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그콘서트/2019년

덤프버전 : r20200302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개그콘서트

파일:개그콘서트-로고.png
[ 방영 코너 순서 ]

2020년 2월 15일(1036회) 기준
쓴대로 간다● 01 · 히든 보이스● 02 · 콘서트 기타 등등 03 · 2020 뮤지컬● 05
2020 생활사투리 06 · 절대감 유민상 07 · 셀럽 언니 08 · 단골 로맨스 09 · 화려한 외출● 10
가짜 뉴스 11 · 주간 박성광 · 운수 좋은 날
코너명 뒤의 숫자는 방영 순서
명확한 종영 공지 없이 일주일간 방영되지 않은 코너/편집된 코너/방영 예정 코너 등은 취소선으로 처리
결방이나 특집을 제외하고 편집되지 않았거나 방영분에서 누락되지 않은 코너는 ● 표시
문서 갱신 시 틀:개그 콘서트로 이동 및 편집
신설 코너 문서 생성 시 템플릿:개그 콘서트 템플릿을 사용할 것.

[ 기타 문서 ]



1. 전반기
1.1. 1000회 특집
1.1.1. 방영목록
1.1.1.1. 1부(5월 19일)
1.1.1.2. 2부 (5월 26일)
1.1.2. 기타
2. 후반기
2.1. 대규모 개편과 이후
2.1.1. 시간대 변경
3. 시청률
4. 현황
4.1. 신설 코너 / 데뷔 및 복귀
4.2. 종영 및 방영 중단 / 하차
4.3. 게스트 출연 현황



1. 전반기[편집]


1월 6일 첫 방송에서는 해봅시다에 서남용, 강유미, 이원구, 김민경, 임재백, 조수연, 정승빈, 홍성현 등 최근 나오지 않은 출연진이 등장했다.

작년 말에 정승환, 김정훈, 정명훈, 오기환 등의 복귀에 이어 수많은 개그맨들[1]의 복귀가 이루어졌고, 이해 전반기에 32기 신인들이 본격적으로 데뷔했다.[2]

1월 13일에는 편집된 코너가 2~3개였던 시기에 비해 편집된 코너가 4, 5개로 많아졌다.

2월 10일에는 양선일의 딸, 양비아가 특채 아역 배우로 데뷔했다.

이젠 아예 그나마 있던 관심마저 사라졌는지 과거엔 개그 콘서트에 대한 비판이 자주 제기되었지만, 현재는 그 부정적인 의견마저도 찾아보기 힘들다.

설상가상으로 원년 멤버인 김준호가 내기 골프 논란으로 인해 불명예 하차를 해, 3월 17일 방송분에서 김준호가 출연하는 과한 나라 코너가 편집되는 등 악재가 생길 것으로 보였으나 시청률에서는 6.8%를 기록하면서 3개월 만에 6% 대 시청률을 회복했다.

3월 24일까지 행보를 보면 코너와 역할 교체가 너무 자주 일어난다.

4월 28일에는 편집된 코너가 하나도 없었다.

1000회 특집 방송 이후 방영된 6월 2일 시청률은 6.8%을 기록했으며, 1000회 특집 시청률을 제외하면 최고 시청률이다.

시청률 격차가 컸던 2018년에 비해 이젠 개콘 애청자들만 남았는지 시청률이 5~6%대에만 머무르고 있다. 그래도 3월 들어서, 시청률이 6%대를 자주 기록하고 TNMS에서도 집계되는 걸로 보아 2018년보다는 확실히 나아졌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2018년에는 TNMS 시청률까지 5~6%대를 자주 기록했지만 2019년에 들어 TNMS 시청률이 점점 상승세를 보이더니 10% 대까지 달성하면서 현재는 7~8%대 수준이다.

닐슨코리아 또한 2019년에 들어 상승세를 보이더니 6월 9일 1년만에 시청률 7%대를 회복하면서[3] 어느 정도 희망이 생기는가 싶었으나 6월 16일에는 시청률이 6%로 대폭 하락했다. 그래도 TNMS 시청률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번에 또 다시 7%를 기록한 걸 보면 확실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월 19일에는 3년간 개콘의 메인코너였던 봉숭아 학당이 막을 내렸다.

1.1. 1000회 특집[편집]


5월 15일에 KBS 홀에서 1000회 특집 녹화를 했으며, 5월 19일, 5월 26일에 2부작으로 방영되었다.

