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 0)
1. 1자 한자어[편집]
1.1. 반(半)-, 절반[편집]
준6급 한자이다. 둘로 나눈 것의 한쪽. 접사처럼도 쓰인다.
학술 용어로는 아래의 "anti-"를 의미하는 反과 자주 동음반의어를 형성한다. 1/2배일 때도 '반(半)', -1배일 때도 '반(反)'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쉬운 한자이면서도 한자를 병기할 때가 많다.
반영구(半永久)처럼 절반(half)의 의미가 아니라 準이나 亞의 의미(semi-)로 쓰이기도 한다.
가수 이정현의 곡 중 이 단어로 된 것이 있다.
어떤 단위를 나타내는 말 바로 뒤에 ’반’ 이라는 말이 붙는 경우, 바로 앞에 붙는 단위의 절반을 더하라는 의미로 쓰인다. 예를 들어 ‘두 시간 반’의 경우, ‘반’은 앞의 오는 단위인 시간의 절반인 30분을 더하라는 의미로, 2시간 + 30분의 의미이다. 시각을 나타낼 때도 N시 반은 N시 30분과 같은 의미이다.
1.2. 반(班), 조직[편집]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하면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조직한 집단"을 뜻한다. 집단의 크기는 그다지 크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조(組)보다는 크다.
1.2.1. 학교 반[편집]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참고하십시오.
- 예) 3학년 1반, 반 대항 농구 시합 / 그 학생은 반에서 항상 1등을 한다.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서 학급을 세는 단위로도 쓰인다.
- 예) 1학년을 세 반으로 나누다.
일본에서는 이를 가리켜 '구미(組)'라고 부른다.
1.2.2. 행정구역 반[편집]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참고하십시오.
예)주소를 반까지 정확히 기입해라.
1.2.3. 정부조직 반[편집]
말단 조직이다. 근래에는 이미지쇄신을 위해 반을 팀으로 바꾸는 경우도 많다.
- 수사지원반 → 수사지원팀
- 교통조사반 → 교통조사팀
이렇게 되면 자연스레 반장도 팀장으로 호칭이 바뀐다.
1.2.4. 군 편제단위[편집]
Section
班, 군대의 편제단위. 분대보다는 크되, 소대보다는 작다.
육군 및 해병대 부대에서 대부분의 반은 8 ~ 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장은 보통 짬이 어느 정도 찬 하사나 중사가 담당한다. 장교가 지휘하는 5명에서 3명 정도의 팀도 반이라 하는데, 예를 들어 포병대대의 연락반, 관측반과 독립기갑여단의 화력지원반 등이 있다.
그리고, 부대마다 다르지만, 직할대 중 통신이나 의무같이 기술행정을 담당하는 부대도 예하부대 단위를 반으로 두기도 한다.
공군 비행단의 군사경찰대대의 경비중대 및 기동중대(그 외 및 포대는 반으로 구성)나 대공방어대, 화생방지원대에서는 소대 단위를 사용하며[1] 나머지 중대 예하의 제대는 거의 다 반으로 구성된다. 반장은 하사[2] 부터 원사까지의 부사관과 준위, 위관장교까지 다양한 계급이 맡으며 일반적인 반은 상사~준위가 대부분이다. 인원도 천차만별이라 반장 포함 1명에서부터 100명에 육박하는 반까지도 존재한다.
영국군이나 프랑스군, 미군 등에서는 소대와 동급으로 보고 있다. 영국군에서는 반(Squad)편제 대신 섹션(Section)편제를 사용한다.
1.3. 반(反)-, 반대[편집]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참고하십시오.
집단, 이념 등을 나타내는 말 앞에 붙어 '반대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영어의 anti와 뜻이 유사하다.
2. 한자[편집]
교육용 한자 1800자 중 한국 한자음으로 "반"이라 읽는 글자는 9자로 평균 수준이다.
- 半 (반 반)
- 反 (되돌릴 반)
- 飯 (밥 반): 준3급 한자. 곡식으로 지은 밥을 의미하는 가장 일반적인 한자이다.
- 盤 (소반 반): 준3급 한자: "기반"의 의미로 자주 쓰인다. 基盤(기반), 初/中/終-盤(초/중/종-반), 地盤(지반), 音盤(음반), 盤石(반석), 羅針盤(나침반), 小盤(소반) 등의 예가 있다.
'盤石'의 의미에 특화된 글자로 磐(너럭바위 반)이 있다.
- 般 (돌 반): 준3급 한자: 주로 "일반적이다"라는 의미로 자주 쓰인다. 一般(일반), 全般(전반), 諸般(제반), 萬般(만반) 등의 예가 있다.
- 伴 (짝 반): 3급 한자. 隨伴(수반), 同伴(동반), 伴侶者(반려자), 伴奏(반주) 등의 예가 있다.
- 叛 (배반할 반): 3급 한자. 離叛(이반), 叛逆(반역), 叛亂(반란), 背叛(배반), 謀叛(모반) 등의 예가 있다. 대개 "反"으로도 써도 의미가 같다.[3] 일본어에서는 이 한자를 쓰지 않고 모두 反으로 바꿔서 쓴다.
- 返 (돌아올 반): 3급 한자. 返戾(반려), 返品(반품), 返送(반송) 등의 예가 있다.
3. 고유명사[편집]
3.1. 터키 동부의 도 및 도시 반[편집]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참고하십시오.
