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덤프버전 : r20200302





1. 개요
2. 제101~110호
3. 제111~120호
4. 제121~130호
5. 제131~140호
6. 제141~150호
7. 제151~160호
8. 제161~170호
9. 제171~180호
10. 제181~190호
11. 제191~200호



1. 개요[편집]


다음은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101호부터 제200호까지의 목록이다.


2. 제101~110호[편집]


  • 제101호: 충청남도 관사촌(50년 이상 경과된 건물 등록)
  • 현재도 충남도지사 관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 제102호: 울산 구 상북면사무소
  • 제103호: 울산 언양성당 본관 및 사제관(천주교 부산교구)
  • 제104호: 울산 구 삼호교
  • 제105호: 울산 남창역(창고제외)
  • 제106호: 울산 울기등대 구 등탑
  • 제107호: 춘천문화원
  • 제108호: 구 홍천읍사무소
  • 제109호: 화천 수력발전소
  • 제110호: 화천 꺼먹다리


3. 제111~120호[편집]


  • 제111호: 태백 장성이중교

  • 제112호: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 민간인통제선 안에 위치하여 있어 출입이 불가능하다. 단, 출입하기 위해서는 인근의 음식점을 이용하는 조건으로 출입해야 하는데, 이 곳에서 메기매운탕을 먹어야 한다. 2인분에 3만원이므로 이 정도의 돈을 쓰고 갈 각오하고 들어가야 할 것이며 원형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 제113호: 귀빈사 (제주시 소재 이승만별장)
  • 제114호: 목포시 양동교회
  • 제115호: 여수시 장천교회

  • 제116호: 여수 제2 마래터널
  • 여수엑스포역에서 만성리해수욕장쪽으로 가는 길에 있는 터널. 1차선짜리 좁은 터널로 암벽을 뚫어 만든 터널이다. 안에 들어가보면 아무런 마감 없이 암벽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 인상깊다. 1차선짜리 터널이기 때문에 중간에 서로 차가 비켜갈 수 있도록 만든 장소가 여러 군데 있다.


  • 제119호: 영광 법성리 일본식여관
    이전 명칭은 영광 법성리 구 기꾸야여관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명칭 변경됨

  • 제120호: 구례읍사무소


4. 제121~130호[편집]


  • 제121호 -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 제122호: 전라선곡성역
  • 신선 이설 후 곡성역은 신역사로 이전하였고, 구 역사는 섬진강 기차마을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 역은 코레일관광개발에 의해 위탁 관리되고 있다.

  • 제123호: 순천매산중학교 매산관
  • 제124호: 구 순천선교부 외국인 어린이학교
  • 제125호: 순천 구 선교사 코잇 가옥 (2005.12.27. 등록문화재 지정 해제, 전남지방유형문화재 259호로 승격)
  • 제126호: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 제127호: 순천 구 남장로교회 조지와츠 기념관

  • 제128호: 순천 원창역
    순천역구룡역 사이에 있으며 2014년에 보수공사를 하면서 구내 역명판이 없어졌다.

  • 제129호: 영산포 등대
  • 제130호: 장흥 예양리 8번지 가옥


5. 제131~140호[편집]


  • 제131호: 장흥 기양리 48번지 가옥

  • 제132호 - 구 보성여관
  • 보성군 벌교읍에 있는 일본풍 여관. 폐가 상태에 있던 것을 모 문화재 보호 단체가 개수하여 문화공간이자 벌교를 대표하는 새로운 관광명소로 자리잡았다. 숙박도 가능하나 숙박비가 비싼 편.


  • 제136호: 경의선 구 신촌역사
  • 서울역가좌역 사이에 있으며, 신역사 건설 때문에 좌우가 바뀌었다. 현재의 신역사는 민자역사로서 각종 상점 및 편의 시설이 들어서있다.

  • 제137호: 구 철원제2금융조합 건물지
  • 한국전쟁 중에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민간인 통제선 안에 있기 때문에 민간인의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이 곳에 가려면 철원군 안보관광 견학코스를 이용해서 가는 방법이 유일하다. 늦어도 약 1주일 전에 한탄강관광사업소(철원군 동송읍 소재)에 전화하여 인적 사항을 통보하고 마지막에 나올 때 이 곳에 들러야 한다.



  • 제140호: 원주 천주교 대안리공소
  • 원주교구 관할 지역에서 풍수원성당[1]에 이어 2번째로 설립된 공소. 원주교구 흥업성당 관할이다.