예고편을 통해 김미화, 심현섭, 임혁필, 윤형빈, 박성호, 박준형, 정종철, 유세윤, 유상무, 김병만, 장동민, 변기수, 이수근, 김준현, 황현희, 이승윤, 오지헌, 김경아, 정경미, 안영미, 안상태, 김기열, 이종훈, 이재훈, 김시덕, 노우진, 이광섭 등 한동안 개그 콘서트에 출연이 없었던 개그맨들도 출연할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노사연, 이무송, 뉴이스트, 김연자, 옹알스, DJ DOC, 전수경, 조재윤, 송은이, 윙크[4], 박상철이 게스트로 출연했다.

여담으로 김대희김준호와 함께 1000회 녹화를 꿈꿨으나 그가 내기 골프 논란으로 하차해서 아쉽다고 밝혔다.

1부에서는 오프닝으로 1000회 축하 쇼가 나왔으며, 순서대로 김대희, 송준근, 박영진, 곽범, 박진호가 나왔고 송영길, 유민상이 나온 다음 마지막으로 신봉선, 안소미 외 두명의 개그맨이 등장하면서 북 연주를 했다.

1000회 특집이라서 그런지 시청률이 8%까지 오르면서 2년 만에 8% 대를 달성했다. 다만, 2017년에는 8% 대를 쉽게 찍었고[5] 900회 때는 10%를 넘었던 걸 감안하면 1000회 특집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참고로 TNMS에서는 10.6%을 기록했다.

1부 엔딩에서는 DJ DOC가 나와 나 이런 사람이야 공연을 했다.

2부 오프닝에서도 현 출연진들에 의한 축하 공연이 있었다. 정명훈지휘자(?)[6]로 나왔으며 복현규, 양상국, 류근지, 김성원, 김장군, 송준석, 박대승, 장준희, 이성동, 김회경, 정해철, 조진세, 정진하 등이 군인합창단으로, 박소라, 강유미, 김민경, 황정혜, 최희령, 엄지윤, 송이지, 정승환, 송재인, 이재율[7] 등이 성가대로, 장기영, 안소미, 이창호, 김두현, 전수희, 이정인, 이가은, 장하나, 김니나, 오나미, 박소영 등이 꽃봉오리 예술단으로,[8] 이세진, 심문규, 윤승현, 이승환이 래퍼로 나왔다.[9]그리고 뉴이스트의 특별 쇼도 나왔다.

2부에서 방영된 달인에서는 류담이 배우 활동을 해서 서태훈이 대신 출연했다. 중간중간에 카메라에 전유성이 비춰져서 올드팬들이 감회에 젖기도 했다. 랜덤울화통도 녹화되었지만 통편집되었다.

2부 엔딩에서는 김연자가 아모르파티 공연을 했으며 그녀 뒤에는 개그맨들이 다 무대위로 우르르르 몰려들어서 신나게 뛰었다.

대체로 시청자들의 반응은 좋았다. 그렇지만 마치 예전 무한도전의 토토가 때처럼 개콘이 재미없어진 게 아니라 그냥 요즘 개콘의 코너들의 수준 자체가 낮아진거 아니냐는 얘기들이 굉장히 많이 나오면서 이에 대한 갑론을박도 꽤 나왔는데 특히 마지막 코너였던 트로트라마란 코너는 1000회 특집으로 개콘을 다시 보러 유입된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가창력만 뽐내면서 루즈하고 식상하면서 억지 감동코드게스트에만 의존하는 못된 버릇을 못 고쳤다는 오해를 사기도 했다.[10]


1.1.1. 방영목록[편집]



1.1.1.1. 1부(5월 19일)[편집]

순서코너출연자
오프닝1000회 축하 쇼김대희, 송준근, 박영진, 곽범, 박진호, 송영길, 유민상, 신봉선, 안소미
1비상대책위원회김원효, 김준현, 송병철, 강성범
2깜빡 홈쇼핑안상태, 김진철
3그만했으면회곽범, 김두현, 김원훈, DJ DOC(특별출연), 민성준, 황현희, 류근지, 송왕호, 조진세, 박소라
4시청률의 제왕박영진, 김회경, 오기환, 송준근, 김민경, 양선일, 류근지, 조재윤(특별출연), 전수경(특별출연)
5씁쓸한 인생김대희, 유상무, 이상호, 이상민, 이승윤
6사랑의 가족홍현호, 송영길, 오나미, 정종철, 오지헌, 박준형[11]
7분장실의 강선생님강유미, 김경아, 정경미, 안영미, 송은이
8봉숭아학당김미화, 김지혜, 강성범, 정종철, 심현섭, 임혁필, 김인석, 박성호, 윤형빈
엔딩나 이런 사람이야DJ DOC (특별출연)


