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관(군인)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백선엽 ||<width=20%> 2대
송요찬 ||<width=20%> 3대
유재흥 ||<width=20%> 4대
김종오 ||<width=20%> 5대
이한림 ||
|| 6대
박임항 || 7대
민기식 || 8대
장창국 || 9대
김계원 || 10대
서종철 ||
|| 11대
한신
|| 12대
최세인 || 13대
이소동 || 14대
정승화
|| 15대
김학원 ||
|| 16대
윤성민 || 17대
김윤호
|| 18대
소준열 || 19대
정진권
|| 20대
안필준 ||
|| 21대
정호근
|| 22대
이진삼
|| 23대
이문석 || 24대
조남풍 || 25대
이준
||
|| 26대
오영우 || 27대
이재관 || 28대
김석재 || 29대
김판규
|| 30대
김종환
||
|| 31대
정수성 || 32대
김병관 || 33대
김태영 || 34대
김근태 || 35대
정승조 ||
|| 36대
박정이 || 37대
박성규 || 38대
신현돈 || 39대
장준규
|| 40대
김영식 ||
|| 41대
박종진 ||<-4>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5><#006633> ※ 명칭 변천: 제1군사령관(초대~37대) ▸ 제1야전군사령관(37대~41대) ||
||<-5><#006633>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7기동군단_북진선봉.pn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
|| 초대
강원채 || 2대
김판규 || 3대
유학성 || 4대
전성각 || 5대
김종구 ||
|| 6대
나동원 || 7대
이광노 || 8대
김상언 || 9대
김영규 || 10대
정진권 ||
|| 11대
정호근 || 12대
여운건 || 13대
최평욱 || 14대
송응섭 || 15대
김정현 ||
|| 16대
이현부 || 17대
리재달 || 18대
이유수 || 19대
양인목 || 20대
이종옥 ||
|| 21대
김승광 || 22대
이선민 || 23대
김장수 || 24대
김병관 || 25대
김근태 ||
|| 26대
김영후 || 27대
박성규 || 28대
이준구 || 29대
임국선 || 30대
박찬주 ||
|| 31대
장재환 || 32대
이종섭 || 33대
이정기 || 34대
윤의철 || 35대
허강수 ||
||<-5><bgcolor=#15832d> ※ 초대~현재 : 중장 ||
||<-5><bgcolor=#15832d>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제19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김병관
金秉寬 | Kim Byungkwan
출생1948년 12월 12일 (75세)
경상남도 김해시
복무대한민국 육군
1972년 ~ 2008년
재임기간제19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2006년 11월 21일 ~ 2008년 3월 28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배우자 배정희
자녀슬하 2남
종교불교
학력경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화학공학 / 중퇴)
임관육군사관학교 (28기)
최종 계급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주요 보직제1야전군사령관
제7기동군단장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부장
제2보병사단
제6포병여단


1. 개요
2. 생애
3. 군 경력
4. 전역 후
4.1. 국방부 장관 후보
4.2. 전역 후 삶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군인. 최종 보직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2. 생애[편집]


1948년 생.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태어났으며, 서울 경기중학교 및 경기고등학교 졸업 후, 1967년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1]에 입학했으나, 한 학기 만에 자퇴하고 재수하여 육군사관학교를 28기 수석 입학/졸업하였다.[2] 1973년 3월부터 동년 6월까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2006년 11월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취임하여 2008년 3월까지 복무 후 퇴역했다. 2013년 2월 박근혜 정부의 제44대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었으나 38일 만에 자진사퇴하였다.


3. 군 경력[편집]















4. 전역 후[편집]




4.1. 국방부 장관 후보[편집]


전역 후 2013년 국방부 장관 후보로 지명되기도 하였으나 낙마하면서 김관진 장관이 유임되었다. 이 당시 논란이 일었던 것은 '여당 최고위원 9명 가운데 7명이 반대하는 상황에서 청문회를 1달 이상 끌었으며 결국 자진 사퇴하였다. 이 비리의혹에는




4.2. 전역 후 삶[편집]


[1] 1960년대 당시에는 서울대학교와 육사가 대학계 학벌 최강자의 자리를 다투고 있었다.[2] 같은 경우로 정승조 대장, 김성민 중장도 수석 입학/졸업자이다.[3] 사단장 시절 How To Make War를 번역하여 출간했다.무려 3판까지 발간한 책으로 군인들이 읽어야할 필독서 중 한권이다.[4] 중장2차 보직을 거치지 않고 대장 진급했다.그만큼 능력이 출중하다는 방증이다. 물론 인사적체도 한몫했다.[5] 김병관(1세대)~노병천(2세대)~김병주(3세대)[6] 당시 대장 2차 보직을 앞두고 육사 동기인 제3야전군사령관 김관진 대장이 합참의장, 제1야전군사령관인 김병관 대장이 육참총장으로 발탁되는것이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였으나 육참차장으로 대장진급도 하지못한 상태였던 박흥렬 중장이 육참총장으로 발탁되었고 김관진 대장은 합참의장으로 김병관 대장은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이 되었다. 당시 박흥렬 중장이 차장에서 총장으로 직행한 것은 김장수 총장 하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국방개혁정책을 추진하던 DNA의 연속성 유지를 위함이었다고 알려진다.[7] 벨 사령관은 김대장을 "전술의 달인(master tactician)이자 군사전략의 예술가(operational artist)라고 극찬하였다.[8] 업계에서 어지간한 사람들은 다 아는 유명한 브로커 업체다. 손원일급 잠수함 사업을 비롯, 대형 외국 무기체계 도입 시마다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전직 고위 장성들이 엄청나게 많이 이 업체의 고문을 거쳐갔다. 비단 김병관 대장만은 아니다. 실력과는 별개로 국내외를 가리지 않는 인맥만은 업계 최고라고 할 만하다.[9] 뉴데일리와 조갑제닷컴 등에서는 김병관의 낙마를 종북 주장까지 하면서 안타까워한 바 있다.[10] 휘하 장교들이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보고를 받았으나 묵살. 이후 육본에서 직접 수사해서 해당 영관들을 모두 구속하고, 김병관에게도 경고조치. 당시 사단 참모장이던 조정환은 2013년 기준으로 육군참모총장에 재임중이었는데 이 의혹이 발목을 잡아 합참의장이 되지 못 했다.[11] 군용전자무기에 들어가는 전지 독점공급업체이자 군용 신형포탄 공급업체. 김병관은 포병대대장과 포병연대장 근무 경력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병관 문서의 r1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김병관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8:23:51에 나무위키 김병관(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