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ZEROBASEONE

덤프버전 :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
||
[ 리얼리티 ]
파일:캠프 제로베이스원.png파일:ZBTVLOGO.png


파일:ZEROBASEONE 로고 화이트 YOUTH IN THE SHADE.sv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웨이크원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 소속 아티스트 ]
GROUP
파일:Kep1er 로고 화이트.svg[1]
파일:Mbitious 로고.svg[2]
파일:ZEROBASEONE 로고 화이트 YOUTH IN THE SHADE.svg
SOLO
박한빈[A]
이정현[A]
문정현[A]
[1] 스윙엔터테인먼트 공동 매니지먼트[2] ER콘텐츠미디어그룹 공동 매니지먼트[A] A B C EVNNE 활동 기간에는 젤리피쉬로 소속 이관
[ 관련 문서 ]
파일:WAKEONE Trainee.jpg파일:I-LAND2 로고.svg







파일:웨이크원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역대 배출 아티스트

[ 그룹 ]
연도아티스트비고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16아이오아이Mnet <프로듀스101>
데뷔 그룹
2017Wanna OneMnet <프로듀스101 시즌2>
데뷔 그룹
IN2ITMnet <소년24>
데뷔 그룹
2018프로미스나인Mnet <아이돌학교>
데뷔 그룹,
2021년 플레디스로 이적
IZ*ONEMnet <프로듀스48>
데뷔 그룹
2019X1Mnet <프로듀스 X 101>
데뷔 그룹
2020TO1Mnet <TO BE WORLD KLASS>
데뷔 그룹,
n.CH 합작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2Kep1erMnet <걸스플래닛>
데뷔 그룹
2023ZEROBASEONEMnet <보이즈플래닛>
데뷔 그룹
2024년I-LAND2/데뷔조Mnet <I-LAND2>
데뷔 그룹
[ 솔로 ]
연도아티스트비고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13년로이킴-
2014년박보람
2017년케빈 오
2018년하현상-
2019년김재환Wanna One 멤버
2020년나띠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1년조유리IZ*ONE 멤버
2022년송수우
[ 영입 ]
[ 그룹 ]

연도아티스트비고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14년다비치2024년 계약 종료
2015년SG워너비2019년 계약 종료
와블2017년 계약 종료
스피카2017년 계약 종료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3년Mbitious
ER콘텐츠미디어그룹 합작
2024년 계약 종료

[ 솔로 ]

연도아티스트비고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16년헤이즈2020년 계약 종료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2년임슬옹-





파일:You had me at HELLO SUNSHOWER 단체.jpg
김규빈 · 김지웅 · 석매튜 · 한유진 · 장하오 · 성한빈 · 김태래 · 리키 · 박건욱
{#fff ,,Official Profile Photo of the 3rd Mini Album,,}}}[[파일:YOUHADMEATHELLO.png

파일:ZEROBASEONE 로고 축약 화이트 YOUTH IN THE SHADE.svg
ZEROBASEONE
ZB1 · 제로베이스원 · ゼロベースワン
결성일2023년 4월 20일[1]
(결성일로부터 426일, 1주년)
데뷔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7월 10일
(데뷔일로부터 345일, [age(2023-07-10)]주년)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3월 20일
(데뷔일로부터 91일, [age(2024-03-20)]주년)
데뷔 음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니 1집
파일:일본 국기.svg

싱글 1집
장르K-POP, 댄스, 댄스 팝, R&B, Drum & Bass, Alternative R&B
리더성한빈
소속사웨이크원
에이전시
파일:일본 국기.svg

LAPONE 엔터테인먼트
유통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지니뮤직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파일:일본 국기.svg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팬덤
ZEROSE (제로즈)
[[ZEROSE#"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no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e5c28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ZEROSE (제로즈)}}}]][[ZEROSE#s-"display: inline; display: 문단=no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e5c28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ZEROSE (제로즈)}}}]]
링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틱톡 아이콘.svg파일:엠넷플러스 심볼.svg파일:엠넷플러스 심볼.svg구 커뮤니티파일:링크트리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1. 개요
2. 멤버
2.1. 멤버 간 케미
2.2. 멤버 간 이야기
2.3. 보이즈플래닛에서의 멤버들
2.4. 보이즈플래닛의 멤버 별 평가 내역
3. 특징
3.1. 로고
3.2. 그룹명
3.2.1. 공개 이후의 반응
3.3. 포지션
3.3.1. 보컬
3.3.2. 댄스
3.3.3. 랩
3.4. 비주얼
4. 음반
5. 뮤직비디오
6. 활동
7. 수상 경력
8. 팬덤
9. 인기 및 기록
10. 여담
11. 논란 및 사건 사고
12. 역대 프로필 사진



1. 개요[편집]



둘, 셋[A] D1[2], Be the ONE! 안녕하세요, ZEROBASEONE입니다!