1.1.1.2. 2부 (5월 26일)[편집]

순서코너출연자
오프닝 1 개그콘서트를 빛낸 인물들정명훈 외 다수의 개콘 출연진
오프닝 2뉴이스트 특별 쇼뉴이스트(특별출연)
1전지적 구경 시점권재관, 이문재, 이창윤, 전수희, 복현규, 엄지윤, 배정근, 이재율, 노사연(특별출연), 이무송(특별출연)
2슈퍼스타 KBS이광섭, 정종철, 유민상, 이수근, 변기수, 김태원, 옹알스[12]
3까다로운 변선생변기수, 박준형, 송병철, 김기열, 이종훈
4사랑의 카운슬러강유미, 유세윤, 이성동
5생활사투리이재훈, 김시덕, 박준형, 정종철
6달인노우진, 김병만, 서태훈
7대화가 필요해장동민, 신봉선, 김대희
8트로트라마서태훈, 안소미, 장하나, 김태원, 임성욱, 이가은, 박상철(특별출연), 윙크[13], 김연자(특별출연)[14]
엔딩아모르파티김연자(특별출연) 외 1000회에 출연한 모든 개그맨들


1.1.2. 기타[편집]


900회 특집 때 오프닝으로 프롤로그 축사를 했다면, 이번 1000회 특집은 난타 쇼(1부에서), <개콘을 빛낸 인물들> 노래 합창과 게스트 뉴이스트의 특별공연(2부에서)를 했다.

또한, 출연하지 못한 개그맨들을 대신해 그의 코너에서 출연한 개그맨들이 있었다. 예시로 유튜브 활동 중인 이상훈송준근이, 다른 프로그램 촬영으로 못 나왔던 박성광박영진이, 배우 활동 중인 류담서태훈김태원이, 코빅으로 이적한 허안나와 결혼해서 못 나온 김혜선, 이수지김민경오나미가, 행방을 알 수 없는 김대성과 한 동안 출연이 없었던 이동윤, 정태호 등은 유민상송영길 등이 대신했다.

김원효송병철, 이상민, 이상호, 오기환은 코너가 끝난 지 간만에 1000회 특집으로 다시 찾아왔었다. 또한, 합창단으로 나온 정해철은 특집 이후 미등장 중이다.

특집 사상 최초로 편집된 조충현과 양비아, 그리고 이상은을 제외한 출연진들 모두가 한명도 빠짐없이 출연했으며 그중 절반은 합창만 했다. 트로트라마아모르파티 쇼가 엔딩으로 된 게 호불호가 조금 있었다.


2. 후반기[편집]


원래대로라면 33기 신인들을 뽑을 테지만, 여러 문제들이 있다. 현재 출연 중인 개그맨들이 너무 많아 새로운 신인들의 출연 기회가 드물테고, 보통 5, 6월까지는 공채 개그맨 시험 공지가 나와야 하는데 아직도 언급조차 없다. 2017년처럼 아예 공채 개그맨 시험을 못 보는 건 물론, 33기 신인 개그맨 시험 일정을 어쩔 수 없이 2020년 상반기로 미뤄졌다.[15]

7월 21일 방송분에서는 장수 코너인 비둘기 마술단이런 사이다가 막을 내렸다. 또한 개콘에서 20년간 활동한 이태선밴드가 하차하였다.

20년 만에 프로그램의 재정비를 위해 7월 28일8월 4일에 예정되었던 방송이 취소되었으며, 각각 으라차차 만수로 스페셜과 특선 영화 동네사람들으로 대체 편성되었다.


