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바트

덤프버전 : (♥ 0)

분류

아프리카의 국가별 수도
[ 펼치기 · 접기 ]

북아프리카
ta-hash-start=w-8d09e4b85c783cbc30c9b8ae175f2d33[[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ta-hash-start=w-2e2f6a3400f8c4b151aefbf37ca4821b[[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ta-hash-start=w-8580d657e29c423ae111db6f9beedc65[[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트리폴리라바트튀니스
ta-hash-start=w-098b32a4956cb3803231c583a764909a[[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ta-hash-start=w-4456cf96039e56df394c9d6fa3bc04c5[[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ta-hash-start=w-b59ffbc43136827b43007b926f68fb13[[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하르툼알제카이로
ta-hash-start=w-a7fbb261e1cfe7a826dc0ac7854005d8[[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서사하라
티파리티
동아프리카
ta-hash-start=w-5ae81daa87d6649df09002741e5b1738[[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ta-hash-start=w-1e7331843677ade7821266b2e379b13e[[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ta-hash-start=w-5229d8196492346e8c788286a6f2a81a[[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아스마라지부티모가디슈
ta-hash-start=w-e6cf5cf38b21b845e05edc33689f8d70[[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ta-hash-start=w-88208501a921a590548019fa0e64fc4a[[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ta-hash-start=w-aed8c38949e3efc60bb86697f5c07c98[[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주바아디스아바바캄팔라
ta-hash-start=w-9d52df87c64852d2bb7cc251e17d3a51[[파일:케냐 국기.svg 케냐ta-hash-start=w-9006dbc552909b91e6e42805d01f3294[[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ta-hash-start=w-5c9ed990f67300b9ad87bd008cce0d88[[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나이로비키갈리기테가
ta-hash-start=w-b5a8e57188f396243f8f41ded04cb8c2[[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ta-hash-start=w-39fa41b86975169caa7a8ff90386bd86[[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ta-hash-start=w-aba53da2f6340a8b89dc96d09d0d0430[[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도도마릴롱궤마푸투
ta-hash-start=w-3c00d99bc7b08007ab77df522d5ec674[[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ta-hash-start=w-e36258b3c74f08054a974a5fe1703f9c[[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ta-hash-start=w-92c893ce2271c8dbf12f6daceaabd2ba[[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빅토리아포트루이스모로니
ta-hash-start=w-37e0eaaff0973a8ab20092edeacf2ff0[[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ta-hash-start=w-2fe2b2d2da35bcee61d38adc72c9877b[[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안타나나리보하르게이사
서아프리카
ta-hash-start=w-ff66405dab3d52bb64fcda44b47921dd[[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ta-hash-start=w-a6a24889b5a204f69d48dff027111d15[[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ta-hash-start=w-4a3cce87a14deb5fd80e293fef015c2a[[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프라이아아부자바마코
ta-hash-start=w-3d385ec61bfa9196d4bfaa241af4e30f[[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ta-hash-start=w-854b14be2f74e76f7dab9dd98f6e006b[[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ta-hash-start=w-41d626e181cd445e3cac18440a448424[[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와가두구니아메반줄
ta-hash-start=w-7f279f16345a4c1ce0f29ac830ce6e29[[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ta-hash-start=w-e1e9eec24edd4686b9a1f85f96826236[[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ta-hash-start=w-eb7db4b873452633f39c70e78c2d133d[[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다카르비사우코나크리
ta-hash-start=w-e4e9def141a7c979406481285ec67465[[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ta-hash-start=w-603a658610edc94e1c950509500ad934[[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ta-hash-start=w-d7e67d808f591f61eb4976d6a8c97640[[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프리타운몬로비아야무수크로
ta-hash-start=w-d882cdd325a9cea02b8a693daba786f8[[파일:가나 국기.svg 가나ta-hash-start=w-9375e58c8325b652f623d22b5e9fda3f[[파일:토고 국기.svg 토고ta-hash-start=w-e92bcbb1f27a10ddb3fefc53249dd1fa[[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아크라로메포르토노보
ta-hash-start=w-4d2e7bd33c475784381a64e43e50922f[[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누악쇼트
중앙아프리카
ta-hash-start=w-eeb1cb3b74e9bca89e3b5e3848b88b51[[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ta-hash-start=w-6e4f47d6a3e00616a565c69757bf59c5[[파일:차드 국기.svg 차드ta-hash-start=w-e77d89a5cfa17ff55d0b928bf21b2d0f[[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야운데은자메나방기
ta-hash-start=w-f33f30d366e56417c3757aed385dc150[[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ta-hash-start=w-4cba8b40e26654975d5ed2256eeba2e2[[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ta-hash-start=w-2f90d5f4359b377e5cf50c0865542db7[[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상투메말라보리브르빌
ta-hash-start=w-90918ccd19a67747cadd8dbf8368c742[[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ta-hash-start=w-3bd4c0027a06d2b4c691ae29c317e5d2[[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ta-hash-start=w-a7eb93ef92a8a65cf69d578336b6be20[[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브라자빌킨샤사루안다
남아프리카
ta-hash-start=w-91dea709307c15997d1d5a0c0960027e[[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ta-hash-start=w-8aeea62fd2f5ce7bd80c28c5531d793f[[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ta-hash-start=w-6784ac07a6aeb1433c961ace509971d0[[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빈트훅가보로네하라레
ta-hash-start=w-1680ecd56f2584db24e9a4a191e3c3e8[[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ta-hash-start=w-1124ba177f7d0f77f243297b70d5b005[[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ta-hash-start=w-b5845b28131e33e1ece69f1a335c807e[[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루사카프리토리아
행정