Let's show them what we got![A] ZEROBASEONE![3]

엠넷의 <보이즈플래닛>을 통해 결성되어 2023년 7월 10일 데뷔한 웨이크원 소속 9인조 다국적 보이그룹.[4]


2. 멤버[편집]


파일:ZEROBASEONE 로고 화이트 YOUTH IN THE SHADE.svg
성한빈김지웅장하오
2001. 06. 13. (23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리더
보컬


1998. 12. 14. (25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보컬
래퍼

네스트
2000. 07. 25. (23세)


파일:중국 국기.svg



센터
보컬

위에화
석매튜김태래리키
2002. 05. 28. (22세)


파일:캐나다 국기.svg



보컬
래퍼

MNH
2002. 07. 14. (21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메인보컬



웨이크원
2004. 05. 20. (20세)




보컬



위에화
김규빈박건욱한유진
2004. 08. 30. (19세)




보컬
래퍼

위에화
2005. 01. 10. (19세)




보컬
래퍼

젤리피쉬
2007. 03. 20. (17세)




보컬
래퍼

위에화

2.1. 멤버 간 케미[편집]






2.2. 멤버 간 이야기[편집]




1열 대형
김규빈
김지웅
석매튜
한유진
장하오
성한빈
김태래
리키
박건욱
2열 대형
김규빈
김지웅
장하오
리키
박건욱

석매튜
한유진
성한빈
김태래











2.3. 보이즈플래닛에서의 멤버들[편집]


최종 데뷔조
파일:ZEROBASEONE 로고 화이트 YOUTH IN THE SHADE.svg[br]
파일:crwn.png
1위
장하오
G그룹

1,998,154점
2위
3위
성한빈
K그룹

1,888,414점
석매튜
G그룹

1,702,174점
||
4위
5위
6위
리키
G그룹

1,572,089점
박건욱
K그룹

1,386,039점
김태래
K그룹

1,349,595점
7위
8위
9위
김규빈
K그룹

1,346,105점
김지웅
K그룹

1,338,984점
한유진
K그룹

1,196,622점
||


2.4. 보이즈플래닛의 멤버 별 평가 내역[편집]



이름스타 레벨
테스트
K VS G
그룹 배틀
듀얼 포지션
배틀
아티스트
배틀
파이널
TOP9 배틀
장하오
ALL STAR
ALL STAR
Kill This Love
G

〈 LEADER 〉
VOCAL&RAP

TOMBOY
R&B Pop
Over Me
〈 LEADER / KILLING PART 〉
Jelly Pop
〈 KILLING PART 〉
성한빈
3 STAR
ALL STAR
LOVE ME RIGHT
K

〈 KILLING PART 〉
VOCAL&RAP

TOMBOY
〈 KILLING PART 〉
Synth Pop
Say My Name
〈 LEADER 〉
Hot Summer
〈 KILLING PART 〉
석매튜
3 STAR
ALL STAR
Kill This Love
G
VOCAL&DANCE

Love Killa
〈 LEADER 〉
Synth Pop
Say My Name
Jelly Pop
리키
3 STAR
2 STAR
Back Door
G

〈 KILLING PART 〉
RAP&DANCE

Rush Hour
〈 KILLING PART 〉
R&B Pop
Over Me
Hot Summer
박건욱
3 STAR
ALL STAR
Kill This Love
K

〈 KILLING PART 〉
VOCAL&RAP

TOMBOY
Funk Pop
En Garde
〈 KILLING PART 〉
Jelly Pop
김태래
3 STAR
ALL STAR
Back Door
K
VOCAL&RAP

Man In Love
〈 KILLING PART 〉
Oriental Pop
Switch
Hot Summer
김규빈
ALL STAR
3 STAR
LOVE ME RIGHT
K
VOCAL&DANCE