2.1. 대규모 개편과 이후[편집]


리허설 때 PD는 레전드라고 불리는 추억의 얼굴들이 여럿 복귀할 예정이며 자세한 라인업은 곧 공개된다고 밝혔다. 일단 가장 먼저 공개된 라인업은 박성호, 김나희, 윤형빈이며 이후 박준형이 인터뷰로 김시덕, 이재훈과 함께 복귀한다고 밝혔다. 장동혁과 강성범 역시 복귀한다는 것이 김시덕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개되었다. KBS 연예가 중계에서는 이 둘은 윤형빈과 함께 복면까왕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8월 11일 방송부터는 세트장을 바꾸고[16] 야외 녹화, 비공개 녹화 등 다양한 형식을 선보였으며[17], 이태선밴드가 하차했다.(#)

개편 후 첫 방송에서 10개의 코너가 신설되었다. '개콘 실험카메라'와 '좀비 서바이벌'은 코미디쇼 희희낙락 이후 오랜만에 시도되는 비공개 코미디며, '복면까왕'과 '쇼미더아재'에서는 그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자막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개편위원회'가 신설되었으며 코너를 하는 동안 시청자들의 sns 댓글을 받는다. 그리고 코너가 끝날 때마다 개편위원회의 패널들이 코너를 본 평을 내린다.(김대희, 신봉선, 유민상)(#)

박준형이 12년만에 복귀해서 김시덕, 이재훈과 함께 2019 생활사투리라는 코너를 진행한다. 기존 정종철 역할은 김성원이 대체하며 충청도 사투리 사용자 역할로 배정근이 합류했다.

기존 코너인 트로트라마에는 코빅으로 이적했던 김나희가 복귀하여 합류했다. 여기서 김나희안소미내일은 미스트롯에서 만난 적이 있다. 클로징도 달라졌으며 출연진들이 모인 다음 개콘위원회의 멤버들이 클로징 멘트를 하면서 막을 내린다.

양비아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까꿍 회장님은 편집되었으며, 그 뒤 미방영 코너가 되었다.[18]

1회성 코너로 끝난 꿈나무 프로덕션은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를 성인 버전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불편함을 토로하는 시청자들이 적지 않았으며 가족이 함께 보기에 지나치게 선정적이었다는 지적도 있었다. 또한 복면까왕도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서인지 일회성으로 끝났으며, 8월 25일에는 2분 드라마가 나왔으나 결국 일회성으로 끝났다.[19]. 또한 9월 8일에는 평이 좋지 않고, 호불호가 갈렸던 코너 국제 유치원이 막을 내렸다.

개편과 여러 인기 개그맨들의 복귀에도 불구하고 첫 개편 방송은 5.4%를 기록하면서 3개월에 6% 아래로 내려앉았으며 TMNS에서는 올해 최저치인 6.2%를 기록했다. 또한 기존 코너는 모두 종영되었으며 수많은 개그맨들이 하차, 또다른 새코너인 '까꿍 회장님'은 편집된 뒤 방송에는 내보내지 않았다.[20](#)

8월 18일 방영분부터는 '개편 위원회'가 나오지 않으며 코너가 끝날 때 나오는 SNS 댓글만 나온다. 또한 많은 비판을 받았던 쇼미더아재 코너는 과도한 자막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의식했는지 자막의 사용 빈도를 크게 줄이며 여론에 즉각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9월 1일 방송 시청률은 5.3%으로 올해 최저치 타이를 기록했으며, 9월 15일 방송 시청률은 지난주보다 0.9% 오른 6.8%를 기록하면서 1개월 만에 6% 대를 회복했지만, 2주 뒤인 9월 29일, 10월 6일에는 5.2%, 12월 1일에는 4.9%까지 내려가면서 닐슨코리아 부문 최저치 기록을 갱신하는 등 상황이 좋지 않다.



2.1.1. 시간대 변경[편집]


2019년 12월 7일부터 배틀 트립 시간대인 토요일 밤 9시 15분으로 시간대를 옮기면서 18년 간 지켰던 일요일 밤 9시대를 떠나게 되었다. 1박 2일 시즌 4가 12월 8일부터 일요일 저녁 6시 30분에 편성되면서 원래 이 시간대에 방송한 슈퍼맨이 돌아왔다가 개콘 시간대로 이동했기 때문이며 약 20년 만에 처음 방송됐던 시간대로 돌아가게 되었다.

첫방송에서는 시간대 변경으로 인한 시청률 저하 가능성을 의식했는지 시청률을 끌어올리려는 목적으로 게스트 출연이 다른 회차보다 훨씬 많았다.