케이프타운
입법

블룸폰테인
사법
마세루
ta-hash-start=w-fc3d77decb36cb14c2b339bb4cc9131e[[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로밤바
왕정·입법

음바바네
행정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모로코의 세계유산
[ 펼치기 · 접기 ]

문화유산
1981년

페스의 메디나
مدينة فاس
1985년

마라케시의 메디나
مدينة مراكش
1987년

아이트 벤 하두의 크사르
قصر آيت بن حدو
1996년

메크네스 역사 도시
مدينة مكناس التاريخيّة
1997년

볼루빌리스 고고 유적
موقع وليلي الاثري
1997년

테투안의 메디나
(옛 티타윈)

مدينة تطوان (قديمًا تيطاوين)
2001년

에사우이라의 메디나
(옛 모가드르)

مدينة الصويرة (قديمًا موغادور)
2004년

마자간 포르투갈 요새
(엘 자디다)

مدينة مازاكان البرتغالية (الجديدة)
2012년

라바트, 근대 수도와 역사도시
: 공동유산

الرباط، العاصمة الحديثة ومدينة تاريخية: تراث مشترك



||
[ 펼치기 · 접기 ]

이집트카이로 · 기자 · 알렉산드리아 · 데숙 · 카프르엘셰이크 · 만수라 · 탄타 · 시빈엘콤 · 반하 · 아시유트 · 퀴나 · 룩소르
모로코탕헤르 · 우지다 · 페스 · 라바트 · 메크네스 · 카사블랑카 · 마라케시 · 아가디르 · 엘아이운
튀니지튀니스 · 타바르카 · 비제르트 · 베자 · 카이로우안 · 수스 · 마흐디야 · 스팍스 · 토주르 · 가베스
세네갈티바완 · 티에스 · 다카르 · 디우르벨
카메룬야운데 · 두알라 · 응가운데레 · 응간하
리비아트리폴리 · 데르나 · 벵가지
수단하르툼 · 북하르툼 · 옴두르만
니제르아가데즈 · 니아메
나이지리아아부자 · 라고스
말리바마코 · 팀북투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 · 메디나 · 메카 · 바하 · 압하 · 지잔 · 타부크 · 나즈란 · 담맘 · 부라이다 · 하일 · 사카카 · 아라르 · 호푸프
팔레스타인가자 · 나블루스 · 라말라 · 아리하 · 예루살렘 · 베이트 울라 · 사이르 · 알칼릴 · 칼킬야 · 툴카름 · 제닌 · 칸유니스 · 할훌
레바논베이루트 · 트리폴리
시리아다마스쿠스 · 알레포 · 라타키아 · 홈스
이라크바그다드 · 모술 · 바스라
요르단암만 · 카라크 · 마안 · 살트 · 자르카 · 마프라크 · 이르비드
예멘사나 · 아덴 · 타림
오만무스카트 · 소하르 · 도파르 · 니즈와
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 · 두바이 · 샤르자 · 라스 알카이마 · 아지만
이란테헤란 · 이스파한 · 쉬라즈 · 카샨 · 타브리즈
튀르키예앙카라 · 이스탄불 · 카이세리 · 이즈미르 · 에디르네 · 부르사 · 메르신 · 가지안테프 · 샨르우르파
북키프로스파마구스타 · 레프코샤 · 키레니아
러시아 카잔 · 그로즈니
