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애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2010-2011 시즌
1R2R3R4R
이종애
삼성생명 / 센터
이연화
신한은행 / 포워드
이미선
삼성생명 / 가드
김단비
신한은행 / 포워드
5R6R7R8R
신정자
KDB생명 / 센터
김정은
신세계 / 포워드
변연하
KB국민은행 / 포워드
2011-2012 시즌
1R2R3R4R
신정자
KDB생명 / 센터
강영숙
신한은행 / 포워드
김단비
신한은행 / 포워드
신정자
KDB생명 / 센터
5R6R7R8R
신정자
KDB생명 / 센터
변연하
KB국민은행 / 포워드
김단비
신한은행 / 포워드
신정자
KDB생명 / 센터
2012-2013 시즌
1R2R3R4R
신정자
KDB생명 / 센터
임영희
우리은행 / 포워드
앰버 해리스
삼성생명 / 센터
티나 톰슨
우리은행 / 포워드
5R6R7R
나키아 샌포드
하나외환 / 센터
신정자
KDB생명 / 센터
김단비
신한은행 / 포워드
2013-2014 시즌
1R2R3R4R
박혜진
우리은행 / 가드
김정은
하나외환 / 포워드
커리
KB스타즈 / 포워드
양지희
우리은행 / 센터
5R6R7R
변연하
KB스타즈 / 포워드
이미선
삼성생명 / 가드
커리
KB스타즈 / 포워드
2014-2015 시즌
1R2R3R4R
김단비
신한은행 / 포워드
휴스턴
우리은행 / 포워드
임영희
우리은행 / 포워드
크리스마스
신한은행 / 포워드
5R6R7R
홍아란
KB스타즈 / 가드
양지희
우리은행 / 센터
토마스
하나외환 / 포워드



파일:/image/001/2011/04/11/PYH2010041204450001300_P2.jpg
이름이종애 (李宗愛)
출생1975년 3월 18일 (49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인성여자고등학교 (졸업)
포지션센터
신체187cm, 62kg
실업 입단1995년 SKC 여자 농구단 입단
소속 구단SKC-SK증권 여자 농구단 (1995~1998)
춘천 우리은행 한새 (1998~2005)
구리 금호생명 레드윙스 (2005.11.~2006.05.)
용인 삼성생명 비추미 (2006.05.~2011)

1. 개요
2. 실업 및 프로 시절
3. 시즌별 성적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 여자 농구의 한 시대를 풍미한 센터. 별명은 블록 슛의 여왕.


2. 실업 및 프로 시절[편집]


인성여고 출신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SK증권 여자 농구단에 입단했다. 1995년부터 실업무대에 뛰어들어 SK증권의 전성기를 열었지만, 1997년 우승과 함께 구단이 해체하면서 그녀는 상업은행으로 옮기게 됐다.

한국여자프로농구 출범 이후, 타미카 캐칭과 함께 우리은행의 세 차례 우승에 공헌한 후, 2005년 금호생명으로 잠시 트레이드되었다가 곧 FA 자격을 얻어 2006년 용인 삼성생명 비추미로 이적했다. 그리고 삼성생명에서 마지막 프로 우승을 노렸지만 신한은행의 위력에 가로막혀 우승에는 실패.

별명에서 알 수 있듯이 블록 슛에 탁월한 실력을 보여줬다. 전성기에는 블록 슛 기록을 다 가지고 있었을 정도. 다만 키에 비해서 몸무게가 나가지 않기 때문에 체력적인 면이나 몸싸움에서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1] 그래서 국제대회에서 1옵션 센터로서는 한계가 있었지만, 위치 선정과 블록 슛 타이밍에서는 여타 센터들에 비해 월등히 나은 기량을 과시했다. WKBL에서 열린 22번 정규리그[2]에서 블록 슛 타이틀만 무려 11번 수상했을 정도니, 블록 슛의 여왕이라는 수식어가 딱인 선수다.

