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천 버스 23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화곡역 - 송내역 구간을 운행했던 2기 33번에 대한 내용은 부천 버스 33(폐선) 문서

부천 버스 33(폐선)번 문단을
부천 버스 33(폐선)# 부분을
, 현재 운행되는 33번 노선에 대한 내용은 부천 버스 33 문서

부천 버스 33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부천 버스 33#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구)23번
3.3. 1기 33번
3.4. 소신여객 이관 이후
4. 특징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천시 BI_White.svg 부천시 일반형버스 2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천 23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고강공영차고지)
종점
경기도 부천시 상동(송내역 환승센터)
종점행
첫차
04:50
기점행
첫차
04:50
막차
23:40
막차
23:50
평일배차
6~11분
주말배차
10~12분
운수사명
소신여객
인가대수
18대
노선
고강공영차고지 - 신월청소년문화센터 - 가로공원.나누리병원 - 화곡역 -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 수주초등학교 - 상우아파트.청소년문화의집 - 새보미아파트.고리울동굴시장 - 고강선사유적공원앞 - 원종역 - 성곡동행정복지센터.홈플러스여월점 - 부천종합운동장역 - 춘의역.춘의가구거리 - 신중동역.롯데백화점 - 부천시청역.현대백화점.이마트 - 순천향대학병원 - 송내역 환승센터


2. 개요[편집]


소신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3.1. (구)23번[편집]


  • 1992년에 다른 23번 시리즈[1]들과 같이 신설되었다.

  • 개통 당시에는 현재와 다르게 작동 종점 시절의 75번 경로(작동 - 원종사거리 - 종합운동장 - 춘의사거리 - 부천북부역 - 중동역 - 심곡본동 - 부천남부역 - 소사동)로 가다가 역곡3동에서 P턴으로 회차하는 노선이었다.

  • 당시 23번대 노선들은 역곡3동에서 부천북부역까지의 경로는 4개 노선이 모두 동일했다. 부천북부역부터 춘의사거리까지 가는 경로에 따라 노선이 나뉘었는데, 23-1번과 23-3번은 소명사거리를 지나 원미로를 경유해서 춘의사거리로 향했고, 23번과 23-1번은 중앙로[2]를 경유해서 춘의사거리로 가는 노선이었다. 그리고 춘의사거리 이후부터의 경로는 23번과 23-3번은 여월동, 원종동을 거쳐 작동으로, 23-1번과 23-2번은 도당동, 오정동을 거쳐 오쇠동으로 향했다.

  • 원종동부터 중동역까지는 당시로서는 거대한 중복 노선이었던 8번이 있었고, 그 아래 구간인 중동역-역곡3동 구간에는 다른 23번대 노선이나 75번이 있었기에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었고, 결국 1999년에 폐선되었다. 당시 두 노선이 각각 30분 간격이었는데, 통합해서 15분 간격으로 다닌다고 공지했다. 그러나 통합되고 나서도 배차간격이 개선되지 않았다.(...) 결국 23-3번도 폐선되었다.


3.2. 53번[편집]


  • 2005년에 시민버스가 시내버스 회사로 변경되면서 사명을 부일교통으로 바꾸던 시절, 019번 마을버스도 시내버스로 승격되면서 번호가 53번으로 바뀌었다. 현재 53번과 비교하면 송내역까지는 똑같고 이후 15번과 비슷하게 가다가 부천시청에서 회차하는 방식이었다.

  • 그런데 이를 송내역을 기준으로 53번과 53-1번, 2개 노선으로 분리하였다. 나중에 23번으로 바뀌는 노선은 이 중에 53-1번이다.


3.3. 1기 33번[편집]


  • 2010년 1월 1일에 번호가 53-1번에서 33번으로 변경된 동시에 노선을 부천시청에서 춘의동, 여월지구, 원종동을 거쳐 고강동까지 대폭 연장하였다. 당시는 지금과는 달리 여월휴먼시아 1단지(여월홈플러스 뒷길)(현재 013-3번이 운행하는 길)를 경유하였다.


3.4. 소신여객 이관 이후[편집]


  • 2010년 6월 25일에 33번은 소신여객으로 넘어가면서 23번으로 번호가 바뀌게 된다. '송내역 - 부천시청' 구간이 현재처럼 바뀌고, 여월휴먼시아 1단지 경유를 폐지하고 직선화하였다. 이로써 11년 만에 23번이라는 노선 번호가 부활한 셈이다.

  • 2013년 3월 3일에 고강(공영차고) - 화곡역 구간이 연장되었다.[3]

  • 2013년 6월 27일에 70-1번 폐선에 따른 작동 주민들의 불편 해소를 위해 23번의 인가를 분리하여 33번을 분리신설하였다.

