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리스(1972)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파일:Ivan's Childhood Logo 2.png파일:Andrei Rublev Logo.png파일:Solaris Logo 2.png
파일:Mirror Logo.png파일:Stalker Logo.png파일:Nostalghia Logo.png
파일:The Sacrific Logo.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솔라리스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BBC는 209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외국어(비영어권)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7인의 사무라이
2위자전거 도둑
3위동경이야기
4위라쇼몽
5위게임의 규칙
6위페르소나
7위8과 1/2
8위400번의 구타
9위화양연화
10위달콤한 인생
11위네 멋대로 해라
12위패왕별희
13위M
14위잔느 딜망
15위아푸 제1부 - 길의 노래
16위메트로폴리스
17위아귀레, 신의 분노
18위비정성시
19위알제리 전투
20위거울
21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22위판의 미로
23위잔 다르크의 수난
24위전함 포템킨
25위하나 그리고 둘
26위시네마 천국
27위벌집의 정령
28위화니와 알렉산더
29위올드보이
30위제7의 봉인
31위타인의 삶
32위내 어머니의 모든 것
33위플레이타임
34위베를린 천사의 시
35위표범
36위위대한 환상
37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38위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39위클로즈업
40위안드레이 루블료프
41위인생
42위시티 오브 갓
43위아름다운 직업
44위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45위정사
46위천국의 아이들
47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48위비리디아나
49위스토커
50위라탈랑트
51위쉘부르의 우산
52위당나귀 발타자르
53위만춘
54위음식남녀
55위쥴 앤 짐
56위중경삼림
57위솔라리스
58위마담 D
59위컴 앤 씨
60위경멸
61위산쇼다유
62위투키 부키
63위작은 마을의 봄
64위세 가지 색: 블루
65위오데트
66위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67위학살의 천사
68위우게츠 이야기
69위아무르
70위태양은 외로워
71위해피 투게더
72위살다
73위카메라를 든 사나이
74위미치광이 피에로
75위세브린느
76위이 투 마마
77위순응자
78위와호장룡
79위
80위잊혀진 사람들
81위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
82위아멜리에
83위
84위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85위움베르토 디
86위방파제
87위카비리아의 밤
88위마지막 국화 이야기
89위산딸기
90위히로시마 내 사랑
91위리피피
92위결혼의 풍경
93위홍등
94위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95위부운
96위쇼아
97위체리 향기
98위햇빛 쏟아지던 날들
99위재와 다이아몬드
100위안개 속의 풍경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심사위원특별그랑프리[1]
제24회
(1971년)
제25회
(1972년)
제26회
(1973년)
탈의
자니 총을 얻다
솔라리스엄마와 창녀

역대 성운상 수상작
파일:seiunprize.jpg
영화연극 부문
제8회
(1977년)
제9회
(1978년)
제10회
(1979년)
(수상작 없음)솔라리스스타워즈

[1] 해당 상은 1967년부터 1988년까지 심사위원특별그랑프리 (Grand Prix Spécial du Jury)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현재의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솔라리스 (1972)
Солярис
Solaris
파일:attachment/solaris_1972.jpg
크라이테리온 에디션 커버 ▼
파일:솔라리스 크라이테리온.jpg
장르
감독
각본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프리드릭 고렌슈타인
원작
제작
비아체슬라브 타라소프
출연
도나타스 바니오니스
블라디슬라브 드보르제츠키
나탈리아 본다르추크
아나톨리 솔로니친 외
촬영
바딤 유소프
편집
루드밀라 페이기노바
니나 마르쿠스
미술
미하일 로마딘
음악
에두아르 아르테미에브
의상
넬리 포미나
제작사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필름
배급사
파일:소련 국기.svg -
개봉일
화면비
2.35 : 1
상영 시간
167분
제작비
1,000,000 루블
월드 박스오피스
$134,782
북미 박스오피스
$22,168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 12세 이상 관람가[1]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기타
9. 관련 문서
10.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Солярис (фильм, 1972)
Solaris (1972 film)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감독의 1972년작. 흔히 '솔라리스'하면 떠오르는 고전.

스타니스와프 렘의 소설 솔라리스를 영화화한 것이지만, 원작과 무척 다르다. 덕분에 원작자인 렘이 영화를 보고 격분했다고 하며, 감독 본인도 우여곡절을 많이 겪은 이 영화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그러나 타르콥스키의 영화 중 가장 인기가 많은 영화였으며 렘의 원작 역시 이 영화로 널리 알려졌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일이다.