다만 시청률 면에서는 잃어버린 화제성과 연말 시상식 등에 밀려 큰 수확을 거두지 못했는데, 일단 토요일 첫 방송 시청률은 4.9%로, 1주 전 시간대가 변경되기 전의 시청률과 동일했고, 2019년 12월 21일에는 KBS 연예대상으로 인해 결방, 그리고 2019년 12월 28일에는 동시간대에 2019 SBS 연예대상과 경쟁을 하면서 시청률이 4.5%로 최저치를 갱신해버렸다.

특히 미운 우리 새끼과 tvN 드라마, 그리고 10월부터 일요일 밤 9시대에 편성된 뭉쳐야 찬다 등 쟁쟁한 프로그램들이 동시간대였던 일요일과는 달리 토요일에는 아는 형님, 정글의 법칙과 MBC, SBS, tvN 드라마 등 좀 더 많은 프로들과 경쟁하는 바람에 시청률 지분을 빼앗기는 상황이다.[21]

재개편을 강행하면서 과거 인기 출연진들까지 복귀시키는 노력을 했지만, 개콘의 근본적인 문제인 재미를 전혀 고치질 못 했으니 시청률이 전보다 더 떨어지는 건 당연지사. 결국 웃고 또 웃고가 아닌 2017년에 종영된 웃찾사의 전철을 그대로 걸을 것으로 보이며 더 큰 위기를 겪고 있다.


3. 시청률[편집]


  • 최저 시청률은 빨간색, 최고 시청률은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EP.일자닐슨코리아
9811/65.3%
9821/135.4%
9831/205.5%
9841/275.8%
9852/35.9%
9862/105.5%
9872/175.9%
9882/245.4%
9893/35.6%
9903/105.7%
9913/176.8%
9923/246.0%
9933/316.2%
9944/75.9%
9954/146.8%
9964/215.9%
9974/285.9%
9985/55.6%
9995/126.2%
10005/198.0%
10015/268.4%
10026/26.8%
10036/97.1%
10046/166.0%
10056/237.0%
10066/306.6%
10077/76.2%
10087/146.6%
10097/216.1%
10108/115.4%
10118/186.1%
10128/255.6%
10139/15.3%
10149/85.9%
10159/156.8%
10169/226.0%
10179/295.2%
101810/65.2%
101910/135.5%
102010/205.0%
102110/275.6%
102211/35.3%
102311/105.1%
102411/177.4%
102511/246.1%
102612/14.9%
102712/74.9%
102812/145.4%
102912/284.5%


4. 현황[편집]



4.1. 신설 코너 / 데뷔 및 복귀[편집]


EP.방영일자코너복귀 및 활동 재개데뷔
9811월 6일안녕하세요김원훈, 송준석이가은
9821월 13일스카이캔슬, 랜덤울화통김민경, 최희령송이지
9841월 27일궁셔리Class강유미, 복현규없음
9852월 3일과한 나라없음
9862월 10일없음양비아
9872월 17일오목 고시원이창호, 황정혜, 정진하없음
9882월 24일표범, 티라미수 그리고 방울토마토송재인
9893월 3일사랑인거지, 전지적 구경 시점이문재, 이창윤, 양상국, 전수희엄지윤[22]
9903월 10일없음박소영없음 [23]
9913월 17일그만했으면회없음
9923월 24일털업, 세 바퀴
9933월 31일악마의 편집, 민상소송, 트로트라마안소미, 김태원, 장하나, 임성욱
9954월 14일연애인들김민경, 오나미
9985월 5일받아버려없음
9995월 12일없음이상은
10026월 2일이런 사이다, 가디언즈7, 구해줘, 알래 카메라김원효, 이현정, 윤한민, 정승빈, 김정훈
10036월 9일주마등, 답정너, 봉시리송준석
10046월 16일귀생충없음
10056월 23일잠깐 나와봐김수영
10066월 30일시뮬레이션곽범
10108월 11일국제 유치원, 치얼업 보이즈, Live show 멜로가 필요해, 쇼미더아재, 개콘 실험카메라, 2019 생활사투리, 좀비 서바이벌, 복면까왕, 꿈나무 프로덕션이재훈, 김시덕, 박준형, 장동혁, 윤형빈, 강성범, 김나희, 윤한민, 김장군, 양상국, 방주호, 송왕호, 김두현유영우, 김태진, 아재판정단[24]
10118월 18일전설에 먹칠하다 불후의 분장, 당신의 초능력, 불편한 삼대, 주간 박성광박성호, 안상태, 박성광, 장기영, 정승환, 이현정, 김원훈, 황정혜, 정진하없음
10128월 25일셀럽 언니, 2분 드라마정태호, 박소영, 오나미, 임재백, 엄지윤, 송재인, 윤승현, 양비아
10139월 1일킹 오브 캐릭터, 그럴 수 있어민성준, 오기환, 김니나, 송준석
10149월 8일바바바 브라더스박휘순, 김수영, 서남용
10159월 15일개육대, 알바몽장동혁, 권재관, 박성호, 홍현호, 이승환, 조진세, 장준희, 김회경
10169월 22일픽유, 아무것도 모른다류근지, 김정훈
10179월 29일가짜 뉴스윤형빈, 박대승
101810월 6일노래따라 삼천리, 마이 펫송왕호, 홍훤김하영
101910월 13일내 남자의 여사친신봉선, 박소라알파고 시나씨
102010월 20일누가 죄인인가이동윤, 이광섭, 복현규, 송이지, 이정인, 전수희없음
102110월 27일없음박영진
102211월 3일도티의 개그몬 언박싱강유미도티
102311월 10일운수 좋은 날장준희없음
102411월 17일진짜가 나타났다없음
102511월 24일없음곽범
102612월 1일단골 로맨스이승환
102712월 7일히든 보이스없음양승원, 이재성
102812월 14일던질까 말까, 심폐소생사진전김민경, 박진호, 장기영, 이창호, 이창윤, 오나미, 안소미없음
102912월 28일콘서트 기타 등등장동혁


