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라현 제1구

덤프버전 :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중의원 의원 ]

시가 1구시가 2구시가 3구시가 4구교토 1구
오오카 도시타카우에노 겐이치로다케무라 노부히데고테라 히로오카츠메 야스시
교토 2구교토 3구교토 4구교토 5구교토 6구
마에하라 세이지이즈미 겐타기타카미 게이로혼다 다로야마노이 가즈노리
오사카 1구오사카 2구오사카 3구오사카 4구오사카 5구
이노우에 히데타카모리시마 다다시사토 시게키미노베 테루오구니시게 도루
오사카 6구오사카 7구오사카 8구오사카 9구오사카 10구
이사 신이치오쿠시타 타케미츠우루마 조지아다치 야스시이케시타 타쿠
오사카 11구오사카 12구오사카 13구오사카 14구오사카 15구
나카츠카 히로시후지타 후미타케이와타니 료헤이아오야기 히토시우라노 야스토
오사카 16구오사카 17구오사카 18구오사카 19구효고 1구
기타가와 가즈오바바 노부유키엔도 다카시이토 노부히사이사카 노부히코
효고 2구효고 3구효고 4구효고 5구효고 6구
아카바 가즈요시세키 요시히로후지이 히사유키다니 고이치이치무라 고이치로
효고 7구효고 8구효고 9구효고 10구효고 11구
야마다 겐지나카노 히로마사니시무라 야스토시도카이 기사부로마쓰모토 다케아키
효고 12구나라 1구나라 2구나라 3구와카야마 1구
야마구치 쓰요시마부치 스미오다카이치 사나에타노세 타이도하야시 유미
와카야마 2구와카야마 3구
이시다 마사토시니카이 도시히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미키 케오쿠노 신스케와다 유이치로야나기모토 아키라타케우치 유즈루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사쿠라이 슈스미요시 히로키오구시 마사키고쿠타 케이지호리 겐지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호리바 사치코고바야시 시게키우마시마 토모코모리야마 히로유키엔도 료타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다나카 히데유키이치타니 유이치로무네키요 코이치나카시마 히데키와니부치 요코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미야모토 타케시토쿠나가 히사시모리야마 마사히토이케하타 코타로타니가와 토무
비례 26비례 27비례 28
아카기 마사유키사이토 알렉스오이시 아키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나라현 제1구
奈良県第1区
||
파일:shuinsen_Nara1.svg
선거인 수395,066명 (2021)
상위 도도부현나라현
하위 행정구역나라시(츠게 제외), 이코마시
국회의원

마부치 스미오




1. 개요[편집]


나라현의 북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나라시를 중심으로 구성된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 소속 마부치 스미오 국회대책위원장.


2. 상세[편집]


나라현의 핵심인 나라시가 속해있는 선거구이다. 도다이지, 사슴공원 등과 같이 ‘나라현’하면 떠오르는 관광지들이 이 선거구에 속한다. 원래는 나라시 이외의 다른 시군정은 속해있지 않았는데, 제48회 총선 직전에 나라현의 인구 감소로 인해 선거구가 4개에서 3개로 줄어들면서 이코마시까지 편입했다.

나라시의 동부 지역에서 보수 표가 많이 나옴에도 불구하고 무당파 성향이 강한 나라시 시내와 외곽의 주택단지들의 영향으로 전체적으로는 진보 성향이 우세를 보이기 때문에 야당 지지세가 강한 곳이다.[1] 때문에 민주당마부치 스미오 의원이 이 지역구에서 연속 5선을 기록했다. 처음 당선된 2003년 제43회 총선에서는 신진당에서 자민당으로 옮긴 다카이치 사나에 의원을 8% 차이로 제압했고, 낙선한 다카이치 의원은 인접 2구로 옮겨야했다.

이후 마부치 의원은 민주당이 참패한 제46회 총선제47회 총선에서도 각각 7천여표, 1만 1천여표 차이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마부치는 제48회 총선에서 희망의 당 소속으로 출마했으나 2,500표 차이로 근소하게 패배했고, 비례대표로도 부활하지 못해 낙선했다. 하지만 비례대표 승계 1순위라, 2년 뒤 의원직을 승계받았다.

결국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신의 지역구를 되찾았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나라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다카이치 사나에[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모리오카 마사히로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마부치 스미오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고바야시 시게키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마부치 스미오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1구
나라시, 소에카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다카이치 사나에60,507표1위


37.0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모리오카 마사히로50,249표2위


30.7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츠지 다이치33,802표3위


20.67%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이에니시 사토루18,994표4위


11.61%비례당선
유효표 수190,586표투표율
59.03%
선거인 수281,345인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1구
나라시, 소에카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모리오카 마사히로73,851표1위


44.1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부치 스미오54,684표2위


32.6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마리32,337표3위


19.33%낙선
파일:덕주회.png무카이 히로시6,401표4위

자유연합

3.83%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59.47%
선거인 수291,217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1구
나라시, 소에카미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부치 스미오79,529표1위


48.1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카이치 사나에65,538표2위


39.7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마미20,010표3위


12.12%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58.39%
선거인 수295,358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1구
나라시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부치 스미오73,062표1위


