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버스 8109

덤프버전 : (♥ 0)

||

파일:경기순환8109AJS.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성남시 CI_White.svg 성남시 경기순환버스 810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8109 노선도.svg
기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오리역)종점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킨텍스 제2전시장)
종점
첫차05:00기점
첫차05:00
막차23:30막차23:30
평일배차40~60분(1일 24회)주말배차40~70분(1일 21회)
운수사명경기고속인가대수8대

경유 정류장
성남(분당)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고양(일산)
오리역가천대안산공원(상)
백석역(하)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정자역구리영업소마두역
롯데백화점.수내역일산동구청
서현역.AK플라자불암산영업소주엽역
이매역.농업기술센터.진흥아파트.동신아파트(상)
이매역(하)
대화역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양주영업소킨텍스제2전시장

2. 개요[편집]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경기순환버스 노선으로, 분당신도시일산신도시를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171.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10년 8월 23일에 개통되었다.



  • 2016년 11월 5일에 성남TG 내 정류장이 폐지되면서 무정차 통과한다.

  • 2020년 1월 2일부터 이매역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21년 9월 1일부터 적자 누적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될 예정이었으나 운수업체 공식 입장, 고양시에서 8109번의 10월 중 경기도 공공버스 편입과 보조금을 더 지원하는 전제 하에 운행을 계속하기로 하였다. 관련 글 고양시가 유독 경기도의 공공버스 정책에 부정적이라 이 노선에도 참여를 거부하여 결국 폐선으로 가닥지었는데, 폐선 직전 운수업체와 지자체, 경기도간 회의 끝에 8월 31일 저녁에 고양시의 예산 투입이 극적으로 결정되면서 폐선만은 막게 된 것. 다만 이후에도 고양시의 우호적이지 않은 반응에 대한 기사가 나오는 등 갈등이 완전히 봉합된 것은 아니었다.

  • 2021년 11월 1일에 예정대로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노선 면허 지자체가 광주시에서 성남시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인가대수는 차량출고 전까지는 14대에서 8대로 축소되었다. 다만 공공버스 전환 직전까지 4대만 운행하는 파행운행이 이어져왔기에 실제 운행대수는 늘어났고 배차간격도 40~70분으로 대폭 줄어들었다.
    • 평일 28회, 주말 24회로 운행횟수가 정해졌는데, 첫날부터 월요일 정체와 맞물려 배차간격이 깨지는 상황이 벌어졌다. 당시 배차 기록

  • 2022년 2월 5일부터 운행횟수가 평일 26회, 주말 23회로 감축되었다.


4. 특징[편집]


  • 전 구간 완주 시 2시간이 소요된다. 단,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현재 대한민국 내륙에서 운행거리가 가장 긴 시내버스 노선이다.[1] 개통 당시에는 경기도 시내버스 중 가장 거리가 긴 노선이었으며, 전국에서 가장 긴 노선이었으나 8906번안양시양주시로 연장되면서 왕복 거리가 191km로 길어지자 8109번은 2위로 밀려났다. 전국 레벨로 보면 제주도 버스들이 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더욱 밀려났다. 그러나 2022년 11월 1일에 8906번이 부천시로 단축되면서 다시 한반도에서 제일 긴 시내버스 타이틀을 받게되었다.

  • 주 수요는 영업소 간의 환승 수요와 분당, 일산-영업소 환승 수요이며, 관련 게시물에서 볼 수 있듯이 일산-분당을 오가는 초장거리 수요 또한 존재한다.

  • 성남시 기준으로 청계TG 방향으로 이동하면 운행 거리가 단축되지만 경기순환버스의 개통 취지인 환승 유도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산~중동~시흥 구간의 유달리 심각한 상습정체를 피하고, 구리시, 남양주시에서의 환승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서 일부러 구리남양주TG 방향으로 노선을 선정하였다.[2] 그래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민자구간을 모두 경유하는 유일한 버스가 되었다.

  • 신설 당시 노선 번호가 잘못 부여되었다. 간선급행버스 노선 번호 규칙을 따르면 8107번이 맞지만 노선이 개통된 후 지금도 8109번이 유지되는 중이다.[3] 경기도 역시 잘못된 부분을 파악하였지만 비용 문제도 있고 이용객들도 그렇게 신경쓰지 않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 행선판과 LED에는 '성남'과 '고양'이라고 적혀있지만 통상적으로 성남이라고 불리는 중원구[4] 경유하지 않고, 고양으로 불리는 덕양구를 경유하지 않는다. 경유하는 것은 맞지만 시 전체를 경유하지는 않는 것이다. 그래서 개통하고 얼마 뒤에는 성남 밑에 '분당', 고양 밑에는 '일산 킨텍스'라는 표기를 병기하였다. 이후 8109번의 인지도가 올라가면서 부가 표기는 사라지게 된다.