4.2. 종영 및 방영 중단 / 하차[편집]


EP.방영일자코너하차 및 활동 중단
9811월 6일\#Scene 봉선생, 소원, 이 와중에양상국, 김정훈, 오나미, 임우일
9831월 20일프로억울러전수희
9841월 27일웨잇러세요없음
9862월 10일잠깐만 홈쇼핑이문재, 이창윤
9872월 17일해봅시다, 쿵푸허술이상은
9903월 10일다있Show, 과한 나라김수영, 김태원, 장하나, 임성욱, 방주호, 김준호[25]
9913월 17일스카이캔슬, 사랑인거지김민경
9923월 24일러브라더, 안녕하세요, 궁셔리Class없음
9933월 31일진상점
9944월 7일이런 사이다김원효, 이현정
9964월 21일없음오기환
9985월 5일악마의 편집송준석
9995월 12일털 업정해철
10005월 19일봉숭아 학당없음
10015월 26일없음강유미
1002 6월 2일오목 고시원, 받아버려황정혜
10036월 9일표범, 티라미수 그리고 방울토마토, 그만했으면회곽범, 김두현, 정진하
10046월 16일답정너없음
10056월 23일가디언즈7이정인, 윤한민, 홍현호, 양상국
10077월 7일귀생충이세진, 김장군, 송왕호, 송이지
10087월 14일시뮬레이션없음
10097월 21일비둘기 마술단, 이런 사이다, 랜덤울화통, 전지적 구경 시점, 세 바퀴, 민상소송, 연애인들, 구해줘, 주마등, 잠깐 나와봐윤승현, 심문규, 김원효, 이현정, 조충현, 최희령, 양비아, 이문재, 복현규, 이창윤, 엄지윤, 전수희, 장기영, 이상은, 정명훈, 김민경, 박소영, 오나미, 정승환, 김니나, 김회경, 송준석, 김원훈, 송재인, 김수영, 민성준
10108월 11일복면까왕, 꿈나무 프로덕션김태진, 윤형빈, 장동혁, 권재관, 윤한민
10118월 18일알래 카메라, 개콘 실험카메라정승빈, 방주호
10128월 25일치얼업 보이즈, 2분 드라마박성호, 이승환, 조진세, 장준희
10139월 1일봉시리, 국제 유치원신봉선, 박소라, 류근지, 박대승, 김정훈
10149월 8일좀비 서바이벌없음
10159월 15일트로트라마, 쇼미더아재임성욱, 김나희, 송왕호, 김장군, 아재판정단, 양비아
10179월 29일Live show 멜로가 필요해, 전설에 먹칠하다 불후의 분장, 당신의 초능력, 알바몽곽범, 이창호, 유영우, 정진하, 오나미, 박휘순, 장기영, 박진호, 황정혜, 윤승현, 박영진, 홍현호, 이승환, 장준희
101910월 13일마이 펫김니나
102110월 27일그럴 수 있어없음
102211월 3일없음박영진
102311월 10일노래따라 삼천리박성호, 송왕호, 홍훤, 김하영
102511월 24일진짜가 나타났다안소미
102612월 1일개육대, 아무것도 모른다, 도티의 개그몬 언박싱장동혁, 양상국, 김정훈, 장하나, 도티
102712월 7일픽유없음
102812월 14일킹 오브 캐릭터오기환, 이성동
102912월 28일없음김두현


