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쿠무라 다케오

덤프버전 : (♥ 0)


오쿠무라 다케오(奥村 武雄: 1920년 2월~1943년 9월 22일)

1. 개요
2. 생애
2.1. 수병 출신 비행병
2.2. 중일전쟁에서 데뷔
2.3. 태평양 전쟁 개전
2.4. 라바울 항공대
3. 격추수 논란



1. 개요[편집]


일본의 전투기 조종사

2. 생애[편집]



2.1. 수병 출신 비행병[편집]


다이쇼 시대에 후쿠이현에서 태어난 오쿠무라 다케오는 격추수 54기로 일본 해군전투기 조종사 중에서 탑 클래스의 무공을 세운 에이스 파일럿이었다. 살아있을 때 계급은 상등 비행병조였으나 전사한 후에 1계급 특진되어 비행병조장이 되었다.


2.2. 중일전쟁에서 데뷔[편집]


1935년(쇼와 10년)에 일본 해군의 신병 훈련소 중 하나인 쿠레 해병단(呉海兵団)을 통해 입대했다. 원래는 수병으로 근무했으나 조종원을 지망하여 1938년(쇼와 13년) 2월에 규율이 엄격한 일본군에서 가장 혹독하기로 악명높은 조종 연습생 과정을 통과해 9월에 42기로 수료했다. 첫 자대로 제14항공대(第十四航空隊)에 배속된 그는 1940년(쇼와 15년) 10월 7일에 중국쿤밍을 공습하는 96식 육상공격기의 직엄대로 처음 실전 출격을 경험했다. 고후쿠다 테루후미(小福田晧文 : 1909~1995) 대위가 지휘한 이 전투에 오쿠무라 다케오가 함께 비행한 7대의 제로센은 이들을 요격하기 위해 접근해온 중국 공군의 I-15 전투기를 13대나 격추시켰는데, 오쿠무라는 이 데뷔전에서 무려 4대의 적기를 잡아내는 놀라운 전공을 세웠다. 약관 스무살의 신참 조종사는 첫 교전에서 에이스 문턱에 성큼 다가서게 되었다.


2.3. 태평양 전쟁 개전[편집]


태평양 전쟁이 터진 후인 1942년(쇼와 17년) 8월 24일에 항공모함 류조(龍驤)의 함상전투기 대원으로 참전한 그는 2차 솔로몬 해전에서 과달카날 근해의 미 해군 함선들을 공격하는 97식 함상공격기를 엄호하기 위해 장거리 출격을 감행한다. 이 날, 모함인 류죠는 미 해군의 함상폭격기 18대와 함상공격기 9대의 합동 공격을 받고 대파되었다가 결국 침몰하게 된다.

이 전투에서 오쿠무라 병조는 몇 대의 미군기와 동시에 교전을 펼치고 격추도 하는 등 나름의 활약을 했지만, 모함을 잃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8월에 라바울에 기지를 전진 배치시킨 타이난 해군항공대(11월부터는 251해군항공대로 개칭)에 전속되었다. 하루에도 몇 차례씩 출격하며 미군들과 싸우던 그는 12월 10일에 잠시 본토에 돌아갔는데, 이때까지 그의 격추수는 14대를 헤아리고 있었다.


2.4. 라바울 항공대[편집]


1943년(쇼와 18년) 7월, 제201해군항공대로 소속을 옮긴 오쿠무라 다케오는 다시 라바울 기지로 돌아갔다. 그는 해군의 비상 활주로를 겸하고 있던 부인 기지로 가서 작전에 참가했다. 9월 14일에 연합군의 대규모 공습 부대가 부인 기지로 접근해오자, 오쿠무라는 기지 방어를 위해 긴급 출격했다. 그는 이날의 교전에서 무려 10대의 격추를 보고했는데, 그 내역은 B-24 중폭격기 1대, F4U 1대와 5대의 F6F, 그리고 미 육군 소속의 P-40 전투기 2대와 마지막으로 SBD 1대였다. 이 격렬한 전투에서 혁혁한 무공을 세우고 살아 돌아온 오쿠무라에게는 11항함 사령관인 구사카 진이치(草鹿任一) 제독이 직접 무공훈장을 수여해주었다.

