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영구/정치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수영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수영구(선거구)
,
,
,
,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수영구 CI.svg 부산광역시 수영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수영구수영구 전역
시의원수영구 1남천제1동, 남천제2동, 광안제1동, 광안제2동, 광안제3동, 광안제4동
수영구 2수영동, 망미제1동, 망미제2동, 민락동

1.1. 구의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수영구의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수영구 CI.svg수영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5석, 구청장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4석
재적
9석




2. 지역 특징[편집]


1980~90년대에 부산 최고 부촌이었던 삼익비치타운을 낀 탓에 3당 합당 이전 남구에 포함된 시절부터 꾸준히 보수정당 지지율이 부산광역시 평균을 상회했다. 그러다가 3당 합당이 일어나고 남천동에 부촌이 많이 생기면서 더욱 더 보수화되었다. 서울로 치면 용산구하고 비슷한 포지션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노무현이 당선된 이후에 민주당세가 부산광역시 전역에서 증가하였고, 이는 수영구에서도 그랬으나, 총선에선 인접지역인 남구와 연제구,해운대구과 비교하면 민주당계 후보의 득표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른 3지역에선 40%를 넘는 시기도 있었고 심지어 당선자도 배출되었지만, 수영구만큼은 당선자가 없음은 물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가 되어서야 40%를 넘었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인접 지역구와 달리 보수정당에선 유재중,박형준이란 명망있는 후보를 낸 반면, 민주당계 쪽에선 총선마다 똑같은 후보를 내지도 않았을 뿐더러, 그 후보도 경쟁력이 다소 떨어졌기 때문이다. 즉 정당세는 인접지역과 비슷했지만, 경쟁력에서 밀려서 보수정당 후보가 계속 당선되었던 것.

이를 증명하게 된 선거가 바로 제19대 대통령 선거인데, 여기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3,870표, 3.3%의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다. 구도가 갑자기 뒤집어진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였지만, 이전의 선거에서도 이미 조짐은 보이고 있었다. 지역구 선거에서는 항상 새누리당이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비례표에서는 부산 평균에 살짝 못 미치는 수준으로 생각만큼 두 진영의 표차가 크게 벌어지지 않았었다. 단적인 예로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수영구의 비례표는 새누리당 41.36%로 부산 평균 수준이었고, 더불어민주당이 22.10%를 받았다. 민주당 자체의 표가 적기는 했지만 당시 국민의당이 25.04%로 부산 평균보다 무려 5%나 높은 득표율을 얻어 국민의당으로의 표 분산이 크게 이루어졌으니, 탄핵 이전에도 두 당의 표차는 이미 좁혀져 있음이 확인되었고 결국 19대 대선에서 민주당 - 문재인 후보의 극적인 반전 승리로 이어졌다.

동별로 확인하면 문재인, 홍준표 모두 5개동에서 승리를 해 동률을 이루었는데, 문재인이 1위를 한 지역은 광안동에 집중되어 있었다. 남천1동, 망미2동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1% 미만 격차의 초박빙 승리, 망미2동, 민락동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1% 내외 격차의 초박빙 승리를 했다. 특이사항으로는 부산에 있는 거의 대부분 구에서 40%를 넘긴 동이 있었던 반면에 수영구에서는 단 한 곳도 40%를 넘은 곳이 없었다. 최고로 표차를 벌린 곳도 불과 7.1% 차이었는데, 기존의 보수 강세였던 성향이 상당히 남아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그리고 이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서구와 같이 자유한국당 후보가 당선된 것으로 한번 더 증명이 되었다. 하지만 고작 1%p 격차였고, 광역의원/기초의원에선 민주당이 우위였는데다, 광역단체장에선 오거돈이 승리를 거둔 곳이였기에 민주당으로써 잘만 한다면 여기까지 사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으나...

당시 현역인 오거돈의 낮은 지지율과 광안동,남천동 등 부촌이 부동산 정책 실책으로 인해 종합부동산세 폭탄을 맞은 지역이 되자 정권 심판 여론이 올라갔고, 이는 총선에도 그대로 반영되어서 21대 총선에서도 미래통합당 전봉민 후보가 56%의 득표율을 기록해 넉넉한 표차로 승리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 강윤경 후보도 41% 정도로 어느정도 선전했었다.

