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비길 의
부수
나머지 획수
, 14획
총 획수
17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なぞら-える, はか-る, まが-い, もどき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擬는 '비길 의'라는 한자로, '비기다', '헤아리다', '흉내내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비기다
중국어표준어
광동어ji5
객가어ngí
민북어ngǐ
민동어ngī
민남어
오어nyi (T3)
일본어음독
훈독なぞら-える, はか-る,
まが-い, もど-く, よそ-える
베트남어nghĩ

유니코드에는 U+64E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PKO(手心大人)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의심할 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견줄 교)
  • (견줄 비)
  • (비길 예)
  • (의지할 의)
  • (비교할 호)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𦡸[⿰⺼疑](기름질 니)[1]
  • /𣝅[⿰木疑](거리낄 애)
  • (어리석을 애, 헤아릴 의)
  • (엉길 응)
  • (숙성할 억, 산이름 의)[2]
  • (고루할 의, 영리할 억)
  • 𦆦[⿰糸疑](띠 의)
  • 𩼨[⿰魚疑](물고기이름 의)
  • 𢅟[⿰巾疑](수건 의)
  • 𥣖[⿰禾疑](우거질 의)
  • 𩉏[⿰面疑](의심할 의)[3]
  • (참람할 의, 어리석은모양 애)
  • (희롱할 의, 삼갈 역, 조롱할 애)
  • 𫲆[⿰女疑]
  • 𤁒[⿰氵疑]
  • 𱭱[⿰牛疑]
  • 𢥷[⿰息疑]
  • 𤪦
  • 𤾰[⿰白疑]
  • 𦘀[⿰耳疑]
  • 𮡇[⿰酉疑]
  • 𰸴[⿰𧾷疑]
  • 𬬔[⿰金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20:01:1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름질 니)의 동자[2] (숙성할 억, 산이름 의)의 동자[3] (의심할 의)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