2. 예고편[편집]


▲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크리스 켈빈(Kris Kelvin: 도나타스 바니오니스 분)은 과학자인데, 별장에 있는 그에게 연구소로부터 비디오 테이프가 전달된다.

연구소는 우주 정거장이 보내온 비디오 테이프를 보며 혹성 솔라리스에게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그 정거장에 크리스 켈빈을 보내기로 한 것이다. 우주 정거장에 온 켈빈은 여기에서 두 과학자를 만난다. 스나우토와 사리보리우스 두 사람인데 물리학자 기바리안은 이미 자살한 후였다.

켈빈은 여기서 혹성 솔라리스의 생각하는 바다에 대해서 듣게 된다. 혹성 솔라리스에 접근하면 여기에 근접한 사람과 솔라리스가 정신작용을 일으켜 상대방의 기억 저 깊이 잠겨있는 과거를 물질화한다는 것이다.
크리스 켈빈에게는 그가 집을 나간 것에 충격을 받고 독극물 주사로 자살한 아내가 있었는데 그 아내가 그 앞에 물질이 되어 나타난다.


4. 등장인물[편집]


  • 도나타스 바니오니스 - 크리스 켈빈 역
  • 블라디슬라프 드보르제츠키 - 안리 베르톤 역
  • 나탈리야 본다르추크 - 하리 역
  • 아나톨리 솔로니친 - 사르투리우스 박사 역


5.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인공인 크리스 켈빈(Крис Кельвин, 도나타스 바니오니스 분)은 솔라리스학을 연구하는 학자로 행성 솔라리스에서 무슨 일이 생겼다면서 먼저 솔라리스에 가 본 적이 있던 파일럿 안리 베르톤(Анри Бертон, 블라디슬라프 드보르제츠키 분)의 경고를 무시하고 직접 솔라리스에 가기로 결심한다. 솔라리스에 도착해서 주인공이 본 것은 물질이 되어서 나타난 죽은 아내인 하리(Хари, 나탈리야 본다르추크 분)의 모습이었다...

참고로 영화와 원작은 결말이 다르다. 행성 솔라리스에 뇌의 x레이 사진을 쬐어주니, 행성이 그것을 보고 인간의 의식을 이해하고 그 뒤로는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은 같다.


6. 평가[편집]


||
[ 펼치기 · 접기 ]