Love Killa
Funk Pop
En Garde
Hot Summer
김지웅
3 STAR
3 STAR
Back Door
K

〈 LEADER 〉
VOCAL&DANCE

Love Killa
〈 KILLING PART 〉
Synth Pop
Say My Name
Hot Summer
한유진
ALL STAR
3 STAR
Back Door
K
RAP&DANCE

LAW
Synth Pop
Say My Name
〈 KILLING PART 〉
Hot Summer














3. 특징[편집]



3.1. 로고[편집]


Logo Teaser #


3.2. 그룹명[편집]


팀명 ZEROBASEONE제로(0)에서 시작해 원(1)으로 탄생하는 아홉 멤버의 찬란한 시작을 의미한다. 미완성인 0부터 1까지 ZEROBASEONE이 걷게 될 자유로운 여정을 팬들과 함께 하겠다는 멤버들의 다짐도 내포하고 있다. 팀명은 ZB1으로 축약해 표현할 수 있다.

그룹 결성을 알린 보이즈플래닛 최종회에서 최초로 그룹명이 공개됐고, CI 소개 영상에서는 제로 베이스 원, 제베원이라는 자막이 송출되었다.

당시 최종회 생방송에서의 한글 표기로는 띄어쓰기까지 엄격하게 한 제로 베이스 원을 지속적으로 송출했으나, 방송 종료 후 엠넷 플랫폼에서는 제로베이스원으로 붙여 써서 표기한 것으로 보아 공식 표기 역시 모두 붙여 쓰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베원은 줄임식 한글 표기인 것으로 보이며 우선순위 상 밀릴 뿐 부기가 가능한 공식 한글 표기로 확인된다. 로마자 표기 역시 대문자, 소문자띄어쓰기를 모두 고려했을 때 ZEROBASEONE이다.

다만 이 로마자 표기가 당사 측에서도 너무 길다고 판단했는지 ZB1이라는 축약 표기도 사용하고 있다. 엠넷 플러스 아티스트 피드에서는 ZB1_officialZEROBASEONE_official을 병기하였고, 썸네일 로고는 ZB1이다.


3.2.1. 공개 이후의 반응[편집]











3.3. 포지션[편집]




3.3.1. 보컬[편집]


It's Live
<In Bloom>
Sound BOMB 360˚
<Crush (가시)> Live

3.3.2. 댄스[편집]



3.3.3. 랩[편집]




3.4. 비주얼[편집]


파일:제베원비주얼.jpg


4. 음반[편집]





5. 뮤직비디오[편집]



ZEROBASEONE 뮤직비디오 조회수
(2024.06.07. 19시 기준)
타이틀 곡
순위곡/게시 일조회수음반
1CRUSH (가시) (2023년 11월 6일) 40,831,256MELTING POINT
한국 미니 2집
2Feel the POP (2024년 5월 13일)31,326,250You had me at HELLO
한국 미니 3집
3In Bloom (2023년 7월 10일)27,981,195YOUTH IN THE SHADE
한국 미니 1집
4SWEAT (2024년 4월 24일)10,473,316SWEAT
한국 미니 3집 선공개 싱글
5MELTING POINT (2023년 11월 20일) 8,327,749MELTING POINT
한국 미니 2집
6ゆらゆら -運命の花- (2024년 3월 8일)7,502,019ゆらゆら -運命の花-
일본 싱글 1집
실시간 뮤직비디오 조회수 추이


6. 활동[편집]





6.1. 공연 및 행사[편집]





6.2. 음악 방송 직캠[편집]






6.3. 콘텐츠[편집]





6.3.1. YouTube[편집]





6.3.2. 숏폼[편집]





6.3.3. 라이브 방송[편집]





6.4. 광고 및 화보[편집]





6.5. 커버곡[편집]





6.6. 무대의상[편집]





7. 수상 경력[편집]





8. 팬덤[편집]





8.1. 응원법[편집]





8.2. 굿즈[편집]





9. 인기 및 기록[편집]









10. 여담[편집]








축전 이미지
[ 펼치기 · 접기 ]


11.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2. 역대 프로필 사진[편집]



파일:ZEROBASEONE 로고 화이트 YOUTH IN THE SHADE.svg
역대 단체 프로필 사진
파일:Profile Photo ZEROBASEONE 1.jpg
파일:ZEROBASEONE YOUTH IN THE SHADE 프로필.jpg
파일:MELTING POINT Fairytale ZEROBASEONE.jpg
파일:ゆらゆら -運命の花-.jpg
Pre-DebutYOUTH IN THE SHADEMELTING POINTゆらゆら -運命の花-
파일:ZEROBASEONE SWEAT PROFILE.jpg
파일:You had me at HELLO SUNSHOWER 단체.jpg
SWEATYou had me at HELLO