하지만 오거돈 전 부산광역시장이 성범죄로 불명예 사퇴한 이후에 치른 2021년 재보궐선거에선 종합부동산세 폭탄에 대한 반감,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한 박형준 후보가 국회의원을 했던 곳이란 게 맞물려 박형준 후보가 64.85%를 받아 31.81%를 받은 김영춘 후보를 더블스코어 이상 격차로 꺾었다.

이는 20대 대선에도 그대로 반영되어서 금정구, 해운대구, 서구와 같이 윤석열 후보가 60% 이상 받은 지역이 되었다. 금정구가 농촌에 가까운 지역이 많고 김진재-김세연 가문이 영향력이 높고, 서구가 고령층이 많은 원도심 지역 중에서도 중구 다음으로 고령층 비율이 높은 걸 감안하면 매우 놀라운 결과다. 즉 마린시티, 엘시티가 있는 해운대구 부촌 지역과 같이 국민의힘의 텃밭으로 굳어진 것이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수영구 CI.svg 수영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수영구
15대[1]
ta-hash-start=w-c9e3da9f8710cefd2d6ef8629f6a5269[[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흥수3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형준초선
18대
무소속

유재중초선
19대
ta-hash-start=w-36804f417a5c2de457efc4e93af0e6f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20대3선
21대
ta-hash-start=w-ffa62ed6b346a531ee4dfb738cefe38f[[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전봉민초선


파일:수영구 CI.svg 역대 수영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0 재보궐20022006
민주자유당한나라당한나라당
신종관[2]유재중박현욱
2010201420182022
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국민의힘
박현욱강성태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ta-hash-start=w-e1688cd9baac409414fac365110dd2b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신종관 57.49%

2위:
무소속

권쌍현 13.39%
3위:
무소속

박성환 10.12%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신종관 66.64%

2위:
무소속

권쌍현 18.24%
3위:
ta-hash-start=w-1e4be82281a54a839c8849d1e7440d32[[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최승호 15.11%
200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유재중 100.00%[1]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유재중 100.00%[3]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현욱 75.98%

2위:
ta-hash-start=w-6b54b4a6f6bf2dc1cc4209e832286fc0[[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이남중 24.01%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현욱 63.75%

2위:
ta-hash-start=w-afad3574adb98499e055c1a977da0069[[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발 36.24%
2014년1위:
ta-hash-start=w-8d9538d163f6009cec27b8e61cbdd98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현욱 62.10%

2위:
무소속

황진수 37.89%
2018년1위:
ta-hash-start=w-c4eb90fdc9fb2961fe28b5f6f587187b[[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강성태 45.1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혜경 43.75%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성태 69.95%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병염 26.39%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3]




3.1.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편집]



3.1.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영구
수영구 일원[수영]
정당
ta-hash-start=w-698d16feb3978697edb152db5bdf80c7[[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520459b68400aac061b3ed4baaf1bf97[[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70,19843,059
득표율61.80%37.91%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48,960
투표 수113,856
무효표 수276
투표율76.43%

18대 대선 부산 수영구 개표 결과
정당
ta-hash-start=w-2ef13478be8327cde43fcac009fdcfae[[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6f780a0221033e49ffec2199ba1d74b2[[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0,198
(61.80%)
43,059
(37.91%)
+27,139
(△23.89)
76.43%
남천1동63.34%36.35%△26.9976.94
남천2동63.64%36.21%△27.4377.54
수영동64.61%35.10%29.5176.47
망미1동63.44%36.25%△27.1976.86
망미2동59.65%40.06%△19.5976.69
광안1동60.11%39.54%△20.5776.64
광안2동62.73%36.99%△25.7474.58
광안3동62.26%37.49%△24.7773.63
광안4동59.15%40.58%△18.5776.54
민락동63.77%36.06%△27.7173.96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3.68%55.88%12.20
국내부재자투표48.37%51.05%▼2.68

