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리본상(철도)

덤프버전 : (♥ 0)

파일:prize_blueribbon.png 블루리본상
[ 펼치기 · 접기 ]

1958년1959년1960년1961년1962년
오다큐 3000형 전동차초대161계 전동차킨테츠 10100계 전동차키하 81계 동차메이테츠 7000계 전동차
1963년1964년1965년1966년1967년
킨테츠 20100계 전동차오다큐 3100형 전동차신칸센 0계 전동차키하 8000계 동차킨테츠 18200계 전동차
1968년1969년1970년1971년1972년
581계 전동차EF66형 전기 기관차세이부 5000계 전동차-14계 객차
1973년1974년1975년1976년1977년
183계 전동차케이세이 AE형 전동차초대-한큐 6300계 전동차메이테츠 6000계 전동차
1978년1979년1980년1981년1982년
킨테츠 12400계 전동차킨테츠 30000계 전동차에노시마 전철 1000형 전동차오다큐 7000형 전동차하코네 등산철도 1000형 전동차
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87년
케이큐 2000형 전동차14계 객차메이테츠 8800계 전동차이즈 급행 2100계 전동차키하83·키하 84형 기동차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
오다큐 10000형 전동차킨테츠 21000계 전동차651계 전동차도부 100계 전동차오다큐 20000형 전동차
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787계 전동차-난카이 50000계 전동차883계 전동차-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
신칸센 500계 전동차285계 전동차E26계 객차885계 전동차E257계 전동차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킨테츠 21020계 전동차5100형 전동차M250계 전동차오다큐 50000형 전동차도야마 지방철도 0600형 전동차
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
신칸센 N700계 전동차60000형 전동차E259계 전동차케이세이 AE형 전동차2대신칸센 E5계 전동차
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도쿄메트로 1000계 전동차킨테츠 50000계 전동차신칸센 E7·W7계 전동차한신 5700계 전동차BEC819계 전동차
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35계 객차오다큐 70000형 전동차세이부 001계 전동차 킨테츠 80000계 전동차케이큐 1000형 전동차2대
2023년2024년2025년2026년2027년
HC 85계 동차----



ブルーリボン賞
블루리본상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

주최철도친우회
鉄道友の会
초회1958년
최근수상HC 85계 동차(2023년)
파일:JR 도카이 로고.svg
최다수상킨키 일본 철도9회


파일:prize_blueribbon.png
블루리본상의 로고

파일:小田急se.jpg
초대 수상차량 오다큐 3000형 전동차


1. 개요
2. 상세
3. 역대 수상차량
3.1. 기타
4. 로렐상
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블루리본상은 일본의 철도친우회(鉄道友の会)가 주최하는 일본 철도 차량에 주어지는 상이다.

1957년 오다큐 3000형 전동차의 등장은 일본 철도계의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당시 일본 철도동호인들이 이를 기념하기 위해 1958년 블루리본상을 제정하였고 이후 시대를 대표하는 철도차량이 수상하는 권위있는 상이 되었다.


2. 상세[편집]


블루리본상 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다.
  • 일본 국내에서 사용하고있는 철도, 궤도 운송 차량
  • 전년도 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일본 국내에서 영업 운전을 시작한 신형 차량 및 그에 준하는 차량[1]
  • 투표 당일까지 영업 운전중인 차량

해당 요건을 만족하는 차량들을 대상으로 투표 실시 전년도에 전형 위원 10명이 선출되어 연초에 전형위원회가 조직되고, 이후 후보차량이 선정되어 5월에 투표를 실시하게 되며, 이 중 최다 득표를 얻은 차량이 선정차량이 된다.

또한 수상 시에는 해당 차량의 제작년도가 아닌 영업운전을 개시한 년도를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운행개시가 늦어진 열차들이 수상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2]
그리고 열차의 운행개시일과 투표 당시의 회사가 다를 경우 투표 당시의 회사로 수상받는다. 이 때문에 1987년도 수상차량인 키하 83·84형 동차는 불과 단 한 달차이로 일본국유철도소속이 아닌 JR 홋카이도 소속 차량으로써 수상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까지 처음이자 마지막 JR 홋카이도 소속 차량의 수상실적이기도 하다.




3. 역대 수상차량[편집]