[1] 보이즈플래닛 파이널 생방송이 진행된 날이다. 다만 모든 구성원은 자정을 넘긴 다음 날 4월 21일에 확정되었다.[A] A B 리더 성한빈이 선창한다.[2] Day1, 즉 제로베이스원의 첫 시작하는 날의 마음가짐과 팬덤인 ZEROSE를 생각하는 초심을 잃지 말고 항상 기억하자는 뜻.[3] 제로베이스원의 파이팅 구호.[4] 한국인 6명, 중국인 2명, 한국계 캐나다인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5]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멤버(한유진)는 제외한다.[6] 플래닛시리즈 선배 그룹 Kep1er와 마찬가지로 팀 내 최단신 멤버가 외국인 멤버이다. 반면 각 그룹의 중국인 멤버들(샤오팅, 장하오, 리키)은 그룹 내에서 키가 큰 편이다.[7] 전 시즌의 데뷔 그룹 Kep1er에서는 한미 혼혈 1명(휴닝바히에), 중국인 1명(샤오팅), 일본인 2명(마시로, 히카루)으로 구성되었다. 다만 한국미국의 복수국적인 휴닝바히에와는 달리 석매튜는 단독 외국 국적이다. 전작과 달리 이번 시즌에서는 미국인일본인이 최종 데뷔조로 선발되지 못했다.[8] 장하오는 2000년 7월생, 석매튜는 2002년 5월생, 리키는 2004년 5월생이다.[9] 타 방송사의 프로젝트 보이그룹까지 확장하면 UNB필독에 이어 두 번째가 된다.[10] 김지웅, 성한빈, 석매튜, 박건욱[11] 김지웅, 성한빈, 석매튜, 김태래, 김규빈, 박건욱[12] 장하오, 리키, 한유진[13] 김지웅, 성한빈, 석매튜, 리키, 김규빈, 박건욱, 한유진[14] 장하오, 김태래[15] 김지웅, 장하오, 성한빈, 석매튜, 김규빈, 박건욱[16] 김태래, 리키, 한유진[17] 김지웅, 성한빈, 석매튜, 김태래, 박건욱, 한유진[18] 장하오, 리키, 김규빈[19] 리키의 경우, ZB1_Folder를 통해 알려진 것을 기준으로 한다.[형제관계] 김지웅 - 형, 남동생
장하오 - 외동
성한빈, 리키 - 여동생
석매튜, 김태래 - 누나
김규빈 - 남동생 2명, 여동생
박건욱 - 형
한유진 - 남동생
[20] 소속사 평가와 시그널 송 테스트에서 둘 다 ALL STAR를 받은 소위 로열 올스타는 장하오 단 한 명뿐이다.[21] 공교롭게도 3대 기획사로 불리는 SM, JYP, YG의 곡들이다.[22] 리더를 담당하지 않은 김태래를 제외한 데뷔조 내에서 형 라인에 속하는 멤버들이다.[23] 한국 오디션에서 외국인이 최종 우승한 사례는 위대한 탄생 시즌 1의 백청강에 이어 두 번째이지만, 아이돌 서바이벌 오디션으로 한정하면 최초이다. 게다가 백청강은 한국계 외국인이지만 장하오는 한국과 혈연적인 관계가 없는 순수 외국인이기도 하다.[24] 전 시리즈데뷔조에서는 1위부터 6위까지 모두 K그룹이 차지했던 반면, 보이즈플래닛 데뷔조는 2위인 성한빈을 제외하면 5위~9위가 K그룹으로 이뤄졌다.[25] 멤버 김지웅의 반응, 립제이의 웃참, 이름 공개 당시 현장 반응, 탈락 연습생들의 반응, CGV 상영관 시청자들의 반응, 원색적 기사까지 긍정적인 반응이 거의 없어 이를 극복해내는 것이 관건이 되었다.[26] 여담으로 아이즈원은 으로 끝나는 그룹들 중 유일한 걸그룹이다. 첫 서바이벌의 아이오아이01을 주제로 작명됐지만, 이후 그룹들만큼 이나 1을 부각시키지는 않았다.[27] 다만 이쪽은 앞의 세 팀이나 이번 ZEROBASEONE과 달리, 프로듀스 101 시리즈플래닛시리즈가 아닌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데뷔했다. 더불어 데뷔 당시부터 2021년 3월까진 TOO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었는데, 매니지먼트가 웨이크원으로 넘어가면서 TO1으로 이름이 바뀌게 된 것이다. 