4.3. 게스트 출연 현황[편집]



[1] 송준석, 김원훈, 김민경, 최희령, 강유미, 복현규, 송재인, 이창호, 박소영, 안소미, 윤한민, 정승빈, 김승혜, 박준형, 김시덕, 이재훈, 장동혁, 윤형빈, 박성호, 안상태, 박성광, 정태호, 임재백, 서남용, 홍훤, 이동윤, 이광섭 등.[2] 신인들 중 이재율, 김두현, 정진하, SBS 출신 민성준, 장준희, SBS 출신 전수희, 박대승, 이정인은 이미 2018년에 데뷔했고, 2019년에는 엄지윤, 이가은, SBS 출신 송이지가 데뷔해서 모든 신인들이 데뷔한 상태다.[3] 1000회 특집 제외.[4] 자막으로는 특별출연이라고 떴지만 두명 각자 특채, 공채 개콘 출신이다.[5] 심지어 그때 당시에 8%는 낮은 수치로 평가받았다.[6] 미끼에서 정명훈이 선보였던 동네바보 지휘봉 캐릭터로 보인다.[7] 리허설만 등장.[8] 이중 장기영은 핵갈린 늬우스 코너에 나온 복장으로 나왔다.[9] 이중 이승환은 봉숭아학당의 CD, 심문규는 다있Show의 1회성 캐릭터인 비와잉, 윤승현은 힙합의 신의 헛스윙스 복장으로 나왔다. [10] 물론 이 코너의 스토리텔링은 원래부터 더럽게 재미없었던 건 맞지만 게스트가 나온 건 특집이라서 나온 것이다.[11] 홍현호, 송영길, 오나미가 먼저 등장하고 들어간 뒤 그 다음에 원조인 정종철, 오지헌, 박준형이 등장했다.[12] 700회 특집과 마찬가지로 SBS 출신 최기섭도 출연했다.[13] 자막에서는 특별출연이라고 떴지만 둘 다 개콘 출신이다.[14] 엔딩 무대로 아모르 파티를 불렀다.[15] 최근 코로나 여파로 결방중이라 언제 치뤄질지는 아직 미정이다.[16] 개그콘서트 애청자라면, 그 이전에도 세트장은 여러번 바뀐 것으로 알 수 있다.[17] 이런 형식은 MBC의 개그야가 끝물이었을 때 시도했다. 개그야의 후신 프로그램인 웃고 또 웃고가 야외 녹화나 비공개 녹화로 전성기를 누렸기 때문에 이때의 영광을 재현하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보인다.[18] 그 이전 2013년 '당신이 한 번도 보지 못한 개그콘서트'에서 편집되었던 '사람 일은 모른다'와 '음모론'이 재녹화되었지만 반응이 좋지 않었던지 미방영된 적이 있었다.[19] 2회차 녹화도 있었지만 불방되었다.[20] 그 뒤 주간 박성광의 한 회 컨셉으로 재활용되었다.[21] 아는 형님정글의 법칙은 전성기만큼은 못 해도 준수한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 드라마들은 10% 이상으로 흥행하는 중이라서 화제성과 시청률을 잡지 못하고 있다.[22] 2018년 공채로 인해 투입된 출연진들 중 마지막으로 데뷔했다.[23] 3월 3일 끝으로 모든 32기 출연진이 모두 데뷔했기 때문에 3월 10일부터는 데뷔 출연진이 없으며, 후반기에 33기 개그맨들이 데뷔하면 추가바람. 그리고 개편을 통해 김태진과 유영우가 데뷔를 했다.[24] 쇼미더아재 문서 참고.[25] 차태현과 내기 골프 논란으로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