연도/회철도 회사차량운행계통비고
1958년
제1회
오다큐 전철오다큐 3000형 전동차(초대)오다큐 로망스카무투표 만장일치 당선
1959년
제2회
일본국유철도151계 전동차특급 코다마
1960년
제3회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10100계 전동차
1961년
제4회
일본국유철도키하 81계 동차
1962년
제5회
나고야 철도메이테츠 7000계 전동차
1963년
제6회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20100계 전동차
1964년
제7회
오다큐 전철오다큐 3100형 전동차오다큐 로망스카
1965년
제8회
일본국유철도신칸센 0계 전동차코다마세계 최초의 고속열차
1966년
제9회
일본국유철도키하 8000계 동차
1967년
제10회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18200계 전동차
1968년
제11회
일본국유철도183계 전동차침대특급 겟코 (하카타~신오사카)
1969년
제12회
일본국유철도EF66형 전기 기관차최초의 기관차 수상
1970년
제13회
세이부 철도세이부 5000계 전동차레드 애로우
1971년
제14회
수상 차량 없음
1972년
제15회
일본국유철도14계 객차(침대형)최초의 객차 수상
1973년
제16회
일본국유철도183계 전동차
1974년
제17회
케이세이 전철케이세이 AE형 전동차(초대)스카이라이너
1975년
제18회
수상 차량 없음
1976년
제19회
한큐 전철한큐 6300계 전동차
1977년
제20회
나고야 철도메이테츠 6000계 전동차
1978년
제21회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12400계 전동차
1979년
제22회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30000계 전동차
1980년
제23회
에노시마 전철에노시마 전철 1000형 전동차
1981년
제24회
오다큐 전철오다큐 7000형 전동차오다큐 로망스카
1982년
제25회
하코네 등산철도하코네 등산철도 1000형 전동차
1983년
제26회
케이큐 전철케이큐 2000형 전동차
1984년
제27회
일본국유철도14계 객차(700번대)살롱 익스프레스 도쿄일본국유철도 마지막 수상
1985년
제28회
나고야 철도메이테츠 8800계 전동차
1986년
제29회
이즈 급행이즈 급행 2100계 전동차
1987년
제30회
JR 홋카이도키하 83·84형 동차후라노 익스프레스운행 개시 당시에는 일본국유철도 소속이었으나, 수상 당시에 JR 홋카이도로 인계됨
1988년
제31회
오다큐 전철오다큐 10000형 전동차오다큐 로망스카
1989년
제32회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21000계 전동차
1990년
제33회
JR 동일본651계 전동차
1991년
제34회
도부 철도도부 100계 전동차
1992년
제35회
오다큐 전철오다큐 20000계 전동차오다큐 로망스카
1993년
제36회
JR 큐슈787계 전동차특급 츠바메
1994년
제37회
수상 차량 없음
1995년
제38회
난카이 전기철도난카이 50000계 전동차라피트
1996년
제39회
JR 큐슈883계 전동차특급 소닉
1997년
제40회
수상 차량 없음
1998년
제41회
JR 서일본신칸센 500계 전동차노조미
1999년
제42회
JR 서일본
JR 도카이
285계 전동차선라이즈 이즈모·세토
2000년
제43회
JR 동일본E26계 객차침대특급 카시오페이아
2001년
제44회
JR 큐슈885계 전동차특급 카모메
2002년
제45회
JR 동일본E257계 전동차특급 아즈사·특급 카이지
2003년
제46회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21020계 전동차
2004년
제47회
JR 시코쿠5000계 전동차마린 라이너
2005년
제48회
JR 화물M250계 전동차
2006년
제49회
오다큐 전철오다큐 50000형 전동차오다큐 로망스카
2007년
제50회
도야마 라이트레일도야마 지방철도 0600형 전동차도야마항선
2008년
제51회
JR 서일본
JR 도카이
신칸센 N700계 전동차
2009년
제52회
오다큐 전철오다큐 60000형 전동차
2010년
제53회
JR 동일본E259계 전동차나리타 익스프레스
2011년
제54회
케이세이 전철케이세이 AE형 전동차(2대)스카이라이너
2012년
제55회
JR 동일본신칸센 E5계 전동차하야부사
2013년
제56회
도쿄메트로도쿄메트로 1000계 전동차긴자선
2014년
제57회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50000계 전동차
2015년
제58회
JR 동일본
JR 서일본
신칸센 E7·W7계 전동차
2016년
제59회
한신 전기철도한신 5700계 전동차
2017년
제60회
JR 큐슈BEC819계 전동차
2018년
제61회
JR 서일본35계 객차SL 야마구치호
2019년
제62회
오다큐 전철오다큐 70000형 전동차오다큐 로망스카
2020년
제63회
세이부 철도세이부 001계 전동차
2021년
제64회
킨키 일본 철도킨테츠 80000계 전동차히노토리
2022년
제65회
케이큐 전철케이큐 1000형 전동차(2대)
2023년
제66회
JR 도카이HC 85계 동차


3.1. 기타[편집]


  • 각 회사별 수상 실적은 다음과 같다. (없어진 회사는 취소선 처리)
    • 9회 수상 : 킨테츠, 국철[3]
    • 8회 수상 : 오다큐[4]
    • 6회 수상 : JR 동일본
    • 5회 수상 : JR 서일본
    • 4회 수상 : JR 큐슈
    • 3회 수상 : 메이테츠, JR 도카이
    • 2회 수상 : 케이세이, 케이큐, 세이부
    • 1회 수상 : JR 홋카이도, JR 시코쿠, JR 화물, 한신, 한큐, 도야마 라이트레일[5], 에노덴, 도부, 이즈큐, 난카이, 하코네 등산철도


4. 로렐상[편집]


블루리본상은 철도동호인들의 인기투표로 수상되기에, 특급용 차량들이 수상하기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면이 있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상하기 불리한 통근용 차량들을 대상으로 로렐상을 제정하여 1961년부터 수상하기 시작하였다.[6]

자세한 것은 로렐상 문서 참고.


5. 같이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06:10:05에 나무위키 블루리본상(철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러한 요건으로 14계 객차는 개조를 신조로 인정받아 두 번(1972년, 1984년)이나 블루리본상을 수상할 수 있었다.[2] 883계 전동차는 실제로는 1994년에 제조되었으나, 영업운전이 1995년에 개시되는 바람에 1996년 블루리본상 수상이 가능했다.[3] JR 분할로 인한 소멸[4] 무려 전 차량 단일 계통으로 수상한 이력이 있다.[5] 도야마 지방철도로의 합병[6] 다만 통근형이라고 블루리본상 수상요건이 안되는건 아니기에 수상받은 사례가 있다. 2013년에 블루리본상을 수상한 도쿄메트로 1000계 전동차가 바로 그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