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산읍(파주)

덤프버전 : (♥ 0)

||


파주시
문산읍
文山邑 | Munsan-eup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파주시
행정표준코드4060039
관할 법정리10리
하위 행정구역43행정리 448반
면적47.23㎢
인구47,572명[1]
인구밀도1,007.24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파주시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정 (3선)
경기도의원 | 제4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한국 (초선)
파주시의원 | 라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손형배 (초선)


이성철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유각 (재선)

행정복지센터통일로 1680 (선유리 1402)
문산읍 행정복지센터
1. 개요
2. 역사
3. 출신 인물
4. 교통
4.1. 도로
4.2. 철도
4.3. 버스
5. 관할 리
6. 역사
7. 주요 시설
7.1. 주거
8. 출신 인물
9. 여담
9.1. 한자 표기 변경
10.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경기도 파주시 중부에 위치한 . 임진강이 읍의 북서쪽을 끼며 흐르고 있다.

동쪽으로는 법원읍파평면, 서쪽으로는 장단면, 남쪽으로는 파주읍, 월롱면, 탄현면, 북쪽으로는 진동면이 접해있으며, 북위 38도선과 근접한 지역 중 하나이다.


2. 역사[편집]



구한말이던 1904년에 파주군청이 들어서고 1906년 경의선 철도가 부설되면서 문산은 파주의 중심지 기능을 주내면(현 파주읍)으로부터 이어받았다. 하지만 6.25 전쟁이 발발하고 한국이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문산 코앞에 민간인 출입통제선이 설정되었고, 결국 문산이 너무 북한과 가깝다는 이유로 공공기관들과 학교들이 하나둘 구 교하군의 중심이었던 금촌으로 이전하면서 쇠락하기 시작했다. 그래도 1980년대까지는 금촌보다 번화한 곳이었고, 무려 현재는 파주에 단 한 곳도 없는 맥도날드버스터미널에 입점해 있을 정도였으나[2] 이후로는 금촌에 역전당해 금촌이 읍에서 동 지역으로 승격되는 동안 문산은 여전히 읍에 머물러 있다. 현재 문산의 인구는 약 47,000 명으로 금촌 인구(약 8만 명)의 절반에 불과하다.

현재 문산은 최전방 군사도시라는 인식이 강하며, 실제로 주변 군부대에서 휴가·외출·외박을 나온 군인들이 문산으로 집결하기 때문에 낮에 문산 읍내를 돌아다니다 보면 길거리에 깔린 게 군인인 풍경을 볼 수 있다. 그래도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으로 기존 통근열차 시절 1시간에 육박하던 경의선 배차간격이 10~20분으로 줄어들었고, 서울행 교통이 편리해지면서 문산으로 유입되는 인구가 많아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당동리와 선유리에 산업단지가 생긴 데 더해 바로 밑 월롱면에 한국 최대 규모의 LG 디스플레이 단지가 들어서면서 배후 주거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파주시는 2030년까지 17만 인구 규모의 신도시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3. 출신 인물[편집]


  • 종섭[3]
  • 윤도현[4]
  • 김영철[5]
  • 최무룡
  • 배진영 [6]


4. 교통[편집]



4.1. 도로[편집]



4.2. 철도[편집]



경의선 철도가 지나가며, 문산이 경의선 개통과 함께 발전한 동네이니만큼 문산읍 시가지도 문산역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분단 이전에는 서울에서 개성으로 넘어가는 관문의 역할을 수행하다가, 6.25 전쟁 이후에는 경의선의 사실상 종착역이 되었다. 현재는 경의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2009년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운행 중이며, 2014년에 용산선-경원선-중앙선과 직결되어 경의·중앙선으로 재탄생하면서 왕십리역, 청량리역 등 서울 동부와 남양주, 양평같이 수도권 반대편에 있는 지역으로 환승 없이 갈 수 있게 되었다. 전통의 통일로 루트로는 서울 시내까지 막힐 때는 1시간 30분 이상 걸리는 반면 전철은 홍대와 서울역까지 1시간밖에 걸리지 않으므로 많은 문산읍 주민들이 철도를 애용하고 있다.

