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4위 입상자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

1. 개요
2. 하계 올림픽
3. 동계 올림픽
4. 종목별
4.1. 하계 올림픽[1]
4.2. 동계 올림픽[2]


1. 개요[편집]


이 목록은 대한민국 올림픽 4위 입상 선수(또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한 선수)들을 모아놓은 문서다. 아쉽게 메달을 얻지 못한 경우이므로 특별히 정리했다.

* 기록 경기 또는 순위 결정전 방식의 종목에서 4위를 한 경우

* 토너먼트 방식의 종목에서 3~4위전(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한 경우

복싱은 별도의 3~4위전 없이 두 명 모두 동메달을 수여하므로 제외.

*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종목에서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한 경우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에는 패자부활전이 있어 준결승에서 패한 선수와 패자부활전에서 생존한 선수 총 4명이 2개의 동메달을 두고 동메달 결정전을 치른다. 여기서 패배한 2명의 선수를 의미하며, 정확한 등수로 따지면 공동 5위(2명)라 보는 게 옳다. 올림픽에서는 가라테[3]

, 레슬링, 유도, 태권도가 이 방식을 사용한다.

빠진 부분은 추가, 틀린 부분은 수정. 날짜는 모두 현지 시간 기준.

2.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날짜
11948 런던 올림픽남자역도밴텀급이규혁8월 9일
2남자역도패더급남수일8월 9일
31952 헬싱키 올림픽남자역도밴텀급김해남7월 25일
4남자역도라이트급김창희[4]7월 26일
5남자육상마라톤최윤칠7월 27일
61956 멜버른 올림픽남자역도밴텀급유인호11월 23일
7남자레슬링자유형 밴텀급이상균12월 1일
8남자육상마라톤이창훈[5]12월 1일
91960 로마 올림픽남자레슬링자유형 라이트급봉창원9월 6일
10남자역도페더급김해남9월 7일
111964 도쿄 올림픽남자역도미들급이종섭10월 14일
121972 뮌헨 올림픽여자배구대표팀[6]9월 7일
131976 몬트리올 올림픽남자유도하프헤비급조재기[7]7월 27일
14남자유도하프미들급이창선7월 29일
15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74kg김영남[8]8월 2일
161988 서울 올림픽남자역도-60kg민준기9월 20일
17남자양궁개인전인수9월 30일
18남자탁구복식김기택/김완9월 30일
19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남자역도-52kg고광구7월 26일
20여자유도-61kg구현숙7월 30일
21남자역도-90kg김병찬8월 1일
22남자기계체조마루유옥렬8월 2일
23남자레슬링자유형 -52kg김선학8월 5일
24남자레슬링자유형 -100kg김태우8월 5일
25여자필드하키대표팀[9]8월 6일
261996 애틀랜타 올림픽남자사격더블 트랩박철승7월 24일
27여자사격권총 25m부순희7월 26일
28여자탁구복식김무교/박경애7월 29일
29남자역도+108kg김태현7월 30일
30여자배드민턴단식김지현7월 31일
312000 시드니 올림픽남자펜싱에페 단체양노섭, 이상기, 이상엽9월 18일
32남자유도-73kg최용신9월 18일
33남자사이클포인트 레이스조호성[10]9월 20일
34여자역도-75kg김순희9월 20일
35여자배드민턴복식라경민/정재희9월 23일
36남자탁구복식유승민/이철승9월 23일
37남자기계체조안마이장형[11]9월 24일
38남자기계체조평행봉정진수9월 25일
39여자농구대표팀[12]9월 30일
40여자핸드볼대표팀[13]10월 1일
412004 아테네 올림픽남자사격공기소총 10m천민호8월 16일
42남자기계체조단체김대은, 김동화, 김승일, 양태영, 이선성, 조성민8월 16일
43남자유도-90kg황희태8월 18일
44여자탁구복식김경아/김복래8월 20일
452008 베이징 올림픽여자유도-52kg김경옥8월 10일
46남자역도-77kg김광훈8월 13일
47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96kg한태영8월 14일
48여자유도+78kg김나영8월 15일
49남자배드민턴단식이현일8월 16일
502012 런던 올림픽여자펜싱플뢰레 개인남현희7월 28일
51남자유도-73kg왕기춘7월 30일
52여자펜싱에페 개인신아람[14]7월 30일
53여자유도-63kg정다운7월 31일
54여자유도-70kg황예슬8월 1일
55남자유도-100kg황희태8월 2일
56남자유도+100kg김성민8월 3일
57남자수영자유형 1500m박태환8월 4일
58남자배드민턴단식이현일8월 5일
59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55kg최규진8월 5일
60여자탁구단체김경아, 당예서, 석하정8월 7일
61여자배구대표팀[15]8월 11일
62여자핸드볼대표팀[16]8월 11일
63여자태권도+68kg이인종8월 11일
64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남자사격권총 50m한승우8월 10일
65여자유도+78kg김민정8월 12일
66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66kg류한수8월 16일
67남자탁구단체이상수, 정영식, 주세혁8월 17일
68여자골프양희영[17]8월 20일
69여자리듬체조개인 종합손연재[18]8월 20일
702020 도쿄 올림픽[19]남자유도-60kg김원진7월 24일
71남자태권도-68kg이대훈7월 25일
72남자역도-67kg한명목7월 25일
73혼성사격10m 공기소총권은지/남태윤7월 27일
74여자유도-78kg윤현지7월 29일
75남자기계체조마루류성현8월 1일
76남자육상높이뛰기우상혁[20]8월 1일
77여자배드민턴복식신승찬/이소희8월 2일
78남자사격25m 속사권총한대윤8월 2일
79여자역도+87kg이선미8월 2일
80남자다이빙3m 스프링보드우하람8월 3일
81남자탁구단체전이상수, 장우진, 정영식8월 6일
82남자가라테카타박희준8월 6일
83남자야구대표팀[21]8월 7일
84남자근대 5종개인정진화8월 7일
85여자배구대표팀[22]8월 8일