국가대표로서 오래도록 뛰면서 많은 공헌을 했다. 가장 인상적인 순간은 역시 2000 시드니 올림픽. 당시 한국 여자농구가 올림픽 4강이라는 위업을 달성하는데 한 몫 크게 기여했던 선수다. 특히 조별 예선전에서 러시아 상대로 접전을 벌이던 도중 종료 직전에 결승골을 넣으면서 승리를 가져다 준 선수가 바로 이종애. 당시 1승 2패로 8강 진출이 불투명했던 상황에서 2승 2패로 균형을 맞추는 데 성공했고, 나아가 조별 리그 순위까지 높아지면서 대진에서 크게 유리해질 수 있었으며, 그랬기 때문에 4강까지 갈 수 있었다.

2010 - 2011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시즌에도 블록 슛 부문 1위를 차지한 만큼 세월의 흐름에 밀린 노장이 물러나는 모양새는 아니다. 다만 결혼한 지 9년이 되었고 본인의 나이도 만 36세가 된 만큼 더 이상 나이가 들기 전에 아이를 가지기 위해 은퇴하는 것이라고.

2011-12 시즌 개막전에서 WKBL 김원길 총재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한 은퇴경기를 가지며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삼성생명의 유소년 농구단 코치를 역임하고 있다.

극동대학교 사회체육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3. 시즌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시즌소속 구단경기 수2점 슛3점 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 슛
1998친선우리은행18/14
(57.14%)
0/0
(-)
4/5
(80.00%)
206102
1998여름854/110
(49.09%)
0/0
(-)
18/32
(56.25%)
126557510
1999겨울547/84
(55.95%)
0/0
(-)
15/22
(68.18%)
1094321121
1999여름15116/211
(54.98%)
0/1
(0.00%)
82/116
(70.69%)
314145261551
2000겨울849/99
(49.49%)
0/0
(-)
40/51
(78.43%)
1388222729
2000여름2078/155
(50.32%)
0/0
(-)
46/69
(66.67%)
202134361554
2001겨울1048/76
(63.16%)
0/1
(0.00%)
17/21
(80.95%)
1137311725
2001여름25106/186
(56.99%)
0/1
(0.00%)
71/101
(70.30%)
283152551340
2002겨울24101/206
(49.03%)
0/0
(-)
71/95
(74.74%)
273161251540
2002여름1462/132
(46.97%)
0/1
(0.00%)
28/47
(59.57%)
152112171027
2003겨울20134/230
(58.26%)
1/1
(100.00%)
72/99
(72.73%)
343136262027
2003여름20137/251
(54.58%)
0/2
(0.00%)
66/95
(69.47%)
340170311930
2004겨울19119/240
(49.58%)
0/2
(0.00%)
48/64
(75.00%)
28613043627
2005겨울2089/172
(51.74%)
0/0
(-)
28/54
(51.85%)
20613421935
2005여름2072/149
(48.32%)
0/0
(-)
34/57
(59.65%)
178142301634
시즌소속 구단경기 수2점 슛3점 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 슛
2006겨울금호생명2092/193
(47.67%)
0/0
(-)
52/86
(60.47%)
236194301132
시즌소속 구단경기 수2점 슛3점 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 슛
2006여름삼성생명1561/114
(53.51%)
0/0
(-)
16/31
(51.61%)
1388321423
2007겨울1760/137
(43.80%)
0/0
(-)
25/42
(59.52%)
14510338820
2007-0825122/260
(46.92%)
0/0
(-)
60/96
(62.50%)
304163341662
2008-0931174/353
(49.29%)
0/1
(0.00%)
67/110
(60.91%)
415261332486
2009-1038182/407
(44.72%)
0/0
(-)
73/114
(64.04%)
4372994722114
2010-1132198/418
(47.37%)
0/0
(-)
89/118
(75.42%)
485272451573
WKBL 통산
(22시즌)
4072109/4197
(50.25%)
1/10
(10.00%)
1022/1525
(67.02%)
52433050601268862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0:44:04에 나무위키 이종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 속의 저 모습도 그나마 체중이 늘어나서 저렇게 된 것으로 입단 당시엔 유니폼이 헐렁할 정도로 말랐었다. 프로화 되기 전 긴팔 유니폼이었고 그것 때문에 더 말라보였다.[2] 연도로는 12년차지만, 여름리그/겨울리그 체제가 있었기 때문에 정규리그 횟수는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