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도 제4구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폐지된 선거구에 대한 내용은 도쿄도 제4구(중선거구) 문서
도쿄도 제4구(중선거구)번 문단을
도쿄도 제4구(중선거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쿄도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도쿄도 제4구
東京都第4区
||
파일:shuinsen_Tokyo4.svg
선거인 수474,029명 (2021)
상위 도도부현파일:도쿄도 도기.svg 도쿄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오타구(3구에 속한 미네마치, 덴엔쵸후,
유키가야, 센조쿠, 치도리 1초메,
쿠가하라 지역(이케가미 3초메 제외),
우노키 2~3초메 지역을 제외한 전역)
국회의원

다이라 마사아키




1. 개요[편집]


도쿄도오타구 지역 중 도쿄만 인접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다이라 마사아키.


2. 상세[편집]


도쿄도의 25개 중의원 선거구들 중 최남단에 있는 선거구이며, 도쿄 국제공항이 이 선거구 내에 위치한다. 도쿄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외국인들이 제일 먼저 밟게 되는 선거구인 셈이다.

선거 결과를 보면 대체적으로 자민당이 우세한 지역구로 보인다. 자민당과 민주당의 세력이 접전인 3구5구와 달리, 자민당이 우세한 인접 가나가와 10구의 정치 성향과 유사하다.[1]

소선거구제 출범 이후 첫 당선자는 재일 조선인 출신인 아라이 쇼케이 전 의원이었다. 하지만 증권 스캔들로 인해 체포동의안이 통과되자 자살했고, 보궐선거가 치뤄졌다. 이후 나카니시 카즈요시 전 의원도 성추행 현행범으로 체포되어 의원직을 사퇴하는등 이 지역구 의원들은 부침이 많았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아라이 쇼케이
(新井将敬)
78,805표1위

무소속

38.1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우치 게이고[2]
(大内啓伍)
46,840표2위


22.6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고하나와 미쓰오
(小塙三男)
30,522표3위


14.78%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png나카다 아키코
(仲田明子)
23,260표4위


11.26%낙선
우에다 데쓰
(上田哲)
21,319표5위

무소속

10.32%낙선
고노 토오루
(河野統)
3,367표6위

무소속

1.63%낙선
파일:신사회당 흰색.png구로사와 나에미
(黒沢苗美)
2,418표7위


1.17%낙선
유효표 수206,531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모리타 겐사쿠
(森田健作)
50,242표1위


34.38%당선
마쓰바라 진
(松原仁)
35,521표2위

무소속

24.3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도쿠도메 미쓰노부
(徳留道信)
35,150표3위


24.05%낙선
우에다 데쓰
(上田哲)
18,305표4위

무소속

12.35%낙선
파일:자유당.gif사타케 히로요시
(佐竹弘靖)
6,254표5위
4.25%낙선
야마구치 세쓰오
(山口節生)
662표6위
0.45%낙선
유효표 수146,134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모리타 겐사쿠
(森田健作)
92,711표1위
38.42%당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엔도 오토히코
(遠藤乙彦)
59,487표2위
24.65%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사미 노보루
(宇佐美登)
26,707표3위
12.2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구치 도미오
(山口富男)
23,942표3위
10.92%낙선
파일:덕주회.png미쓰다미 유키
(満田深雪)
2,925표5위
1.21%낙선
유효표 수241,283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나카니시 가즈요시
(中西一善)
90,693표1위
41.3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사미 노보루
(宇佐美登)
77,953표2위
35.55%비례당선
파일:보수신당 로고.png야마타니 에리코
(山谷えり子)
26,707표3위
12.1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구치 도미오
(山口富男)
23,942표4위
10.92%비례당선
유효표 수219,295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이라 마사아키
(平将明)
119,812표1위
46.7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우사미 노보루
(宇佐美登)
86,354표2위
33.6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후미노리
(佐藤文則)
25,0772표3위
9.78%낙선
나카니시 가즈요시
(中西 一善)
19,955표4위
7.78%낙선
사토 히로키
(佐藤博己)
5,313표5위
2.07%낙선
유효표 수256,511표투표율
63.91%
선거인 수


4.6.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타 노리히코
(藤田憲彦)
100,067표1위
37.5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이라 마사아키
(平将明)
93,583표2위
[3]35.09%비례당선
우사미 노보루
(宇佐美登)
46,107표3위
17.2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부야 가나메
(渋谷要)
23,622표4위
8.86%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시모가와 다카쿠에
(下川貴久枝)
3,118표5위
1.38%낙선
유효표 수254,121표투표율
64.21%
선거인 수426,496인


4.7.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이라 마사아키
(平将明)
96,810표1위
[4]39.37%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이누후시 히데이치
(犬伏秀一)
44,999표2위
18.30%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타 노리히코
(藤田憲彦)
42,424표3위
[5]17.25%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히로세 마사시
(広瀬雅志)
34,902표4위
14.1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모토 준헤이
(山本純平)
24,167표5위
9.83%낙선
사노 히데미쓰
(佐野秀光)
2,603표5위
1.06%낙선
유효표 수245,905표투표율
60.00%
선거인 수427,018인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이라 마사아키
(平将明)
109,377표1위
[6]50.3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타 노리히코
(藤田憲彦)
48,861표2위
[7]22.4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모토 준헤이
(山本純平)
38,925표3위
17.92%낙선
파일:차세대당_투명.png이누부시 히데이치
(犬伏秀一)
20,108표4위
9.25%낙선
유효표 수217,271표투표율
52.26%
선거인 수432,784인


4.9.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이라 마사아키
(平将明)
115,239표1위
[8]50.08%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이도 마사에
(井戸正枝)
53,480표2위
23.24%낙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난바 미치요
(難波美智代)
35,352표3위
15.3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오야마 고헤이
(青山昂平)
26,037표4위
11.32%낙선
유효표 수230,108표투표율
50.74%
선거인 수466,486인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4구
오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이라 마사아키
(平将明)
128,708표1위
[9]51.51%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니가와 도모유키
(谷川智行)
62,286표2위
24.93%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하야시 도모오키
(林智興)
58,891표3위
23.57%낙선
유효표 수249,885표투표율
54.43%
선거인 수474,029인

현역 자민당 다이라 마사아키 의원이 재출마한다.

지난 중원선에서 후보를 내지 않았던 일본공산당은 의사인 다니가와 도모유키 후보를 공천했다. 이도 마사에 전 의원의 도쿄 15구로 변경해 다니가와 후보가 야권 통일후보로 출마하게 되었다.

일본 유신회는 사회법인이사를 지낸 하야시 도모오키 후보를 공천했다. 처음에는 도쿄 10구에 공천을 받았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4구로 선거구가 변경되었다.

개표 결과, 자민당 다이라 마사아키 후보가 압승했다.

[1] 한국의 서울특별시 강서구 을 선거구와 공통점이 많은 선거구다. 강서구 을 선거구도 서울의 끝자락에 위치하며, 선거구 내에 공항이 있다. 그 외에도 두 선거구 모두 보수정당 소속 후보가 3연속으로 당선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거기다가 각각 도쿄-가와사키-요코하마와 서울-부천-인천으로 이어지는 도시구조 또한 비슷하다.[2] 1990년부터 1994년까지 민사당의 중앙집행위원장이었다.[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도쿄도 총지부 추천[8] 추천[9]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