공교롭게도 함께 보이즈플래닛에 참가했던 오성민차웅기가 TO1 출신이다.[28] 차라리 Kep1er처럼 표기에만 숨기는 것이 어떠겠냐는 의견도 있었다.[29] 참고로 기획사 이름마저 웨이크이다.[30] 이런 시리즈 덕에 HYBE와의 합작 서바이벌 I-LAND를 통해 데뷔한 엔하이픈의 그룹명이 상당한 재평가를 받았다. 팬덤명까지 엔진이라 처음에는 자동차 회사냐는 웃음을 받았지만 엔하이픈엔진 모두 그룹의 뜻과 쉬운 어감, 팬덤에 정착화가 확실하게 되어 CJ 서바이벌에서 나온 이름들 가운데 가장 좋은 결과물이 되었기 때문. 물론 시청자가 직접 응모하는 것과는 다르게 엔하이픈, 엔진 모두 HYBE에서 작명했다.[31] 집밥원도 나왔다.[32] 응원봉으로 농기구들이 거론되거나 전원농장 합성 짤 등이 생성되고 있다. 또한 그룹의 세계관은 비닐하우스가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33] 그룹명을 듣고 나서 박장대소하는 장슈아이보차이진신의 모습이 재발굴되기도 했다.[34] 아이돌학교 출신 프로미스나인의 경우 파이널 무대에서 본래 fromis_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고 끝내는 지금의 이름으로 데뷔한 선례가 있기 때문에 그룹명 교체 가능성을 점치는 일부의 희망도 있으나, 프로미스의 경우 뒤에 데뷔인원 숫자만 교체하면 되는 경우라 적절한 비교 예시는 아니다. 축약 표기인 ZB1 역시 반응이 부정적인 편으로 중국 아이돌 이름 같다는 평이 있는 편이다.[35] ZB1으로 표기하되, 제로원으로 줄여 부르자는 의견도 있다.[36] 댄서 출신으로 뛰어난 댄스 실력은 물론 고음에 강한 보컬 실력도 갖추고 있다.[37] 외국인 멤버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보컬 실력과 댄스 실력을 갖추고 있다.[38] 댄서 출신으로 기본기가 탄탄한 댄스 실력은 물론 안정적인 보컬과 랩 실력을 갖추고 있다.[39] 데뷔 전부터 래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으며 파워풀한 댄스와 보컬 실력도 갖추고 있다.[40] 당시 K-POP 그룹 최단 기록으로, 일주일 내에 100만 팔로워에 도달한 것도 K-POP 그룹 최초이다. 현재 최단 기록은 RIIZE로 4일 만에 100만 팔로워를 달성했다.[41] 2024년 기준으로 300만명 이상 돌파했다.[42] 종전 1위는 X1 - 비상 : QUANTUM LEAP(524,0**장)였다.[43] 이전 기록은 CRAVITY가 가지고 있었다.[44] 서울가요대상, 골든디스크어워즈한터뮤직어워즈에서는 신인상 뿐만 아니라 본상까지도 수상했다.[45] 공교롭게도 멤버 박건욱의 21번째 생일과 겹치고 김지웅의 입대 연도가 될 가능성이 있다.[46] 실제로 데뷔 첫 방송 예능으로 놀라운 토요일완전체로 출연하는 등 CJ ENM의 전폭적인 푸쉬를 받고 있다.[47] Wanna One - 2017년 8월 7일 데뷔, X1 - 2019년 8월 27일 데뷔, ZEROBASEONE - 2023년 7월 10일 데뷔.[48] 세 그룹 모두 홀수년도 데뷔라는 점도 일치한다.[49] 반면 걸그룹들은 모두 여름이 아닌 계절에 데뷔했다. I.O.I는 2016년 5월 4일, IZ*ONE은 2018년 10월 29일에 데뷔했으며, Kep1er는 2021년 12월 14일 데뷔 예정이었으나 멤버 샤오팅, 마시로와 스태프의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2022년 1월 3일에 데뷔하면서 공교롭게도 이 세 그룹도 모두 짝수년도에 데뷔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