문산역 이북으로도 운천역과 임진강역이라는 2개의 역이 더 있지만, 여기는 문산역~임진강역만을 왕복하는 셔틀열차가 고작 하루 2~4회 운행하기 때문에 사실상 지선 취급을 받고 있다. 문산 이북 구간은 본선에 비해 전철화가 늦어지면서 2014년까지 통근열차가 운행하다가, 이후 DMZ-train이라는 관광열차가 2019년까지 운행했다. 그리고 2020년 드디어 문산~임진강 구간도 전철화되며 수도권 전철이 민통선 직전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당초 문산역과 임진강역 사이에 있는 운천역은 폐역되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발 끝에 2022년 신역사로 부활했다. 운천역은 주로 운천리 마을 주민들이 이용하며, 임진강역은 근처에 임진각국민관광지가 있기 때문에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4.3. 버스[편집]



5. 관할 리[편집]


  • 문산리 : 문산역과 문산시외버스터미널의 소재지이자 문산읍의 번화가.
  • 선유리 : 읍 소재지이다.[7] CBS 음악FM의 문산 중계소가 위치해 있다.
  • 당동리 : 당동산업단지의 소재지. 각종 편의시설 접목지이며 자유로 당동IC가 이곳에 있다. 문산에서는 가장 살기 좋은 주거구역이다.
  • 임진리 : 화석정의 소재지.
  • 운천리 : 운천역의 소재지.
  • 마정리 : 임진강역임진각의 소재지.
  • 사목리 : 황희가 말년을 보낸 반구정의 소재지.
  • 장산리 : 초평도의 소재지. 서울 근교 노지 캠핑장으로 알음알음 알려진 '장산전망대'가 이 지역에 있다. 전두환의 장지로 이 지역이 검토됐는데 지역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해 결국 취소되었다.
  • 내포리 : 위에 언급했듯이 본래 월롱면 지역있고, 평택파주고속도로[8]의 종점인 내포IC가 있다.
  • 이천리 : 본래 파평면 지역이었다.


6. 역사[편집]


  •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술이홀현
  • 1899년 조선 광무3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칠정면으로 칭함
  • 191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칠정면, 마정면, 운천면, 신속면을 통합하여 임진면으로 개칭
  • 1972년 12월(법률 제2395호) 백연리, 조산리, 읍내리, 송산리, 방축리, 공덕리, 방목리가 군내면에서 임진면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어 임진면장이 군내면장 겸직
  • 1973년 7월 1일(대통령령 제6543호) 행정구역개편으로 월롱면 내포리 일원을 편입하여 문산읍으로 승격
  • 1979년 5월 1일(훈령 제139호) 군내면에 군내출장소가 개설되어 구역에 관한 행정을 이관
  • 1983년 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 행정구역 개편으로 파평면 이천리 일원을 편입
  • 2014년 6월 20일 『파주시 지명 등의 명명에 관한 조례』제18조 규정에 따라 汶山邑→文山邑으로 지명 변경


7. 주요 시설[편집]


아파트나 빌라 등 거주와 관련된 시설과 음식점 및 편의점과 카페, 일반적인 편의시설은 제외하고 서술.

  • 마트
    • 홈플러스 파주문산점
    • 홈마트
    • 플러스마트
    • 롯데하이마트[9]
    • 삼성플라자
    • LG 베스트샵
    • 중앙식자재
    • 한국유통



  • 학교

  • 유치원(사립 또는 단설)[10]
    • 초록별유치원
    • 파주국제유치원
    • 문산중앙유치원
    • 학이유치원
    • 초록별숲유치원
    • 목화유치원

  • 초등학교 및 병설유치원
    • 문산초등학교 및 병설유치원
    • 문산동초등학교 및 병설유치원
    • 자유초등학교 및 병설유치원
    • 임진초등학교 및 병설유치원
    • 마정초등학교 및 병설유치원
    • 파양초등학교 및 병설유치원

  • 중학교 : 공립 2, 사립 1이며 모두 남녀공학이다.[11]
    • 문산북중학교(공립)[병설1]
    • 선유중학교(공립)
    • 문산동중학교(사립)[병설2]

  • 고등학교 : 공립 1, 사립 1이며 모두 남녀공학이다.
    • 문산고등학교(공립)[병설1]
    • 파주고등학교(사립)[병설2]

  • 병원(소형급 병원 제외) : 문산중앙병원, 무척조은병원, 소망요양병원

  • 관공서 및 주요 기관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 파주고양사무소



  • KT 문산지사

참고로 소방서파주읍에 자리한 파주소방서 직할인 통일119안전센터가 관할하며, 본래 '파주기상대'도 있었지만, 기상청의 조직 개편으로 '수도권기상청'에 흡수되었다.

  • 공원 및 관광지, 문화재
    • 문산당동공원
    • 문산북부공원
    • 문산첨단산업단지 당동지구근린공원
    • 당동리 어린이공원
    • 문산선유5지구 어린이공원
    • 임진각국민관광지
    • 노을길
    • 반구정, 황희선생 영당지
    • 허조
    • 이세화 묘
    • 화완옹주 및 정치달 묘



7.1. 주거[편집]