선정 영화 목록
1위현기증알프레드 히치콕
2위시민 케인
3위동경이야기오즈 야스지로
4위게임의 규칙장 르느와르
5위선라이즈
6위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스탠리 큐브릭
7위수색자존 포드
8위〈카메라를 든 사나이〉
9위〈잔 다르크의 수난〉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10위〈8과 1/2〉 페데리코 펠리니
11위전함 포템킨
12위〈라탈랑트〉
13위〈내 멋대로 해라〉 장 뤽 고다르
14위지옥의 묵시록프란시스 코폴라
15위만춘오즈 야스지로
16위〈당나귀 발타자르〉 로베르 브레송
17위7인의 사무라이구로사와 아키라
17위페르소나〉잉마르 베리만
19위거울안드레이 타르콥스키
20위사랑은 비를 타고
21위정사 (1960)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22위대부〉 (1972)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22위경멸〉 (1963)
24위라쇼몽〉 (1950) 오즈 야스지로
25위오데트〉 (1955)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26위화양연화〉 (2000) 왕가위
27위안드레이 루블료프〉 (1966)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28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001) 데이비드 린치
29위스토커〉 (1979)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30위〈쇼아〉 (1985)
31위택시드라이버〉 (1976) 마틴 스콜세지
32위대부2〉 (1974) 프란시스 코폴라
33위자전거 도둑〉 (1948) 비토리오 데 시카
34위사이코〉 (1960) 알프레드 히치콕
36위사탄탱고〉 (1960) 벨라 타르
메트로폴리스〉 (1927) 프리츠 랑
〈잔느 딜망〉 (1960)
39위달콤한 인생〉 (1960) 페데리코 펠리니
41위〈이탈리아 여행〉 (1954) 로베르토 로셀리니
43위〈클로즈업〉 (1989)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53위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1959) 알프레드 히치콕
53위이창〉 (1954) 알프레드 히치콕
53위레이징 불〉 (1980) 마틴 스코세이지
59위배리 린든〉 (1975) 스탠리 큐브릭
63위산딸기〉 (1957) 잉마르 베리만
69위블레이드 러너〉 (1982) 리들리 스콧
69위블루 벨벳〉 (1986) 데이비드 린치
73위〈태양은 외로워〉 (1962)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73위내쉬빌〉 (1975) 로버트 알트만
84위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1991) 에드워드 양
84위〈화니와 알렉산더〉 (1982) 잉마르 베리만
93위하나 그리고 둘〉 (1993) 에드워드 양
93위안달루시아의 개〉 (1929) 루이스 부뉴엘
93위〈제7의 봉인〉 (1957) 잉마르 베리만
102위유랑극단〉 (1975) 테오 앙겔로풀로스
110위〈잊혀진 사람들〉 (1950) 루이스 부뉴엘
110위〈바리디아나〉 (1961) 루이스 부뉴엘
110위〈황금시대〉 (1930) 루이스 부뉴엘
110위여행자〉 (1975)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17위비정성시〉 (1989) 허우샤오셴
117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1964) 스탠리 큐브릭
127위세 가지 색: 블루〉 (1993)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144위욕망〉 (1966)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44위중경삼림〉 (1994) 왕가위
154위솔라리스〉 (1972)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154위샤이닝〉 (1980) 스탠리 큐브릭
154위히든〉 (2005) 미카엘 하네케
154위〈외침과 속삭임〉 (1974) 잉마르 베리만
171위좋은 친구들〉 (2005) 마틴 스콜세지
17위오명〉 (1954) 알프레드 히치콕
183위〈용문객잔〉 (1967) 호금전
183위이레이져 헤드〉 (1977) 데이비드 린치
183위무방비도시〉 (1940) 로베르토 로셀리니
202위비디오드롬〉 (1983) 데이빗 크로넨버그
202위〈전화의 저편〉 (1946) 로베르토 로셀리니
202위〈독일 영년〉 (1948) 로베르토 로셀리니
235위세 가지 색: 레드〉 (1994)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235위베로니카의 이중생활〉 (1991)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235위〈케스 Kes〉 (1969) 켄 로치
235위멜랑콜리아〉 (2011) 라스 폰 트리에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154위


스크린 선정 20세기 100대 영화 69위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Letterboxd Top 250 173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552|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29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29 / 10
]]
평점 없음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8.3 / 10





MRQE
평점 없음 / 100





Solaris is a haunting, meditative film that uses sci-fi to raise complex questions about humanity and existence.

<솔라리스>는 SF를 인간성과 실존에 관한 복잡한 질문을 던지는 도구로써 사용하는, 잊을 수 없는 깊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영화이다.

- 로튼 토마토 총평



7.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134,782(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22,168미정


8. 기타[편집]





파일:external/kinoimages.files.wordpress.com/natalya-bondarchuk-during-the-shooting-of-solaris-1972-e2809d.jpg
1950년 생이니까 이 때 나이 22살. 다만 나타샤의 아버지 세르게이랑 안드레이 타르콥스키는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훗날 얘기지만 노스탤지아 출품 당시에 칸 심사위원이었던 세르게이가 안드레이의 수상을 방해했기 때문에. 반대로 나타샤와 안드레이는 서로 사이가 좋았다. 안드레이는 일기에서 솔라리스의 장점으로 주연 배우 나타샤를 꼽으면서 함께 출연한 다른 배우들을 압도하는 연기력이라면서 이 양반 기준으로는 이례적인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나타샤 역시 아직도 자신의 최고작으로 솔라리스를 꼽는다.





9. 관련 문서[편집]




10. 외부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6:57:01에 나무위키 솔라리스(197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vod 심의 기준[2] 전쟁과 평화의 세르게이 본다르추크의 딸. 재미있게도 이반의 어린 시절에서 이반으로 나왔던 니콜라이 부를리야예프랑 결혼한 적이 있다.[3] Grand Prix Spécial du Jury. 황금종려상 다음의 2등상에 해당된다. 여담이지만 타르콥스키는 이후 유작인 '희생'으로 이 상을 한 번 더 수상한다.[4] 듀나도 이야기한 적이 있지만, 타르콥스키 감독의 영화 중 가장 유명한 영화인데다가 렘 역시 이 영화로 세계에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에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