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리 레치칼로프

덤프버전 :


그리고리 안드레예비치 레치칼로프(Григорий Андреевич Речкалов: 1920년 2월 9일~1990년 12월 20일)

1. 소개
2. 출생과 성장
3. 개전과 함께 참전
4. 대공포에 피격
5. P-39 격추왕
6. 장군이 되다



1. 소개[편집]


독소전쟁에서 56대의 적기를 단독으로 격추하고, 6대를 공동 격추한 소련 공군의 에이스 그리고리 레치칼로프소련연방영웅 칭호를 2회나 받은 전쟁 영웅이었다. 그는 소련 공군 역사를 통틀어 격추수 2위에 해당하는 엄청난 무공을 세웠다.


2. 출생과 성장[편집]


1920년 2월 9일에 소비에트 러시아 중부의 작은 마을 쿠디야코보에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난 그리고리 레치칼로프는 문화 생활을 즐기기에는 너무나 도시와 떨어진 곳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아들이 학교에 갈 나이가 되자 그의 부모는 스베르들롭스크 근처의 보포브쿠(Бобровку)란 마을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그리고리 소년은 학교를 다녔다. 소년 그리샤는 14살이 되고 중학교에 해당되는 교과 과정을 마치자 곧바로 직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마을의 공장에 전기공으로 들어간 그는 얼마 후 기술공이 되기 위하여 스베르들롭스크에 있는 공장 견습학교에 들어갔다. 당시 소련 정부는 조직 단위로 조종 교육을 장려하고 있었는데, 그리샤 소년도 지방 비행클럽에 가입했고 글라이더로 기초 비행과정을 이수할 수 있었다.

징병 연령인 18세가 되던 1938년에 육군에 입대한 그는 조종 특기를 살리기 위해 페름에 있는 군사비행학교로 옮겨가 정식으로 조종사 교육을 받게 된다. 레치칼로프는 정밀 신체검사 결과 다른 곳에는 이상이 전혀 없는 건강한 신체였으나 자신의 눈이 비행기를 몰기에는 치명적일 수도 있는 색맹이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된다. 원래 기준이라면 당연히 탈락될 터였으나, 기초 비행 교육을 좋은 성적으로 이수한 그를 아깝게 여긴 당국은 마침 유럽 대륙에 전운이 닥쳐오고 있어서 그대로 비행학교에 남을 수 있었다.[1] 그리고리 생도는 이에 보답하듯 실기와 필기에서 두각을 보이며 1941년에 상사 계급으로 조종사가 될 수 있었다. 소련 공군은 독일일본과는 달리 비행병 제도가 없이 조종사에게는 미국이나 영국처럼 부사관 이상의 계급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신참 조종사가 된 그가 처음으로 부임한 임지는 오데사 군관구에 주둔하고 있던 제55전투기연대(55-й ИАП)였다.


3. 개전과 함께 참전[편집]


따라서 그는 소련군핀란드침공했을 때폴란드쳐들어가 나치 독일나눠먹을 무렵만 해도 한창 비행 교육을 받고 있었던 탓에 참전하지 못했고, 첫 실전 기회는 독소전이 터지고 난 후였다. 1941년 6월 22일, I-153 복엽 전투기로 메서슈밋 전투기를 맞아 싸운 그는 추풍낙엽처럼 격추되던 다른 소련 조종사들과는 달랐다. 날카로운 급기동을 펼쳐 덮쳐온 적기의 기습을 피한 그는 날개 밑에 장착된 로켓탄을 전탄 발사하며 역습을 펼쳤다. 러시아측 자료에는 레치칼로프의 첫 격추는 로켓으로 이뤄졌다는 기록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실제로 그랬다면 대대적으로 선전되었을 것이 분명하므로 아마도 로켓과 기총을 함께 써서 격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독일이 소련에 침공한 첫 일주일 동안 그는 무려 30회를 출격했는데, 그중에서 10회는 실전 임무였다. 6월 27일에 몰도바에서 스쿠레니 부근으로 초계 비행을 나간 레치칼로프 소위는 독일 국방군정찰기 헨셸 Hs 126를 포착해 팽팽한 선회전을 벌인 끝에 격추시킬 수 있었다. 7월 11일에는 코토브스크 상공에서 폭탄을 떨구고 있던 융커스 Ju 88 폭격기를 잡아낼 수 있었지만, 그 폭격기는 폭탄창을 닫고 그리고리 소위가 탄 전투기 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도주해 엔진을 있는대로 오버부스트시키며 탄창이 빌 때까지 사격을 퍼부은 후에야 간신히 추락시킬 수 있었다. 레치칼로프는 첫 번째 힘들게 잡은 정찰기도 그렇고 독일 공군기는 폭격기 조차도 쉽게 잡을 수 없는 좁힐 수 없는 성능차를 절감했다.