3.1.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영구
수영구 일원[수영]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def877d33d7855f7df0bedb8d624d90d[[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274dbd572e4be9cc41e1189395e98905[[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ebd9199d616b06a3bc0cf083b020be1b[[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e2c61965b5e23b47b77d7c51611b6d7f[[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43,70239,83220,3198,4145,952
득표율36.82%33.56%17.11%7.08%5.01%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54,637
투표 수119,064
무효표 수378
투표율77.0%

19대 대선 부산 수영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3,702
(36.82%)
39,832
(33.56%)
20,319
(17.11%)
8,414
(7.08%)
5,952
(5.01%)
+3,870
(△3.26)
77.0%
남천1동35.22%34.87%17.40%7.44%4.74%△0.35[3]75.47
남천2동34.97%34.99%18.25%7.41%3.95%▼0.02[4]78.24
수영동33.33%40.09%15.86%6.35%3.87%6.7675.23
망미1동33.69%38.13%16.89%6.65%4.34%▼4.4475.37
망미2동35.11%35.04%18.12%6.40%4.72%△0.07[5]75.21
광안1동38.53%31.41%17.21%6.95%5.53%7.1274.77
광안2동37.01%32.36%17.86%7.28%5.12%△4.6574.05
광안3동34.61%36.25%16.75%6.73%5.32%▼1.6471.17
광안4동36.77%33.73%16.82%7.03%5.28%△3.0474.96
민락동35.01%36.20%17.38%6.66%4.39%▼1.1973.1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5.59%22.32%32.77%6.21%2.26%△2.82
관외사전투표45.47%21.91%16.11%8.94%7.14%△23.56
재외투표63.25%8.79%12.97%4.74%9.92%50.28


3.1.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영구
수영구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41,80171,160
득표율35.73%60.82%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56,367
투표 수118,017
무효표 수1,027
투표율75.47%

제20대 대통령선거 부산 수영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41,801
(35.73%)
71,160
(60.82%)
-29,359
(▼25.09)
남천1동
34.83%61.70%▼26.87
남천2동
30.01%67.83%37.82
수영동
32.43%64.48%▼32.05
망미1동
34.35%62.42%▼28.07
망미2동
35.82%60.76%▼24.94
광안1동
37.81%58.03%▼20.22
광안2동
35.98%60.18%▼24.20
광안3동
34.54%61.51%▼26.97
광안4동
37.55%58.85%▼21.30
민락동
33.39%63.81%▼30.4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
34.18%61.02%26.84
관외사전투표
42.02%54.02%▼12.00
재외투표
55.57%38.53%17.04


3.2. 역대 지방선거 결과[편집]



3.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1.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1.2. 수영구청장 선거[편집]



3.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2.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2.2. 수영구청장 선거[편집]



3.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3.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3.2. 수영구청장 선거[편집]



3.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4.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4.2. 수영구청장 선거[편집]



3.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5.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5.2. 수영구청장 선거[편집]



3.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6.1. 부산광역시장 선거[편집]


3.2.6.2. 수영구청장 선거[편집]



3.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7.1. 부산광역시장[편집]

수영구
수영구 일원[수영]
정당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
득표수47,79935,0843,5261,7381,275
득표율53.45%39.23%3.94%1.94%1.42%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55,794
투표 수90,474
무효표 수1,052
투표율58.07%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부산 수영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7,799
(53.45%)
35,084
(39.23%)
3,526
(3.94%)
1,738
(1.94%)
1,275
(1.42%)
+12,715
(△14.22)
58.07%
남천1동50.36%41.90%4.14%2.06%1.54%△8.4655.78
남천2동50.29%42.64%4.21%1.82%1.04%△7.6557.48
수영동48.71%44.89%3.51%1.55%1.34%△3.8258.48
망미1동49.31%43.97%3.75%1.67%1.30%△5.3456.31
망미2동51.37%41.07%4.03%1.97%1.56%△10.3055.16
광안1동56.37%36.05%4.01%2.06%1.50%20.3254.40
광안2동54.19%38.03%4.38%1.92%1.48%△16.1654.31
광안3동51.66%40.72%3.95%2.02%1.65%△10.9450.84
광안4동55.05%38.44%3.27%1.82%1.42%△16.6154.97
민락동51.34%41.64%3.80%1.76%1.46%△9.7054.28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격차
거소·선상투표50.25%35.32%9.95%3.48%1.0%△14.93
관외사전투표66.46%25.21%4.14%2.73%1.46%41.25


