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케도니아 데나르

덤프버전 : (♥ 0)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통화 변천사
[ 펼치기 · 접기 ]
영토 및 지역1918 ~ 19191920 ~ 19401941 ~ 19431944 ~ 1991199219941995 ~ 19971998 ~ 19992000 ~ 200120022003 ~ 20062007~20222023
마케도니아
(남부 세르비아)
세르비아 디나르유고슬라비아 디나르
(KJ 디나르)
불가리아 레프(동부)
알바니아 레크(서부)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1기 ~ 3기)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세르비아세르비아 디나르유고슬라비아 디나르
(4기 ~ 7기 1차)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2차)
세르비아 디나르
코소보알바니아 레크독일 마르크유로
(비협약)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페르페르이탈리아 리라
슬로베니아유고슬라비아 크로네독일 제국마르크슬로베니아 톨라르유로유로
크로아티아크로아티아 쿠나크로아티아 디나르크로아티아 쿠나
크라이나크라이나 디나르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1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디나르태환 마르카
스릅스카스릅스카 디나르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1차)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ски Денар (마케도니아어, 세베르나 마케돈스키 데나르)

파일:logo-en.png

1. 개요
2. 1기 (MKN)
3. 2기 (MKD)
3.1. 1차 (구권)
3.2. 2차 (현행권)
3.3. 동전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북마케도니아의 디나르 계열 통화[1]이다. 한국을 포함한 타국에서는 간혹 북마케도니아 달러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복수형은 데나리라고 읽는다. ISO 4217코드는 MKD, 기호는 앞의 3글자를 따와 ден(덴)으로 표기한다. 보조단위는 데니(дени)이나 지금껏 데니의 단위를 가진 화폐가 단 1종류, 그것도 실험용 밖에 없어서 사실상 없는 것과 다름이 없다.

1992년 4월 26일에 첫 등장(당시 코드는 MKN), 전신인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등가비로 대체하였다. 해체된 유고 연방국가들이 대개 그랬지만, 1년 후인 1993년 5월 5일에 1:100의 비율을 가진 신 디나르(MKD)로 교체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2.8%(2013년 추정)이다.

물가는 낮은 편이어서, 식당 물가가 100 ~ 300데나르가량, 시내 교통비는 약 50데나르, 종합 하루 체류비용이 비싸봐야 1,500~2,000 데나르 선에서 해결될 정도.

2023년 6월 현재 환율은 약 23원. 또 1 EUR=61.3644 MKD +/- 1%의 비율로 유로와 고정환율을 맺고 있다.


2. 1기 (MKN)[편집]


1992앞면뒷면
파일:attachment/마케도니아 데나르/makedo012.jpgден10, 25, 50, 100, 500, 1000담배 수확크루셰보의 성 일리야제(祭)의 기념물 (별칭, 마케도니움)
파일:attachment/마케도니아 데나르/makedo013.jpgден5,000워드프로세서를 쓰는 여인
파일:attachment/마케도니아 데나르/makedo014.jpgден10,000오흐리드(Ohrid)의 성 소피아 교회마케도니움 & 전통춤 추는 사람들
  • 이 시리즈에는 동전이 없다.
  • 슬로베니아 조폐국에서 찍은 것을 수입해다가 썼다. 여기서의 관점 포인트는 슬로베니아도 구 유고연방의 일원이었고, 첫번째로 탈퇴한 나라라는 것. (마케도니아는 두번째.) 그래선지 품질은 정말 조악했다.