  • 대학생들의 이용률이 높다. 고양은 물론 구리/남양주에 거주하는 성남/용인/광주 권역 대학교의 대학생들에겐 이만한 노선이 없기 때문.
    • 단국대학교 - 미금역이나 오리역에서 102번, 1101번, 8100번, 7007-1번, 39-1번, 1303번으로 환승.[5]
    • 가천대학교, 동서울대학교 - 가천대 하차[6]
    • 을지대학교, 신구대학교, 한국폴리텍Ⅰ대학 성남캠퍼스 - 가천대에서 30번, 452번으로 환승.[7][8]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 가천대에서 1117번으로 환승.[9]
    • 동원대학교 - 가천대에서 500-1번, 500-2번으로 환승.[10]

  • M7731번과 비슷하게 KINTEX에서 행사가 열리면 만차가 되는 경우가 잦다. 대표적으로 2021년 12월 31일 HYBE 레이블즈 콘서트로 인해 킨텍스발 21:20차가 만석을 찍었고, 2022년 4월 2일에도 2022 LCK 스프링 결승전으로 인해 킨텍스발 22:20차가 만석을 찍었다. 또한 인근 고양체육관에서의 농구 경기 혹은 행사 이후에 성남 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유용하다.


4.1. 시간표[편집]


성남 버스 8109번 운행시간표(평일·토요일)
2023년 6월 8일 기준
횟수오리역킨텍스 제2전시장
105:0005:00
206:0005:30
306:5006:00
407:5006:40
508:4007:20
609:3008:00
710:2008:40
811:0009:20
911:4010:20
1012:2011:10
1113:0012:10
1213:4012:50
1314:3013:30
1415:3014:30
1516:2015:10
1617:0015:50
1717:5016:40
1818:4017:40
1919:3018:40
2020:1019:40
2120:5020:30
2221:4021:10
2322:3022:20
2423:3023:30

성남 버스 8109번 운행시간표(주말·공휴일)
2023년 5월 15일 기준
횟수오리역킨텍스 제2전시장
105:0005:00
206:0005:30
307:1006:00
408:2006:40
509:3007:20
610:1008:00
710:5009:10
811:3010:20
912:4011:10
1013:3012:10
1114:3012:50
1215:3013:30
1316:2014:30
1417:2015:30
1518:0016:30
1619:0017:40
1720:0018:40
1820:5019:40
2921:4020:30
2022:3021:10
2123:3023:30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1:13:10에 나무위키 성남 버스 810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도서 지역까지 포함 시 제주시 간선 201번이 가장 길다.[2] 실제로 구리남양주TG, 불암산TG에서 8109번으로 환승하여 성남시 방면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많다. 가천대 한정으로 8401번이나 8409번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3] 9번은 의정부, 양주, 동두천 권역 번호이다.[4] 그나마 수정구에는 가천대 정류장이 있어서 성남 본시가지 이동 수요를 책임질 수 있다.[5] 실제로 8109번이 개통하고 단국대학교는 일산행 통학버스를 폐지했다.[6] 가천대는 가천대 정류장 바로 앞에 있으며, 동서울대는 한번 더 환승하는 것이 낫다.[7] 신구대의 경우 단대오거리역에서 한 번 더 환승해야 한다. 단대오거리역에서 신구대까지의 거리는 1km 정도로 먼 거리는 아니지만 도보로 20여 분이 걸린다. 이외에도 가천대가 아닌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에 내려서 57번으로 환승하는 방법이 있다.[8] 한국폴리텍대학의 경우도 수정로 연선에서 330번으로 갈아타면 더 빨리 도달할 수 있다.[9] 야탑역에서 1005번을 타는 방법도 있지만, 우선 길을 건너서 타야하고 1005번에 노선 굴곡이 있으며 무엇보다 배차간격이 기본 30분이다. 또한 서현역에서 1150번이나 1500-2번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지만, 두 노선이 정차하는 이매촌한신아파트 정류장은 8109번이 정차하는 서현역 정류장과는 600m 넘게 떨어져 있다. 그리고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에서 1303번이나 오리역에서 60번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지만, 분당 남쪽까지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10] 다만 이쪽은 구리영업소에서 11번, 100번 환승 후 강변역에서 1113-1번을 타는 게 훨씬 빠르다.[11]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