  • 2016년 5월 31일에 '고강공영차고지 - 가로공원 - 화곡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소신여객 공지사항


4. 특징[편집]


  • 2010년에 이 노선이 개통하기 이전까지 원종동, 고강동 일대에서 중동신도시송내역 방면으로 나가는 노선들은 대부분 부천역까지 내려갔다 가거나 도당동, 삼정동 등을 경유해서 가야 했는데, 이 노선의 등장으로 원종동, 고강동 일대에서도 중동신도시, 송내역 등을 최단거리로 빠르게 갈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원종동, 고강동에서 수요가 늘어 자리를 잡았지만 개통 초기 당시의 중동신도시와 원종동, 고강동을 오가는 유동인구는 그렇게 많지 않았기에 7호선이 개통하기 전까지 수요는 그저 그런 수준이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 구간 개통으로 원종동, 고강동 일대에서 중동신도시 쪽으로 나가는 인구 증가와 2013년 3월 폐선된 70-1번을 대신하는 본 노선의 화곡역 연장, 여월동이나 원종동, 중동신도시 등 7호선 주변 시가지에서 7호선 전철역으로의 연계 수요 등으로 인해, 출퇴근 수요가 급격히 늘어났다. 이로써 역사가 짧은 노선임에도 어느새 3번, 5번, 23-2번, 70-2번, 70-3번, 75번등과 함께 주력 노선 중 하나가 되었다.

  • 화곡역에서 정류장을 59번, 59-1번과 같이 쓴다.[4] 다만 대기줄이 확실히 있는 59번과는 달리, 23번은 암묵적인 대기줄이 없고 버스가 오면 온갖 곳에 흩어져 있던 탑승객들이 우르르 달려들어 탄다. 이는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는 소신여객 소속 모든 노선이 마찬가지다.

  • 화곡역 7번출구[A]에 정차하는 다른 부천버스들[5]과는 다르게 화곡역 7번출구[B]에 정차하지 않는다.[6]

  • 2013년 3월 3일에 연장된 4개의 소신여객 노선 중 가장 성공적인 연장 사례가 됐으며 당시 연장된 노선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노선이다.[7] 23번은 7호선 개통이라는 기회를 잡고 기존 70-1번의 고강본동 - 화곡역 구간을 대신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수요 창출을 하였으나 폐선된 세 노선은 그런 거 없이 기존 노선 성격을 그대로 유지해버려 실패한 노선이 되어버렸다.

  • 주로 수요는 고강동우체국 ~ 청소년문화의집 연선에서 화곡역으로 나가는 수요와, 고강, 원종동에서 환승 없이 중동 시내로 나가려는 사람들과 국제통상고 통학생들이 많이 탄다. 특히 출근 시간 대에 송내역 방향은 원종사거리를 지나면 헬게이트가 열릴 정도.

  • 부천시청에 볼 일이 있어 송내역 방향으로 23번을 탈 경우 은하쌍용아파트에서 내리는 것이 빠르다. 화곡역 방향은 부천시청역1번출구 정류장이 있지만 송내역 방향은 부천시청 관련 이름이 있는 정류장이 없으니 유의.

  • 거리비례제 노선이다.

  • 송내역행 버스를 탈 때, 주의해야 할 점이 하나 있는데 상우아파트에서 진영아파트로 넘어갈 때 원래는 중간에 남정빌라 정류장이 있었지만 근처 위험 문제로 사라졌다. 그래서 상우아파트 정류소를 지나서 벨을 누르면 진영아파트에서 하차한다. 그러니 왜 안내려주냐고 하지 말자.[8]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1] 23번, 23-1번, 23-2번, 23-3번이 해당. 23-2번은 현재의 노선과 무관하다.[2] 現 부천로[3] 70-1번의 고강본동 - 화곡역 구간을 대체할 뿐 흡수통합한 것은 아니다.[4] 화곡역 7번 출구(A)[5] 59,59-1,60-1,70,70-2,70-3,77[6] 화곡역7번출구(A)정류장은 부천버스만 정차하고 (B)정류장은 서울,부천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다.[7] 같이 화곡역으로 연장된 7-3번의 경우 공기수송 신세를 면치 못하고 2016년 여름에 폐선되었으며, 김포공항으로 연장한 7-4번과 220번은 2016년에 계열사로 이관되었고, 7-4번은 동년 6월 운행 중단 후 폐선, 220번은 2018년 6월에 폐선되었다. 다만 버스도착정보에는 2019년 7월까지도 노선이 지워지지 않았다.[8] 5번, 8번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