37.2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카기타 츄베에66,215표2위


33.74%비례당선
모리오카 마사히로41,914표3위
21.3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호소노 아유미15,071표4위
7.68%낙선
유효표 수207,669표투표율
68.54%
선거인 수295,882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1구
나라시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부치 스미오120,812표1위
60.6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모리오카 마사히로61,464표2위
30.8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노우에 요코14,732표3위
7.40%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쿠리오카 마유미2,137표4위
1.07%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68.38%
선거인 수295,931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1구
나라시(구 츠케무라 지역 제외)
(본청 관내, 서부·북부·동부의 각 출장소 관내, 츠키가세 행정 센터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부치 스미오68,712표1위
37.8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바야시 시게키61,043표2위
33.63%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오노 유지38,791표3위
21.3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토 에미코12,954표4위
7.14%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62.85%
선거인 수295,460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1구
나라시(옛 츠게무라 지역을 제외한 전역), 이코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부치 스미오79,265표1위
48.4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바야시 시게키67,473표2위
41.2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니가와 카즈히로16,996표3위
10.38%낙선
유효표 수175,851표투표율
56.82%
선거인 수295,236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1구
나라시(옛 츠게무라 지역을 제외한 전역), 이코마시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고바야시 시게키
(小林茂樹)
자유민주당90,558
(40.8%)
1위당선공명당 추천
마부치 스미오
(馬淵澄夫)
희망의 당88,082
(39.7%)
2위낙선
이노우에 요코
(井上良子)
일본 공산당21,782
(9.8%)
3위낙선
요시노 타다오
(吉野忠男)
일본 유신회21,484
(9.7%)
3위낙선
유효표 수221,906투표율 56.56%
유권자 수398,548

자민당 고바야시 시게키 후보가 처음으로 지역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기존 1구였던 나라시 지역에서는 1천표 차이로 패배했으나, 선거구 편입된 이코마시 지역에서 3,500표 차이로 이기며 최종적으로 2,500표 차이로 승리를 거두었다. 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한 마부치 스미오 후보는 2,500표 차이로 패배했다. 이코마시의 편입 이외에도, 지난 총선과 달리 일본 유신회 후보가 출마하며 야권표를 일부 빼앗아간 것이 패배의 원인으로 거론되었다. 마부치 후보는 비교적 높은 석패율인 97.3%를 기록하고도, 희망의 당이 비례대표 투표에서 낮은 지지율을 거두는 바람에 낙선했다.

희망의 당 비례대표는 긴키 권역에서 총 3명이 당선되었는데[3], 낙선자 중 마부치의 석패율 순위는 2위였다. 하지만 다루토코 신지 대표대행, 이노우에 가즈노리고이케 유리코 당수와의 친분등으로 인해 석패율과 상관없이 높은 순번을 받았기에 4위로 밀려 낙선했다. 이후 마부치는 희망의 당 긴키 권역 비례대표 의원이었던 다루토코 신지 의원의 2019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를 위한 사퇴로 비례대표 의원직을 승계받아 2019년 2월 다시 중의원의원이 되었다.

여담으로 바로 옆의 교토부 제6구도 이 곳과 똑같이 야권 분열로 인해 자민당이 지역구에서 승리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4]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라현 제1구
{{{#fff
나라시(옛 츠게무라 지역을 제외한 전역), 이코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마부치 스미오93,050표1위
39.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바야시 시게키83,718표2위
35.1%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마에카와 기요시게62,000표3위
26.0%비례당선
유효표 수238,768표투표율
61.30%
선거인 수395,066인

선거 당시의 나라 1구 관련 뉴스 영상

비례대표 결과
정당
득표수
(득표율)
7,332.182
(3.09%)
17,201
(7.25%)
66,126
(27.89%)
6,491
(2.74%)
74,980
(31.62%)
2,554
(1.08%)
37,276.816
(15.72%)
22,174
(9.35%)
2,993
(1.26%)
지역별 결과
나라시[5]3.08%7.76%27.76%2.80%30.00%1.14%16.14%10.01%1.29%
이코마시3.11%5.86%28.23%2.56%36.11%0.89%14.56%7.51%1.17%

현역 자민당 고바야시 시게키 의원과, 역시 임기 도중 의원직을 승계받은 현역 입헌민주당 마부치 스미오 의원이 재대결한다. 지난 총선에서 후보를 낸 공산당은 이번에는 후보를 공천하지 않아, 마부치 의원에게 조금 더 유리해졌다.

일본 유신회는 민주당 소속으로 나라현에서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참의원의원(재선)을 지내고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희망의당 소속으로 나라현 제3구에 출마했던 마에가와 기요시게 후보를 공천했다. 같은 정당에서 한솥밥을 먹었던 마부치 스미오와 마에가와 기요시게가 각각 다른 정당 소속으로 대결하게 된 셈이다.

선거 결과 입헌민주당 마부치 스미오가 지역구 당선, 자민당 고바야시 시게키와 유신회 마에가와 기요시게는 석패율 당선되었다. 이코마시에서는 수 백표 차이로 고바야시 후보가 우위를 보였으나, 선거구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나라시에서 마부치 후보가 크게 승리했다.
당선 후 소감을 말하는 마부치 스미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입헌민주당 마부치 스미오 의원과 자유민주당 고바야시 시게키 의원의 재대결 가능성이 높다.

일본 유신회에서는 현역 마에카와 기요시게 의원의 출마가 불투명하다.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재판 중인데 재심까지 공민권이 정지되는 수준인 벌금 30만엔형을 선고받은 상태다. 결국 의원직과 지부장직 모두 사직하며 새 후보를 구하게 되었다. # 새 후보로는 외무성을 거쳐 IT 대기업에 종사중인 다카노 아쓰시 후보가 지부장으로 선임되었다.

공산당에서는 이노우에 요시코 후보가 출마한다.
[1] 인근 지역구인 교토부 제6구도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2] 이후 옆 지역구인 나라현 제2구로 지역구를 옮겼다.[3] 이노우에 가즈노리, 다루토코 신지, 야마노이 가즈노리.[4] 그나마 교토 6구의 아마노이 가즈노리 의원은 석패율이 마부치보다 높아서 긴키 권역 비례대표로 구제되기는 했다.[5] 츠게 지역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