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폐단/해질 폐
부수
나머지 획수
, 12획
총 획수
15획
고등학교
준3급
-
일본어 음독
ヘイ
일본어 훈독
つい-える, つか-れる, やぶ-れ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弊는 '폐단/해질 폐'라는 한자로, '폐단(弊端)', '해어지다', '해지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폐단, 해지다
중국어표준어
광동어bai6
객가어pi
민북아
민동어
민남어
오어bi (T3)
일본어음독ヘイ
훈독つい-える, つか-れる, やぶ-れる
베트남어tệ

유니코드에는 U+5F0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FKT(火大廿)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받들 공)과 음을 나타내는 (해질 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해질 답)
  • 繿(해질 람)
  • (해질 쇄)
  • (해질 예)
  • (해질 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개미 별)
  • /(금계 별)
  • /𧢍[⿱敝見](눈깜짝할 별)
  • (닦을 별)[1]
  • (발끈할 별)
  • (밟을 별)
  • (보습의날 별)
  • (악할 별)
  • 𦗥[⿱敝耳](얼핏들을 별)
  • 𤮕[⿱敝瓦](오지그릇 별)
  • //(자라 별)
  • (칼차는띠 별)
  • 𧝬[⿱敝衣](털 별, 화폐 폐)
  • (해질 별)
  • (활뒤틀릴 별)
  • 𦠞[⿱敝⺝](팔 비)[2]
  • 𣰉[⿱敝毛](새털 창)[3]
  • (넘어질 폐)
  • 𡐞[⿱敝土](땅이름 폐)
  • (물이름 폐)
  • (죽을 폐)
  • 𣁢[⿱敝文](짐승이름 폐)
  • 𡚁[⿱敝大](폐단 폐)
  • /𧸁[⿱敝貝](화폐 폐)
  • 𠢪[⿱敝力](폐)
  • 𱎏[⿱敝也]
  • 𠟈
  • 𠒳[⿱敝允]
  • 𤎨[⿱敝火]
  • 𣱔[⿱敝⿸厂氏]
  • 𣀽[⿱敝⿺氣田]
  • 𮦮[⿱敝雨]
  • 𩦉[⿱敝馬]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𦿔[⿱艹弊](덮을 폐)[4]
  • 𤾵[⿰白弊](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7:21:5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닦을 별)의 동자[2] (팔 비)의 동자[3] (새털 창)의 속자[4] (덮을 폐)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