3.2. 아일랜드 신화의 민족(?)[편집]
판타지 라이브러리에서 카사르[4] 가 이끈 민족의 이름이라고 소개되는 이름. 하지만 정작 영어권에는 이런 이름을 아무리 찾아도 찾을 수가 없다. 크로우 크루아흐가 죽음의 용이라는 내용처럼 판타지 라이브러리의 오류로 보인다.
한가지 가능한 가설은 카사르의 원형인 세 자매 여신의 종족 분류가 반 요정족(bean sí)이므로 집필진이 "반"을 종족명으로 보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종족은 다름아닌 여성(bean) 요정(sí)이라는 뜻. 영어로 치면 'female'을 고유명사 "피메일"로 인식한 격이다.
상세한 사항은 카사르 문서 참고.
3.3. 창세기전 시리즈의 기술[편집]
창세기전 2에서만 등장한 기술로, 그 효능은 한 턴 동안 적의 공격을 100% 반격. 일반적으로 TP를 거짐 소모하고 남은 자투리로 쓰는 기술이었지만, 특정 조건 만족 시 게임 내 최고의 공격기가 된다.
이러한 꼼수는 이후 무기의 발동효과 변화, 살의 성질 변화, 반의 실전 등으로 인해, 이후 시리즈에선 검술의 일종이 아닌 휴식, 방어의 상위기술로 등장하게 된다...
첫 번째로 크리티컬 시 광역기 발동이 가능한 무기여야 하고, 두 번째로 殺을 습득해야 한다. 즉, 크리 시 광역공격이 가능한 무기(아수라, 멸살지옥검, 스톰블링거)를 장비한 채 살을 시전, 그리고 반을 시전하면 주위 적이 캐릭터를 공격할 때 마다 광역공격이 나와 캐릭터 주변을 초토화시키는 것이다.
3.4. 게임 판타지 소설[편집]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참고하십시오.
3.5. 폴아웃:뉴 베가스의 등장집단[편집]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참고하십시오.
폴아웃:뉴 베가스에 등장하는 무기상인 집단.
3.6. BT21의 캐릭터[편집]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참고하십시오.
3.7. 이정현의 노래[편집]
4. 인명[편집]
4.1. 성씨 潘[편집]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참고하십시오.
4.2. 이름 반[편집]
묘하게 주인공의 이름인 경우가 많다. 주인공은 굵은 글씨. 로마자 이름이 Wang인 경우에도 슬라브 계통의 언어로 음차될때 반(Ван)이 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유럽 귀족[5] 이름 가운데 들어가는 반(van)은 이름이 아니고 전치사 '~에서, ~로부터'란 뜻이다.[6] 표기도 소문자로 한다.
4.2.1. 실존 인물[편집]
4.2.2. 가상 인물[편집]
- 강철의 연금술사 - 반 호엔하임
- 골판지 전기, 골판지 전기 W - 야마노 반(한국명: 최반)
- 겟 백커스 - 미도 반
- 그라나도 에스파다 - 반(그라나도 에스파다)
- 나이트런 - 반 넬슨
- 록맨 ZX 시리즈 - 반&엘
'반'이 아닌 '반&엘'인 이유는 문서 참조.
-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 - 반 로뎀하윈즈 차미도르 구뜨 릴리 루미안 르브바하프
- 도사의 무녀 - 반 츠구미
- 던전 앤 파이터 - 반 발슈테트
- 메이플스토리 - 반 레온
- 몬스☆패닉NG - 반(몬스☆패닉)
- 별이 되어라! - 반(별이 되어라!)
- 블레이징 소울즈 - 반
- 아메리카노 엑소더스 - 반(아메리카노 엑소더스)
- 아이★츄 - 쥬몬지 반
- 아일랜드(1997년 만화) - 반(슈퍼스트링)
- 약한영웅 - 진가율(반 리쿠토)의 일본명.
- 역전재판 시리즈 - 반 고조
- 영웅전설 여의 궤적 - 반 아크라이드
- 온더훅 - 반반희
- 용자성전 반간 - 반(용자성전 반간)
- 원피스 - 반 오거
- 일곱 개의 대죄 - 반(일곱 개의 대죄)
-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 반 파넬
- 파이널 판타지 XII - 반(파이널 판타지 XII)
- 합법해적 파르페 - 반
- GUN X SWORD - 반(GUN X SWORD)
- Ninjala - 반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21 21:00:23에 나무위키 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군 내 육군이라는 별명이 붙은 부서들이다. 다만 실제 병력 수는 육군과 차이가 난다. 군사경찰은 육군 소대 정원에 비해 배로 많으며, 대공방어대는 육군 소대에 비해 좀 적다. 비행단 외에도 방공포대에서 방공포병은 소대 단위 편재로 이루어 지는데, 이 경우에는 육군 소대에 비해 인원이 한참 적다. 때문인지 포대에서는 대공포소대보다는 대공반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2] 이 경우 영외자가 반장 한 명뿐인 작은 반이 대부분인데 반장 부재 시 병사가 반장 대행을 맡는다![3] 특이하게도 대명률에서 謀反은 "국가에 위태로운 음모를 꾸미는 것(謀危社稷)"으로 좀 더 범위가 넓고, 謨叛은 "국가를 배반하는 음모를 꾸미고 타국에 빌붙는 것(謀背本國潛從他國)"으로 좀 더 오늘날의 외환죄에 가깝게 서로 달리 풀이하고 있다.#[4] 판타지 라이브러리에서는 "퀘사르"라고 표기했다.[5] 주로 네덜란드계[6] 전치사에서 왔다는 점은 von과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