4. 대공포에 피격[편집]


7월 26일에 두버사리 방면으로 지상군 지원을 위해 출격을 나갔던 그는 대공포 파편이 오른다리에 박히는 부상을 입었고, 그 상태로 지혈을 해가며 겨우 기지로 돌아와 기절했고, 곧바로 후송 조치되었다. 그가 치료를 마치고 연대로 다시 돌아온 것은 해가 바뀐 1942년 4월이였다. 그 해 여름에 55연대는 제16근위전투기연대(16 ГвИАП)와 통합되었다. 재편성을 거치며 정예 조종사 위주로 친위연대로 소속이 옮겨졌고, 이들은 낡아빠진 구식 전투기가 아니라 Yak-1 같은 신형 전투기들을 지급받게 된다.

당시의 소련 공군은 개전 초기에 강대한 루프트바페의 맹공에 무기력하게 으깨진 전력을 다시 긁어모으고 신형 항공기와 장비 보급에 박차를 가하며 대대적으로 부대 편제에도 메스가 가해졌는데, 제16친위전투기연대 또한 원래는 제216항공사단 예하로 있다가 제9친위항공사단 소속으로 지휘체계가 달라졌다.

1942년이 저물 때까지, 레치칼로프는 4대를 단독 격추시키고 2대를 공동 격추하는 전적을 보이고 있었다. 그 해 연말부터는 동맹국인 미국이 보내준 신형 전투기인 P-39 에어라코브라가 정예 조종사에게 우선적으로 할당되었는데, 그중에는 레치칼로프 소위도 끼어 있었음은 두말할 여지가 없다. 1943년 봄부터 캅카스 북부 전선과 쿠반 강 전선에서 독일 공군의 정예들과 치열한 전투를 거듭하게 된다. 1943년 5월 24일까지 194회 출격에 12번의 승리를 거둔 그에게는 소비에트 연방영웅 칭호가 수여되었다.

당시 엄청난 실전 경험을 쌓아가고 있던 전투조종사들은 지금과는 조금 달라서, 전장에서 탁월한 공중전 실력과 사격 솜씨를 보이는 에이스는 계급의 고하와 관계없이 동료나 부하들이 자연스레 우러르며 따르게 마련이었다. 이런 풍조는 소련 공군 뿐만이 아니었고, 독일이나 미, 영 조종사들도 마찬가지였다. 아마도 무리중에 돋보이는 에이스가 싸우는 것처럼 자신도 싸울 수 있다면 공적은 물론이고, 살아남을 확률도 자연히 올라가게 마련이었으니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리 레치칼로프가 그랬다. 그는 1943년 10월에 비행중대장이 되었고 1944년 5월에는 겨우 24살의 나이에 자신이 근무하던 부대의 부연대장이 되었고, 10월 2일에는 소령으로 진급했다.


5. P-39 격추왕[편집]


18살에 입대하여 소련 2위의 수퍼 에이스로 성장한 그리고리 레치칼로프 소령은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라보츠킨 La-7로 갈아타고 나치의 심장인 베를린 상공에서 마지막 전투를 치렀다. 4년 동안 450회의 출격을 하면서 122회의 교전을 경험했다. 복엽기인 차이카로 조종사 생활을 시작한 그는 곧 첫 단엽 전투기 I-16를 몰았고, 그나마 독일 전투기와 맞설 수 있게 된 Yak-1을 거친 후에는 P-39로 가장 많은 전과를 거두었다. 그는 P-39로 44대의 추축군 항공기를 떨구었는데, 항공 역사책에 에어라코브라로 가장 많은 적기를 격추시킨 사나이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대부분의 격추 기록을 2대의 미국제 전투기, 즉 P-39N-0(42-8747)과 P-39Q-15(44-2547) 2대의 에어라코브라로 이룩한 것이다. 그의 전과를 기종별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Bf 109 전투기 30대
Fw 190 전투기 5대
Bf 110 구축전투기 2대
Ju 87 급강하 폭격기 11대
Ju 88 폭격기 5대
He 111 폭격기 2대
Ju 52 수송기 3대
Fi 156 관측기 2대
Hs 126 정찰기 1대

레치칼로프는 자신을 수퍼 에이스로 만들어준 미국제 전투기를 아주 애용했고, 심지어 공식 석상에서도 침이 마르게 칭찬을 했을 정도였다. 전쟁이 끝나고 몇 년 후, 레치칼로프는 당 기관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증언했는데, 그때는 이미 미국과 경쟁 구도에 들어가고 있던 시기였기에 이와 같은 발언은 바람직한 상황이 아니었다.

"에어라코브라는 무장의 위력과 속도, 그리고 엔진의 신뢰성이 훌륭하게 조화를 이룬 전투기였지요. 물론 우리 전투기의 성능도 빠르게 독일 공군기를 따라잡았지만, P-39Q 같은 기종은 공중전에서 필요한 균형이 잘 잡힌 전투기였어요. 특히나 내가 보기에 가장 중요한 장점은 고감도 무전기를 꼽고 싶군요. 에어라코브라에 실린 무전기는 어떤 상황에서도 편대원들과 마치 옆에서 통화하는 것처럼 서로 교신할 수 있었습니다. 편대원들은 각자 자기가 본 상황과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 등에 관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나눌 수 있었고, 이걸 몬 다음부터는 우리 편대가 기습을 받는 일이 없어졌습니다. 게다가 우리 공군연구소에서는 이 전투기에 우리 조종사들의 의견을 반영해 개조를 전담하는 연구진을 편성해 그 성능은 더욱 개선되었지요."