오쿠무라는 9월 22일에도 뉴기니 폰반도 레틴 곶 앞바다를 통과하는 연합군의 수송함대를 공격하러가는 아군 폭격기들을 엄호하기 위해 출격하지만, 돌아오지 못했다. 가와이 시로(河合四郎) 대위가 지휘한 이 전투에서 귀환한 동료 전우들의 증언에 따르면, 오쿠무라 다케오는 50대가 넘는 P-38과 P-40의 합동 공격에 맞서는 것이 마지막 모습이었다고 한다. 항공대장은 전사한 오쿠무라가 세운 공적을 기리기 위해 2계급 특진과 금치 훈장 추서를 상신했지만, 이 서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3. 격추수 논란[편집]


1943년 이후 일본 해군은 더 이상 조종사 개인의 격추 기록을 집계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오쿠무라 다케오 역시 정확한 격추수는 불명확하다. 그렇지만 일본 해군항공대를 오랫동안 연구해오면서 여러 권의 저서를 펴낸 항공역사가 헨리 사카이다의 주장에 따르면, 오쿠무라 다케오는 중일 전쟁에서 4대, 솔로몬 항공전에서 대략 50대의 적기를 격추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격추 전과는 미군과의 대조에 의해 상상 부분이 과장되거나 피해를 입은 기체까지 추락한 것으로 오인한 것이며, 실제로는 30기 전후가 적절한 전과라는 주장이 사실에 가까울 것이다. 어쨌든, 일본측 자료에 의하면 오쿠무라 다케오는 스기타 쇼이치 다음가는 에이스로 정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전투기 에이스 일람
[ 펼치기 · 접기 ]

▲ 180~228위
순위이름국적격추 수비고
229위베른트 갈로비치독일64대
위르겐 하르더독일
롤프 헤르미헨독일
발터 린트너독일
빅토르 페터만독일
에르하르트 페터스독일
귄터 라두슈독일
하인츠 뢰커독일
루돌프 쇠네르트독일
238위프란츠 괴츠독일63대
하인리히 호프만독일
게르하르트 호무트독일
빌헬름 쉴링독일
헤르만 슈타이거독일
쿠르트 벨터독일야간 56대 격추
제트 전투기 에이스 1위
244위칼-하인츠 코르데스독일62대
빌헬름 휘프너독일
헬무트 노이만독일
247위게르하르트 보이틴독일60대
한스-에케하르트 봅독일
호르스트 카르가니코독일
프란츠 체히독일
알프레트 프랑케독일
프란츠 흐르들리카독일
쿠르트 켈터독일
아우구스트 모르스독일
카를 문츠독일
알프레트 라우흐독일
257위알렉산드르 포크리쉬킨소련59대
한스-아놀트 슈탈슈미트독일
발터 보르허스독일
프란츠 에케를레독일
카를 슈테펜독일
파울 초르너독일
263위헤르만 부흐너소련58대
마르틴 베커독일
헤르베르트 브뢴레독일
프란츠 에케를레독일
지크프리트 엥퍼독일
헤르베르트 프리벨독일
빌헬름 프로이뵈르트독일
게르하르트 라트독일
하네스 트라우트롭트독일
시노하라 히로미치일본
그리고리 레치칼로프소련
274위니콜라이 굴라예프소련57대
하인리히-빌헬름 아네르트독일
콘라트 바우어독일
발터 브란트독일
후고 다머독일
쿠르트 에베너독일
아돌프 칼쿰독일
헤르베르트 푸슈만독일
요하네스 자이페르트독일
헤르만 볼프독일
284위콘스탄틴 칸타쿠치노루마니아56대루마니아 1위
만프레트 에버바인독일
구스타프 프랑크치독일
호르스트 하제독일
하인츠 하클러독일
에리히 호하겐독일
헬무트 홀츠독일
에두아르트 이스켄독일
쿠르트 크나페독일
헬무트 쇤펠더독일
귄터 지거독일
하인츠 슈트뤼닝독일
에트문트 바그너독일
헬무트 뷔크독일
에이노 루카넨핀란드
299위카를-하인츠 벤데르트독일55대
빌헬름-페르디난트 갈란트독일
헤르베르트 바로이터독일
한스-디터 프랑크독일
가브리엘 타우처독일
304위오쿠무라 다케오일본54대
요한 바둠독일
한스 엘러스독일
아우구스트 가이거독일
빌헬름 하우스비르트독일
하인츠 레버독일
지크프리트 짐슈독일
하인츠 빈케독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1:30:40에 나무위키 오쿠무라 다케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