3. 동계 올림픽[편집]




4. 종목별[편집]



4.1. 하계 올림픽[23][편집]


종목횟수
가라테1[24]
골프1[25]
근대 5종1[26]
기계체조5
농구1[27]
다이빙1[28]
레슬링8
리듬체조1[29]
배구3[30]
배드민턴5
사격7
수영1[31]
사이클1[32]
야구1[33]
양궁1[34]
역도15
유도14
육상3
탁구7
태권도2[35]
펜싱3
필드하키1
핸드볼2[36]
합계85


4.2. 동계 올림픽[37][편집]




5. 올림픽 메달리스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메달리스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020 도쿄 올림픽 종료 시점 기준.[2]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종료 시점 기준.[3] 2020 도쿄 올림픽 선택종목으로 실시되었다.[4] 다음 대회에서 동메달.[5] 손기정이 키운 선수이고 나중에 그의 사위가 되었다.[6] 김영자, 김은희, 유경화, 유정혜, 윤영내, 이순복, 이인숙, 이정자, 조혜정[7] 무제한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8] 다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9] 구문영, 권창숙, 김경애, 노영미, 손정임, 양혜숙, 유제숙, 이경희, 이귀주, 이선영, 이은경, 임계숙, 장동숙, 장은정, 진덕산, 한금실[10] 한국 사이클 사상 올림픽 최고 성적이다.[11] 형인 이주형은 평행봉 은메달, 철봉 동메달을 기록했다. 이장형이 메달을 땄다면 형제 메달리스트가 탄생할 수 있었다.[12] 강지숙, 김지윤, 박정은, 양정옥, 왕수진, 이미선, 이언주, 이종애, 장선형, 전주원, 정선민, 정은순[13] 김진순, 김향기, 김현옥, 문경하, 박정희, 오성옥, 오영란, 이남수, 이상은, 이정영, 정은희, 최현정, 한선희, 허순영, 허영숙[14] 이른바 1시간보다 더 긴 1초로 인해 4강에서 억울하게 떨어졌다. 올림픽 역사상 최악의 오심으로 뽑히는데 일가견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사건이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2012 런던 올림픽/사건사고 참고.[15] 김사니, 김연경, 김해란, 김희진, 양효진, 이숙자, 임효숙, 정대영, 하준임, 한송이, 한유미, 황연주[16] 권한나, 김온아, 김정심, 김차연, 류은희, 문경하, 심해인, 우선희, 이은비, 정유라, 정지혜, 조효비, 주희, 최임정[17] 공동 4위[18] 한국 리듬체조 사상 올림픽 최고 성적이다.[19] 역대 하계 올림픽 최다 4위.[20] 한국 육상 트랙, 필드 종목 사상 올림픽 최고 성적이다.[21] 강민호, 강백호, 고영표, 고우석, 김민우, 김진욱, 김현수, 김혜성, 박건우, 박세웅, 박해민, 양의지, 오재일, 오지환, 원태인, 이의리, 이정후, 조상우, 차우찬, 최원준, 최주환, 허경민, 황재균[22] 김수지, 김연경, 김희진, 박은진, 박정아, 안혜진, 양효진, 염혜선, 오지영, 이소영, 정지윤, 표승주[23] 2020 도쿄 올림픽 종료 시점 기준.[24] 2020 도쿄[25] 2016 리우[26] 2020 도쿄[27] 2000 시드니[28] 2020 도쿄[29] 2016 리우[30] 1972 뮌헨, 2012 런던, 2020 도쿄[31] 2012 런던[32] 2000 시드니[33] 2020 도쿄[34] 1988 서울[35] 2012 런던, 2020 도쿄[36] 2000 시드니, 2012 런던[37]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종료 시점 기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7:29:28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4위 입상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