우즈베키스탄타슈켄트 · 사마르칸트 · 부하라
그 외 국가 사라예보 · 티라나 · 그라나다 · 실베스 · 누악쇼트 · 리브르빌 · 반줄 · 와가두구 · 은자메나 · 코나크리 · 프리타운 · 비사우 · 파라마리보 · 지부티 · 모가디슈 · 캄팔라 · 마푸투 · 모로니 · 쿠웨이트 · 마나마 · 도하 · 바쿠 · 알마티 · 비슈케크 · 두샨베 · 아시가바트 · 카불 · 이슬라마바드 · 다카 · 말레 · 마라위 · 반다르스리브가완 · 쿠알라룸푸르 · 자카르타




라바트
Rabat | الرِّبَاط
파일:라바트 깃발.png파일:라바트 문장.png
깃발문장
||

행정
국가
파일:모로코 국기.svg

지역라바트살레케니트라
면적117㎢
인문환경
인구577,827명 (2014년)
인구밀도4,900명/㎢
정치
시장아스마 랄루


8K로 촬영한 라바트의 모습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이름한국어라바트[1]
영어Rabat[2]
아랍어الرباط[3]
프랑스어Rabat[4]
국가·위치모로코 라바트살레케니트라


등재유형문화유산
등재연도2012년
등재기준(ii)[5], (iv)[6]
지정번호1401


1. 개요
2. 역사
2.1. 고대
2.2. 중세
2.3. 근대
2.4. 현대
3. 기후
4. 종교
5. 교통
6. 자매결연 도시
7. 여담



1. 개요[편집]


모로코수도이자 모로코에서 7번째로 큰 도시이다. 흔히 모로코의 수도를 카사블랑카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카사블랑카는 최대도시일 뿐 수도가 아니다.[7] 도시나 수도로서의 역사는 모로코의 4황도(皇都)[8]로 같이 일컬어지는 국내 다른 세 도시(마라케시, 페스, 메크네스)에 비할 바가 못된다. 그래도 나름 천년 역사를 지닌 유서 깊은 항구 도시이고, 인구도 50만 정도로 적은 편은 아니다.

2. 역사[편집]



2.1. 고대[편집]


기원전 11세기에 페니키아인들이 이 지역에 살라(Sala)라는 정착지를 세웠다고 한다. 이후 이 지역은 마우레타니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기원전 1세기부터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로마 제국은 오늘날의 도심 남쪽에 Sala Colonia라는 도시를 건설했다. 서기 5세기 전까지 이 지역은 상업이 발달하였으나 서기 5세기에 이 지역은 버려졌다.


2.2. 중세[편집]


7세기 이슬람 세력이 이 지역을 차지했을 때 이미 이 지역은 대부분 폐허가 되어있었다.

파일:카스바 요새1.jpg
카스바 요새

10세기 제나타-베르베르 동맹은 바르가와타를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이 지역에 요새를 세웠고 11세기 무라비트 왕조의 7대 아미르인 타슈핀 이븐 알리 또한 무와히드 왕조를 막기 위해 요새를 건설했으나 이후 무와히드 왕조가 이 곳을 점령하고 기존 요새를 파괴하고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카스바 요새이다.