3.2.7.2. 수영구청장[편집]

수영구
수영구 일원[수영]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혜경(金惠敬)38,9532위
43.75%낙선
2강성태(孔漢壽)40,1881위
45.14%당선
3김종문(金晩根)3,9194위
4.40%낙선
6황진수(黃振收)5,9663위
6.70%낙선
선거인 수155,794투표율
58.07%
투표 수90,466
무효표 수1,440

7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부산 수영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혜경강성태김종문황진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8,953
(43.75%)
40,188
(45.14%)
3,919
(4.40%)
5,966
(6.70%)
-1,235
(▼1.39)
58.07%
남천1동41.16%49.22%3.59%6.03%▼8.0655.77
남천2동40.94%50.67%3.68%4.71%▼9.7357.44
수영동38.34%50.50%4.63%6.52%12.1658.44
망미1동40.43%47.71%5.35%6.51%▼7.2856.27
망미2동42.39%46.92%4.46%6.22%▼4.5355.11
광안1동44.34%43.76%3.94%7.96%0.58[6]54.32
광안2동43.75%44.68%4.38%7.19%▼0.93[7]54.31
광안3동41.98%46.11%4.58%7.33%▼4.1350.75
광안4동42.54%45.10%3.83%8.53%▼2.5654.91
민락동41.61%46.80%4.39%7.20%▼5.1954.23
후보김혜경강성태김종문황진수격차
거소·선상투표46.23%38.19%6.53%9.05%△8.04
관외사전투표60.36%29.77%4.77%5.10%30.59

3.2.8.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수영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격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26,514
(31.81%)
54,054
(64.85%)
-27,540
(▼33.04)
남천1동30.93%66.27%▼35.34
남천2동27.80%69.15%41.35
수영동28.81%68.02%▼39.21
망미1동30.80%66.14%▼35.34
망미2동30.98%66.14%▼35.16
광안1동34.16%62.07%▼27.91
광안2동33.29%63.37%▼30.08
광안3동31.22%65.47%▼34.25
광안4동34.52%61.95%▼27.43
민락동29.45%67.49%▼38.04
거소투표34.94%51.85%▼16.91
관외사전투표41.84%54.67%▼12.83

3.2.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9.1. 부산광역시장[편집]

8회 지선 수영구 개표 결과
부산광역시장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변성완박형준(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1,760
(29.36%)
51,378
(69.32%)
- 29,618
(▼39.96)
74,913
(47.94%)
남천1동28.97%69.84%▼40.8745.18
남천2동[A]23.95%75.00%▼51.0551.87
수영동25.76%73.10%▼47.3351.48
망미1동27.48%71.38%▼43.8947.26
망미2동28.23%70.60%▼42.3746.28
광안1동31.22%67.30%▼36.0740.76
광안2동[B]29.68%68.94%▼39.2642.04
광안3동27.62%70.90%▼43.2740.73
광안4동30.99%67.57%▼36.5744.66
민락동[C]27.19%71.73%▼44.5342.47
후보변성완박형준격차투표율
거소투표25.56%73.99%▼48.43
관외사전투표39.04%58.94%▼19.89
국회의원
선거구
변성완박형준격차투표율
수영구[D][8]28.15%70.61%▼42.4544.86

3.2.9.2. 수영구청장[편집]