3. 2기 (MKD)[편집]



3.1. 1차 (구권)[편집]


1993 ~ 1995앞면뒷면
파일:attachment/마케도니아 데나르/makedo0021.jpgден10고지대 주택린덴 기념물
파일:attachment/마케도니아 데나르/makedo0022.jpgден20다우드파샤 터키탕
파일:attachment/마케도니아 데나르/makedo0023.jpgден50국립은행성 팔틸레이몬 동방 정교회 교회
파일:attachment/마케도니아 데나르/makedo0024.jpgден100국립 박물관성 소피아 성당
파일:attachment/마케도니아 데나르/makedo0025.jpgден500오흐리드성 요한 동방 정교회 교회


3.2. 2차 (현행권)[편집]


도중에 2019년 2월 국명이 마케도니아에 공화국에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바뀌면서 화폐 변경도 불가피해지게 됐었는데 이후 2021년부터 500데나르를 시작으로 북마케도니아로 국명을 수정해서 재발행을 진행하고 있다.

1996 ~ 현재앞면뒷면
파일:North_Macedonia_NBRM_10_denari_2020.00.00_B101a_PNL_АЦ_315000_f.jpgден10토르소, 귀걸이스토비 성당 바닥의 공작 모자이크
파일:626e4b830cce40.47229651-original.jpgден50성 판텔레이몬 교회, 폴리스 청동화[2]성 지오르기교회의 수태고지화
파일:North_Macedonia_NBRM_100_denars_2022.05.00_B103a_PNL_ЗЃ_573702_f-768x371.jpgден100바로크식 목조 천정 장식판1594년스코페[3]
파일:643babe59bbb31.14789748-original.jpgден200테라코타에 조각된 여호수와와 갈렙사레나 자미야 모스크의 아라베스크 문양
파일:643baf972683e3.43809599-original.jpgден500트레베니쉬타 공동 묘지의 데스마스크양귀비꽃
파일:North_Macedonia_NBRM_1000_denars_2022.07.00_B106a_PNL_РЌ_7154403_f-768x347.jpgден1,000성 브라치-말리 교회의 마리아와 예수 이콘오흐리드 성 소피아 성당의 벽면
파일:1668841969509.jpgден2,000전통 복장을 입은 신부금도금 꽃병의 공작 모자이크
파일:1686815021771.jpg-ден5,000-춤추는 바커스의 여사제케르베로스 모자이크
  • 2014년 11월 말에 200, 2000데나르 신권발행계획을 발표했으며 언제 나올지는 미지수였다가 2016년 12월부로 발행되었다. 또 기존의 최고액인 5000데나르(약 11만원)는 2017년 3월 1일부터 유통 정지되며 무기한으로 중앙은행에서 소액권으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 10, 50데나르권은 2018년 5월 말부터 폴리머로 전환했으며 1년 후부터는 해당 면소재 지폐 역시 은행에서 폴리머로 교환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3.3. 동전[편집]


초반에 50데니 및 1, 2, 5, 10, 50데나르화가 발행되었다.

이중에서 50데니화는 1993년 단 한차례만 시험삼아 찍었으며 고작 10원에 불과한 가치와 불필요한 단위라는 점에서 제대로 풀리지도 못한채 2013년에 완전 폐기당했으며 10, 50데나르화의 경우 기존의 지폐를 더 선호함에 따라 잘 쓰이지 않아 마찬가지로 폐기되었다.

그렇게 남은 1, 2, 5데나르 3종은 잘 쓰여지고 있으며 2020년부터는 변경된 국호인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수정되어 발행하고 있다.

파일:KMS-7053-Main.jpg

ден1 : 사플라니낙
ден2 : 오흐리드송어
ден5 : 발칸시라소니


4.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5deg, #d20000 20%, transparent 20%), linear-gradient(40deg, #ffe600 25%, transparent 25%), linear-gradient(140deg, #d2000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55deg, #ffe600 80%, #d20000 8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000"
[[북마케도니아|[[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북마케도니아
관련 문서
}}}}}}
<^|1><height=34><color=#d20000><bgcolor=#ffe600,#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1] 명확히는 고대 로마의 통화, 데나리우스에서 직접 가져왔다. 고대 마케도니아와는 무관하다.[2] 고대 로마(~동로마 제국)와 바빌로니아의 동전. 294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개혁을 목적으로 도입했다. 라틴어로 가죽주머니를 의미한다.[3] 야코부스 하레빈 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17:45에 나무위키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