파일:모로코 라바트.jpg
12세기 야쿱 알 만수르가 건설한 성문
파일:모로코 하산 타워.jpg
야쿱 알 만수르가 세우려 했던 모스크의 미완성형 미나렛인 하산 탑

12세기 무와히드 왕조의 3대 칼리파인 야쿱 알 만수르는 현재의 라바트 구도심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가기 시작했으나 1199년 야쿱 알 만수르가 사망하면서 건축되던 모스크를 비롯한 건축물들은 미완성 상태로 남았고 결국 도시는 버려졌다.[9]

파일:그레이트 모스크 미너렛.jpg
그레이트 모스크.

13세기 마린 왕조가 현재 라바트의 구도심 지역에 그레이트 모스크[10]를 세웠으며 인근에는 왕실 묘지를 지었다.


2.3. 근대[편집]


1609년 스페인의 펠리페 3세의해 추방당한 무어인들 중 일부가 현재의 라바트 인근에 정착하였고 이후 바르바리 해적의 근거지 중 하나로 기능했다.

파일:다르 알 마크젠1.jpg
알라위 왕조가 건설한 다르 알 마크젠(왕궁)

1666년 알라위 왕조가 도시를 점령한 이후 도시는 알라위 왕조의 술탄들은 이곳의 요새를 재건하였다.또한 왕궁과 모스크를 건설하고 성벽을 확장하면서 라바트는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게된다.

파일:모로코 중앙은행1.jpg
1930년 프랑스령 시절 건설된 모로코 중앙은행(Bank al-Maghrib) 건물.

1912년 페스조약으로 모로코가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자 페스에서는 폭동이 일어났고 결국 수도는 페스에서 라바트로 이전되었다.


2.4. 현대[편집]


파일:피에트리 광장1.jpg
피에트리 광장
파일:리아드 지구.jpg
리아드 지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프랑스 공군 기지가 있던 라바트에 라바트 살레 공군 기지를 설립했다.

그러나 이후 모로코에서 프랑스 정부의 통치가 불안정해지고 결국 1956년 모로코가 독립했으며 1958년 레바논 위기에 미국이 개입하자 모로코 정부는 미 공군 기지의 철수를 요구했고 1959년미국이 이에 동의하여 1963년 미국은 라바트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모로코의 독립 이후에도 무함마드 5세의 결정에 따라 라바트는 계속 수도 지위를 유지하여 현재에 이른다.

2021년 아스마 랄루가 라바트시 첫 여성 시장으로 당선됐다.#


3. 기후[편집]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지중해성기후(Csa)에 속한다. 여름 평균기온은 약 21.5°C이며 겨울 평균기온은 약 13°C이다. 관측이래 최고기온은 45.8°C이고 최저기온은 -3.2°C이다.


4. 종교[편집]


파일:순나 모스크1.jpg
순나 모스크
파일:생 피에르 대성당.jpg
생 피에르 대성당

인구의 99.7%가 무슬림인 나라의 수도이다 보니 당연히 무슬림들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일부 기독교 신자들도 존재한다.


5. 교통[편집]


모로코 국영 철도국인 ONCF(Office National des Chemins de Fer/المكتب الوطني للسكك الحديدية)가 운영하는 라바트-빌 역과 라바트 아그달 역이 있다.

트램으로는 2011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라바트-살레 트램웨이가 있으며 총 2개의 노선이있다.

라바트 살레 국제공항이 있다.


6. 자매결연 도시[편집]




7. 여담[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rocos-Kasbah-Oudaya-Rabat-Luis-Filipe-Gaspar.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asbah_des_Oudaias_P1060356.jpg

아프리카 식민시대의 근현대를 느낄 수 있는 관광도시다.

모로코의 주요 왕궁인 다르 알 마크젠 왕궁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0:14:06에 나무위키 라바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근대 수도와 역사 도시 : 공동유산[2] , Modern Capital and Historic City: a Shared Heritage[3] ، العاصمة الحديثة ومدينة تاريخية: تراث مشترك[4] , capitale moderne et ville historique : un patrimoine en partage[5]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6]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7] 과거에 수도였던 적도 없다.[8] Imperial cities of Morocco. 참조[9] 야쿱 알 만수르 사후 무와히드 왕조의 칼리파들은 새로운 수도를 완성하는데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10] 엘-카라진 모스크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