6. 장군이 되다[편집]


전쟁이 끝난 후 그리고리 레치칼로프 소령은 공군에서 근무를 계속했다. 1951년에 참모 과정(Военно-воздушную академию)을 이수한 이 전쟁영웅에게는 제10전투기사단의 사령관 대리라는 보직이 기다리고 있었다. 1952년 6월 7일에 대령이 된 그는 제10항공사단(10-й авиационной дивизии)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레치칼로프가 장군이 된 것은 1955년 10월 26일이었다. 이듬해인 1956년 1월에 제236전투기사단(236-й истребительной авиадивизии)에서 잠시 지휘봉을 잡던 그는 11월 19일에는 극동 지구의 제146전투기사단(146-й истребительной авиадивизии)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7년 12월 17일에는 극동 방공군 사령관이라는 중책이 맡겨졌고, 1958년 10월 3일에는 중장 계급장으로 달고 노보로시스크 방공군(ПВО)으로 가서 직접 전투조종사들을 지도하고 가르쳤는데, 당시 37세의 레치칼로프 장군 휘하에 있던 조종사들은 가끔 실시된 지휘비행에서 젊은 조종사들을 압도하는 비행 실력을 선보였다고 증언했다.

레치칼로프 중장은 1959년에 군복을 벗고 민간인으로 돌아갔다. 2년 후인 1961년에 모스크바 대학교에 저널리즘 학부에 들어갔고 그후로는 쭉 모스크바에서 살았다. 1990년 12월 22일에 노환으로 사망한 그는 자신이 어렸을 때 살던 고장 보포브쿠의 마을 묘지에 위치한 어머니 무덤 옆에 묻혔다.

제2차 세계 대전 전투기 에이스 일람
[ 펼치기 · 접기 ]

▲ 180~228위
순위이름국적격추 수비고
229위베른트 갈로비치독일64대
위르겐 하르더독일
롤프 헤르미헨독일
발터 린트너독일
빅토르 페터만독일
에르하르트 페터스독일
귄터 라두슈독일
하인츠 뢰커독일
루돌프 쇠네르트독일
238위프란츠 괴츠독일63대
하인리히 호프만독일
게르하르트 호무트독일
빌헬름 쉴링독일
헤르만 슈타이거독일
쿠르트 벨터독일야간 56대 격추
제트 전투기 에이스 1위
244위칼-하인츠 코르데스독일62대
빌헬름 휘프너독일
헬무트 노이만독일
247위게르하르트 보이틴독일60대
한스-에케하르트 봅독일
호르스트 카르가니코독일
프란츠 체히독일
알프레트 프랑케독일
프란츠 흐르들리카독일
쿠르트 켈터독일
아우구스트 모르스독일
카를 문츠독일
알프레트 라우흐독일
257위알렉산드르 포크리쉬킨소련59대
한스-아놀트 슈탈슈미트독일
발터 보르허스독일
프란츠 에케를레독일
카를 슈테펜독일
파울 초르너독일
263위헤르만 부흐너소련58대
마르틴 베커독일
헤르베르트 브뢴레독일
프란츠 에케를레독일
지크프리트 엥퍼독일
헤르베르트 프리벨독일
빌헬름 프로이뵈르트독일
게르하르트 라트독일
하네스 트라우트롭트독일
시노하라 히로미치일본
그리고리 레치칼로프소련
274위니콜라이 굴라예프소련57대
하인리히-빌헬름 아네르트독일
콘라트 바우어독일
발터 브란트독일
후고 다머독일
쿠르트 에베너독일
아돌프 칼쿰독일
헤르베르트 푸슈만독일
요하네스 자이페르트독일
헤르만 볼프독일
284위콘스탄틴 칸타쿠치노루마니아56대루마니아 1위
만프레트 에버바인독일
구스타프 프랑크치독일
호르스트 하제독일
하인츠 하클러독일
에리히 호하겐독일
헬무트 홀츠독일
에두아르트 이스켄독일
쿠르트 크나페독일
헬무트 쇤펠더독일
귄터 지거독일
하인츠 슈트뤼닝독일
에트문트 바그너독일
헬무트 뷔크독일
에이노 루카넨핀란드
299위카를-하인츠 벤데르트독일55대
빌헬름-페르디난트 갈란트독일
헤르베르트 바로이터독일
한스-디터 프랑크독일
가브리엘 타우처독일
304위오쿠무라 다케오일본54대
요한 바둠독일
한스 엘러스독일
아우구스트 가이거독일
빌헬름 하우스비르트독일
하인츠 레버독일
지크프리트 짐슈독일
하인츠 빈케독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23:31:45에 나무위키 그리고리 레치칼로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설에는 연대장이 그에게 연락 임무를 준 사이에 전달된 의료기록을 미처 검토하지 못해서 생긴 행정 착오라는 주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