6. 제141~150호[편집]



  • 제146호: 광주 장덕동 근대한옥
  • 1928년에 세워진 개량 한옥. 원래는 장덕동 527번지에 있어서 등록명도 '광주 장덕동 527번지 가옥'이었으나, 현재는 수완지구 개발로 장덕동 1291-1번지로 이전하여 보존 중이다. 2013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제147호: 거창 경덕재 (2014. 7. 3. 문화재 지정 해제, 화재로 인한 문화재적 가치 상실#)

  • 제148호: 산청군 금서면 민재호 가옥
  • 제149호: 구 통영군청
  • 제150호: 통영시 문화동 배수시설


7. 제151~160호[편집]


  • 제151호: 밀양시 교동 손병구 가옥
  • 제152호: 밀양 퇴로리 이병수 가옥

  • 제153호: 진주시 하촌동 남인수 생가 (2013.12.17. 문화재 지정 해제, 근거자료의 신빙성 부족, 지역주민의 증언 등 여러 정황 상 남인수 생가로 볼 수 없음)


  • 제155호: 구 제주도청사
  • 50년대 초반 제주도청으로 개관했으나 현재 제주시청으로 운영 중이다.

  • 제156호: 서귀포시 천제연 관개수로
  • 제157호: 남제주 구 대정면 사무소

  • 제158호 -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2] 수피아홀

  • 제159호: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메모리얼홀
  • 제160호: 철원 수도국지내 급수탑


8. 제161~170호[편집]


  • 제161호: 춘천 소양로 천주교회(천주교 춘천교구)
  • 다른 지역의 성당과는 달리 원형으로 되어 있는 구조이다.

  • 제162호: 천주교 춘천교구 홍천성당
  • 제163호: 횡성 천주교 원주교구 풍수원성당 구 사제관[3]
  • 제164호 -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 원주 중앙시장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원주지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등록문화재 중 은행으로 계속 사용되는 몇 안 되는 건물. 조흥은행 지점들은?

  • 제165호 - 원주 반곡역사
  • 중앙선 원주역치악역 사이에 있다. 이 곳은 드라마 및 영화의 촬영지로 사용되었으며, 6.25 전쟁때 격전이 벌어졌던 곳이다.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았으나 주변 혁신도시 개발로 열차가 다시 정차하게 되었다. 다만 몇년뒤 복선전철화가 될때 까지 한정.

  • 제166호: 구 태백 등기소
  • 제167호: 태백경찰서 망루
  • 제168호: 철도청대전지역사무소 재무과 3호 보급창고

  • 제169호: 대전 선화동 구 사범부속학교 교장 사택 (2012. 4. 19. 문화재 지정 해제, 화재로 인한 문화재적 가치 상실#)[4]



9. 제171~180호[편집]


  • 제171호 - 이상범 가옥 및 화실
  • 제172호 - 전주신흥고등학교 강당 및 본관 포치
  • 제173호 -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
  • 제174호 - 전주 다가동 구 중국인 포목상점
  • 제175호 - 정읍 신태인 구 도정공장 창고
  • 제176호 - 구 고창고등학교 강당
  • 제177호 - 구 부안 금융조합
  • 제178호 - 익산 구 이리농림학교 축산과 교사
  • 제179호 - 원불교 익산성지
  • 제180호 - 익산 중앙동 구 삼산의원


10. 제181~190호[편집]


  • 제181호: 익산 구 익옥수리조합 사무소 및 창고

  • 제182호: 군산 개정면 구 일본인농장 창고
  • 이전 명칭은 군산 구 시마타니 농장 귀중품 창고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명칭 변경됨. 마치 문이 없는 것처럼 보이나 사실 문이 있다.

  • 제183호: 군산 신흥동 일본식가옥
  • 이전 명칭은 군산 신흥동 구 히로쓰 가옥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명칭 변경됨

  • 제184호: 군산 해망굴
  • 제185호: 김제 증산법종교 본부영대 및 삼청전
  • 제186호: 김제 구 백구 금융조합

  • 제187호: 김제 신풍동 일본식가옥
  • 이전 명칭은 김제 신풍동 아리따 설계 가옥이었으나 문화재청 공고 제2009-157호(2009. 9. 1)에 의거 명칭 변경됨



11. 제191~200호[편집]


  • 제191호: 진안 강정리 전영표 가옥

  • 제192호: 창원 진해역사
  • 진해선의 종착역이다.
  • (실제 종착역은 통해역이나 이 역은 군사시설 내에 위치하고 있어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는 곳이다.)

  • 제193호: 구 진해해군통제부 병원장 사택
  • 제194호: 구 진해요항부 사령부
  • 제195호: 구 진해방비대 사령부
  • 제196호: 구 진해방비대사령부 별관
  • 제197호: 구 진해요항부 병원
  • 제198호: 구 마산헌병 분견대
  • 제199호: 마산 봉암수원지
  • 제200호: 창원 소답동 김종영 생가


[1] 풍수원성당 본당은 강원도 시도유형문화재 제69호로 이미 지정되어 있어서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다.[2]수피아여자중학교, 수피아여자고등학교[3] 본당은 강원도 시도유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어 있다.[4] 안타깝게도 2011년 12월 19일 새벽1시 55분경 불타서 지금은 빈 터만 남았다. 남은 자리 주변일대는 대전광역시에서 공원을 조성한다고 한다. 불탄 날 19일에 뉴스가 나왔는데 하필 이 날 김정일 사망 발표가 나서 묻혔다... 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