006년 9월22일 발매
  • 涼宮ハルヒの憂鬱 第4巻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4권)
    • KABA-1505 (초회한정판) KABA-1605 (통상판) /2006년 10월27일 발매
  • 涼宮ハルヒの憂鬱 第5巻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5권)
    • KABA-1506 (초회한정판) KABA-1606 (통상판) /2006년 11월22일 발매
  • 涼宮ハルヒの憂鬱 第6巻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6권)
    • KABA-1507 (초회한정판) KABA-1607 (통상판) /2006년 12월22일 발매
  • 涼宮ハルヒの憂鬱 第7巻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7권)
    • KABA-1508 (초회한정판) KABA-1608 (통상판) /2007년 1월26일 발매

  • 기타
    • 涼宮ハルヒの激奏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주)
      • KABA-1609 / 2007년 7월 27일 발매
    • 涼宮ハルヒの弦奏 (스즈미야 하루히의 현주)
      • KABA-1610 / 2010년 2월 26일 발매


11. 둘러보기[편집]



파일:교토 애니메이션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너스위치 코무기 한글 로고.png너스위치 코무기짱 매지카르테
파일:attachment/교토 애니메이션/munto.jpgMUNTOMUNTO 시간의 벽을 넘어서하늘을 올려다본 소녀의 눈동자에 비치는 세계극장판: 천상인과 아쿠토인 최후의 싸움
파일:풀 메탈 패닉 로고.png풀 메탈 패닉? 후못후풀 메탈 패닉! The Second Raid
파일:attachment/교토 애니메이션/air.pngAIR
파일:스즈미야 하루히 한글 로고.png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新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뇨롱☆츄루야씨
파일:external/www.kyotoanimation.co.jp/kanon.pngKanon
파일:러키 스타 한글 로고.png러키☆스타
파일:attachment/교토 애니메이션/clannad.pngCLANNADCLANNAD: AFTER STORY
파일:케이온 한글 로고.png케이온!케이온!!더 무비 케이온
파일:일상 한글 로고.png일상
파일:빙과 한글 로고.png빙과
파일:중2병이라도사.png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연타카나시 릿카・개 ~극장판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테이크 온 미
파일:타마코 마켓 한글 로고.png타마코 마켓타마코 러브 스토리
파일:attachment/Free!/freelogo.pngFree!Free! Eternal SummerFree! Dive to the Future영화 하이☆스피드! -Free! Starting Days-프리! -타임리스 메들리- 인연프리! -타임리스 메들리- 약속프리! -테이크 유어 마크-극장판 프리! -로드 투 더 월드- 꿈
파일:경계의 저편 한글 로고.png경계의 저편극장판 경계의 저편 -I'LL BE HERE- 과거편극장판 경계의 저편 -I'LL BE HERE- 미래편
파일: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한글로고(배경투명).png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파일:울려라 유포니엄 한글 로고.png울려라! 유포니엄울려라! 유포니엄 2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키타우지 고교 관악부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전하고 싶은 멜로디리즈와 파랑새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맹세의 피날레
파일:무채한의 팬텀 월드 한글 로고.png무채한의 팬텀 월드
파일:목소리의 형태 한글 로고.png목소리의 형태
파일: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한글 로고.png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S
파일:에플릭스.png바이올렛 에버가든외전: 영원과 자동수기인형극장판 바이올렛 에버가든
파일:츠루네 한글 로고.png츠루네 -카제마이고교 궁도부-극장판 츠루네 -카제마이고교 궁도부-


[1]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극장판 PV 예고편에 쓰였던 피아노 소품.[2]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 이토 아츠시(伊藤 敦)의 필명.[4] 2020년대 현 시점에는 그간 쌓인 사건사고와 언행으로 업계에서도 완전히 찍혀 몰락한 상황이지만, 방영 당시만 해도 그 정도는 아니어서 팬 사이에서도 인기가 많았다. 야마모토 유타카는 이후 안하무인적 태도를 일삼다 쿄애니와 결별하고 2기부터는 빠지게 되는데, 그 때문에 연출이 허전해졌다는 반응이 있었을 정도다.[5] 이 부분은 이후 2기에서 원작과 같은 순서대로 재배치하게 된다.[6] 3년 뒤 같은 제작사에서 만든 케이온! 1기보다 더 세밀할 정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애니메이션 문서의 r7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애니메이션 문서의 r7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20:40:21에 나무위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