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케도니아/경제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북마케도니아

남유럽경제
이베리아 반도
ta-hash-start=w-3e59bff2aa24cd053805ecbe01cbdf7d[[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ta-hash-start=w-76012521dc7bf2e55ffc3716dae11c29[[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ta-hash-start=w-504563954c1e5fc696dc22525f455198[[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이탈리아 반도
ta-hash-start=w-3df9f63b70bff498764b4daa10ce8f6a[[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ta-hash-start=w-c97123ea1dcc3807e91be30b3fa0c2de[[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ta-hash-start=w-b250fe1a18442054cf3a68d4644cb13b[[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ta-hash-start=w-28e268a8abf4b64614d94f8bba977246[[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그리스 · 튀르키예 · 키프로스
ta-hash-start=w-bfe6ea67e77929e5929d249173dff69f[[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ta-hash-start=w-0aaa21205892adaccedac28e2b127058[[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ta-hash-start=w-3848fdcafd0ecb75391f8b9c8b7599c3[[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ta-hash-start=w-55053683268957697aa39fba6f231c68[[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발칸 반도
ta-hash-start=w-c8d1f991ae3c1511ed858a5b2eef81f6[[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ta-hash-start=w-52087100703aa4bb69c68aca235831b3[[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ta-hash-start=w-35d84f287e656f27d6256b8f55e30859[[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ta-hash-start=w-a8b402fa085758e3b374316a8095aeb7[[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ta-hash-start=w-772d8427f1b9ca01df4da70d99750459[[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ta-hash-start=w-9878253904482726e741460a99adba86[[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ta-hash-start=w-f735bcca7ea8464fdb9b46a4f7383f63[[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ta-hash-start=w-53c2bdd5d508f5cbe32477af2aeae3b0[[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ta-hash-start=w-9c6947bd95ae487c81d4e19d3ed8cd6f[[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ta-hash-start=w-3111b2ff56ac8be7960156e3f116821b[[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5deg, #d20000 20%, transparent 20%), linear-gradient(40deg, #ffe600 25%, transparent 25%), linear-gradient(140deg, #d20000 7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55deg, #ffe600 80%, #d20000 8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000"
[[북마케도니아|[[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북마케도니아
관련 문서
}}}}}}
<^|1><height=34><color=#d20000><bgcolor=#ffe600,#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kopje-550x365.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Europe-Macedonia.svg.png

북마케도니아의 경제 정보[1]
인구2,068,808 명[2]2020년, 세계 145위
경제 규모(명목 GDP)138억 2,100만 달러(약 15조 원)2021년, 세계 140위[3]
경제 규모(PPP)366억 7,300만 달러(약 42조 원)2021년, 세계 132위[4]
1인당 명목 GDP6,657 달러2021년, 세계 108위[5]
1인당 PPP17,663 달러2021년, 세계 101위[6]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28.11 %2011년[7]
실업29.1%2011년[8]

1. 개요
2. 산업 구조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북마케도니아는 유고 연방의 붕괴 이후 많은 어려움을 겪은 국가이다. 특히 국가위주의 중앙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이행하는 일은 북마케도니아에게는 하나의 도전이었다. 이후 IMF등은 북마케도니아에 경제적 지원을 하였다. 북마케도니아 경제는 1993년에 안정기에서 돌입하고 1995년부터 성장기에 진입한다. 이 시기 발칸반도의 남유럽 국가(특히 구 유고 연방권 국가들)들에 대한 경제제재가 풀리면서 북마케도니아 경제도 숨통을 트이게 되었다. 북마케도니아의 주요 수출품은 의류이다. 다음의 수출 규모로는 제조업이 가장 크다. 교역 대상 중 가장 높은 비율은 2005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했을 때 세르비아몬테네그로를 합친 규모가 가장 높다. 세르비아몬테네그로는 북마케도니아의 무역 비중에서 22.5%를 차지한다. 그 다음의 교역 규모는 17.8%의 독일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리스도 15.3%라는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등 4개국이 단일 경제시장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인간개발지수도 2021년 기준 0.770로, 우크라이나(0.773)보다 낮고 몰도바(0.767), 코소보(0.762)를 제외하면 유럽 최하위권이다. 특히 북마케도니아의 남동부 지역의 인간개발지수는 0.736으로 이집트(0.739)와 비슷한 수준이며, 코소보의 지란 기구와 몰도바의 중부 지역을 제외하면 유럽에서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집계되었다.

2. 산업 구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3px-Macedonia_treemap.png
2012년 북마케도니아의 수출 구조, 초록색이 의류업, 파란색이 제조업, 노랑색이 농업, 흑색에 가까운 고동색은 석유-천연가스 관련 산업, 붉은색이 건설자재, 분홍색이 의료-약학-화학-플라스틱산업, 진한 갈색이 철강 등의 제철업, 연갈색은 식품업, 주황색에 가까운 갈색은 광산업, 회색은 기타 미분류이다.[9]

아래는 2006년 기준의 북마케도니아 GDP 구조이다.[10]농업의 비중이 미약한 것을 볼 수 있다.

북마케도니아 GDP 구조
농업9%
공업29%
서비스업62%

하지만 노동력 비율에서는 농업의 비중이 상당하다.

북마케도니아 노동력 구조
농업21.7%
공업32.6%
서비스업45.7%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17:48에 나무위키 북마케도니아/경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