시공사단지명입주세대수
파일:대한주택공사 CI(1978-2003).svg문산주공1980년 1월300세대
-문산 제일1985년 12월30세대
-문산 복합상가1990년 8월21세대
-문산 미림1991년 6월48세대
파일:대한주택공사 CI(1978-2003).svg문산선유 1단지1991년 12월300세대
파일:한진그룹 로고.svg한진 1차1992년 5월240세대
한진 2차1993년 11월148세대
세명건설청도훼미리코아1994년 4월98세대
광문종합건설문산 호수1995년 6월336세대
세성건설문산 세성1995년 12월204세대
안산주택문산 율곡1996년 12월138세대
효형건설문산 효형1997년 8월99세대
파일:금호산업 CI.svg당동주공 1단지2002년 6월567세대
당동주공 2단지415세대
장안종합건설장안 8차2003년 4월368세대
파일:일신건영 CI.svg문산 휴먼빌2006년 6월610세대
파일:신원종합개발_로고.png파주문산 신원아침도시638세대
파일:두산 로고.svg문산 두산위브2006년 8월504세대
파일:양우건설 CI.svg선유 양우내안애 1단지2007년 4월150세대
선유 양우내안애 2단지132세대
선유 양우내안애 3단지83세대
파일:진흥기업 로고.svg소슬마을 진흥2007년 12월231세대
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파주 힐스테이트 1차2009년 10월631세대
파주 힐스테이트 2차2010년 1월454세대
파일:한양건설 로고.svg문산선유 2단지2010년 4월917세대
파일:한화건설 로고.svg자연앤 꿈에그린 5단지2010년 12월411세대
자연앤 꿈에그린 6단지320세대
파일:keangnam_logo.png문산선유 4단지2011년 4월343세대
파일:서한 CI.svg파일:계룡건설산업 로고.svg문산선유 3단지2012년 3월1,316세대
파일:요진건설산업 로고.svg당동 휴먼시아 3단지775세대
파일:진흥기업 로고.svg당동 휴먼시아 4단지2012년 6월299세대
파일:한양구로고.jpg파주 한양수자인 리버팰리스2015년 10월1,006세대
명문종합건설스타파크힐2017년 12월16세대
크레스디엔씨스타파크힐 2차2019년 12월8세대
파일:동문건설 CI(1994-2021).svg파주문산역 동문굿모닝힐 1차2020년 3월409세대
파일:동문건설 CI.svg파주문산역 동문 디 이스트 2차2024년 6월1,503세대


8. 출신 인물[편집]




9. 여담[편집]



9.1. 한자 표기 변경[편집]


본래 기존의 한자 표기는 汶山이었으나, 1987년부터 1999년까지 심각한 수해를 연달아 입은데다 汶자에 더럽다, 불결하다라는 뜻도 담겨있었던지라 물과 관련된 氵(삼수변)을 빼달라는 주민들의 요청으로 인해 2014년 6월 20일자로 文山으로 변경되었다. 이렇게 되어 경상남도 진주시문산읍과 한자까지 같아졌다.


9.2. 남북통일 이후[편집]


먼 미래에 남북통일이 이루어진다면 개성시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점을 살려서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개성이 남한 자본이 처음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곳이라면, 문산읍은 역으로 북한 노동력이 처음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큰 곳이기 때문이다.


10.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15:59:44에 나무위키 문산읍(파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2] 사실 이런 동네에 맥도날드가 존재한 이유는 인근에 주한미군 부대가 두 곳이나 있었기 때문이다. 미군기지가 철수하면서 수요를 잃게 되자 맥도날드도 얼마 지나지 않아 철수했고, 그 자리에는 훼미리마트를 거쳐 지금 CU가 입점했다.[3] 출생지는 일산신도시이다.[4] 출생지는 파평면이지만 학창시절을 문산읍에서 보냈다.[5] 태어난 곳은 경상북도 대구시 칠성동(현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 부모님과 누나는 본래 황해도 출신이고, 본인은 6.25 피난 중에 대구에서 태어났다. 휴전 후 남북이 갈라져 황해도로 돌아가지 못하자 황해도와 가까운 문산읍에서 자랐다.[6] 문산에서 태어났지만 2살 때부터 서울에서 자랐다고 함.[7] 읍사무소가 문산리에서 이전했는데, 이전한 곳은 일개 읍사무소 주제에 꽤나 큰 규모를 자랑한다(...). 공식명칭은 행정복지센터를 약자로 표기한 "문산행복센터"인데, 몇몇 행사에 대관도 해주고 있다.[8] 명목상으로는 지선3 (항목 참조)[9] 본래 문산점이 있었지만, 영업이 종료되어 지역 주민들이 전자제품을 이용하려면 금촌점이나 운정점을 이용해야 한다.[10] 병설 유치원은 아래 초등학교에 포함해서 서술한다.[병설1] A B 문산북중&문산고 병설.[병설2] A B 문산동중&파주고 병설.[11] 일부 학생들은 사립인 문산수억중 및 문산수억고로 가는데, 이 학교들은 문산읍에 가까울뿐 위치는 파주읍에 자리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