수영구청장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병염강성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9,441
(26.39%)
51,528
(69.95%)
- 32,087
(▼43.56)
74,916
(47.94%)
남천1동26.33%70.41%▼44.0745.18
남천2동[A]21.14%75.97%▼54.8251.88
수영동23.42%73.45%▼50.0351.59
망미1동25.19%71.30%▼46.1047.26
망미2동24.72%70.28%▼45.5646.27
광안1동27.10%68.47%▼41.3740.76
광안2동[B]26.51%69.97%▼43.4542.08
광안3동24.80%70.51%▼45.7140.80
광안4동27.36%69.08%▼41.7244.69
민락동[C]25.04%71.83%▼46.7942.48
후보박병염강성태격차투표율
거소투표26.00%70.85%▼44.84
관외사전투표35.29%60.84%▼25.54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수영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강윤경전봉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2,489
(41.00%)
57,959
(55.93%)
- 15,470
(▼14.93)
104,896
(66.76%)
[ 펼치기 · 접기 ]

남천1동38.64%58.70%▼20.0666.37
남천2동[*A ]37.20%60.32%▼23.1272.18
수영동36.00%61.19%▼25.1967.98
망미1동38.02%59.36%▼21.3465.53
망미2동39.23%58.43%▼19.2065.38
광안1동44.40%51.89%▼7.4960.73
광안2동[*B ]42.42%54.26%▼11.8464.60
광안3동39.52%56.71%▼17.1960.52
광안4동42.37%54.46%▼12.0961.10
민락동[*C ]37.83%59.32%▼21.4963.89
후보강윤경전봉민격차
거소·선상투표40.54%49.08%▼8.54
관외사전투표54.69%41.53%△13.16
재외투표71.51%27.32%△44.19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46,398
(46.01%)
26,599
(26.37%)
6,986
(6.92%)
6,297
(6.24%)
4,682
(4.64%)
+ 19,799
(△19.64)
104,919
(66.71%)
[ 펼치기 · 접기 ]

남천1동48.05%24.69%6.61%7.06%4.02%△23.3666.37
남천2동[*A ]50.88%22.97%5.72%7.25%5.18%△27.9172.19
수영동50.97%23.99%6.16%5.69%4.11%△26.9867.98
망미1동49.44%25.18%6.27%5.73%4.06%△24.2665.55
망미2동47.40%26.74%6.73%5.14%4.45%△20.6665.36
광안1동42.13%28.80%7.92%5.69%4.61%△13.3360.74
광안2동[*B ]44.53%27.83%6.88%6.60%4.39%△16.7064.60
광안3동46.50%25.77%6.78%5.76%3.99%△20.7260.52
광안4동43.94%27.81%7.25%6.26%4.09%△16.1461.11
민락동[*C ]49.19%24.41%6.27%6.75%4.17%△24.7863.90
정당
ta-hash-start=w-28621d062ce9c06a7a06c4a1708214ef[[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e4d2b6e6fdeca3e60e0f1a62fee3d9dd[[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239771729fe22c7c1bdbf136f7304eed[[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f9eb559a923f2ec46c474acd132f5063[[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eb6fa05facc89d3a26ec8698ca58a1ae[[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34.70%21.13%6.94%10.41%4.73%△13.56
관외사전투표33.18%31.99%9.48%6.67%7.68%△1.20
재외투표24.86%35.67%11.35%2.16%15.67%▼10.81






[1] 14대 국회까지는 남구 소속이었다.[2] 00.02.13. 구청장직 사퇴(16대 총선 출마)[수영] A B C D 광안1동, 광안2동, 광안3동, 광안4동, 남천1동, 남천2동, 망미1동, 망미2동, 수영동, 민락동[3]31표 차였다.[4]2표 차였다.[5]5표 차였다.[6] 불과 67표 차이였다.[7] 불과 77표 차이였다.[A] A B 8, 90년대 부산 최고의 부촌이었던 삼익비치타운이 있는 동네[B] A B 광안 쌍용예가 디오션광안리해수욕장이 있는 동네[C] A B 센텀 비스타동원, 더샵 센텀포레, 수영만 아이파크, 센텀비치 푸르지오, e편한세상 오션테라스 단지가 있는 부촌[D] 관외투표 제외[8] 지역구 국회의원: 전봉민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 무소속 → 국민의힘, 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