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황영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심계원장 (1948~1963)
초대
명제세
제2대
함태영
제3대
노진설
제4대
최하영
제5대
김세완
제6대
이원엽
감찰위원장 (1961~1963)
초대
민영수
제2대
최재명
제3대
채명신


감사원장 (1963~현재)
초대
이원엽
제2대
한신
제3·4대
이주일
제5대
이석제
제6대
이석제
제7대
신두영
제8대
이한기
제9대
이한기
제10대
정희택
제11·12대
황영시
노태우 정부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제13·14대
김영준
제15대
이회창
제16대
이시윤
제17대
한승헌
제18대
이종남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제19·20대
전윤철
제21대
김황식
제22대
양건
23대
황찬현
24대
최재형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
제25대
최재해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liujuncanmou_2.png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응준 ||<width=20%> 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width=20%> 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신태영 ||<width=20%> 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width=20%> 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
|| 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종찬 || 7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백선엽 || 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 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형근 || 10대
백선엽 ||
|| 11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송요찬 || 1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영희 || 1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경록 || 1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장도영 || 15대
김종오 ||
|| 16대
민기식 || 17대
김용배 || 18대
김계원 || 19대
서종철 || 20대
노재현 ||
|| 21대
이세호 || 22대
정승화 || 23대
이희성 || 24대
황영시 || 25대
정호용 ||
|| 26대
박희도 || 27대
이종구 || 28대
이진삼 || 29대
김진영 || 30대
김동진 ||
|| 31대
윤용남 || 32대
도일규 || 33대
김동신 || 34대
길형보 || 35대
김판규 ||
|| 36대
남재준 || 37대
김장수 || 38대
박흥렬 || 39대
임충빈 || 40대
한민구 ||
|| 41대
황의돈 || 42대
김상기 || 43대
조정환 || 44대
권오성 || 45대
김요환 ||
|| 46대
장준규 || 47대
김용우 || 48대
서욱 || 49대
남영신 || 50대
박정환 ||
||<bgcolor=#e0ffdb,#202210> 51대
박안수 || || || || ||

※ 초대~8대: 육군총참모장 / 9대~현재: 육군참모총장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이응준 || 2대
윤병현 || 3대
장도영 || 4대
유재흥 || 5대
장도영 ||
|| 6대
김종오 || 7대
최경록 || 8대
김형일 || 9대
장창국 || 10대
김용배 ||
|| 11대
김계원 || 12대
임충식 || 13대
문형태 || 14대
김상복 || 15대
한신 ||
|| 16대
심흥선 || 17대
서종철 || 18대
노재현 || 19대
이민우 || 20대
이희성 ||
|| 21대
윤성민 || 22대
황영시 || 23대
차규헌 || 24대
정호용 || 25대
소준열 ||
|| 26대
이기백 || 27대
김홍한 || 28대
박희도 || 29대
오자복 || 30대
최세창 ||
|| 31대
정동호 || 32대
박명철 || 33대
이진삼 || 34대
신말업 || 35대
이문석 ||
|| 36대
이문석 || 37대
김연각 || 38대
김진선 || 39대
김형선 || 40대
이재관 ||
|| 41대
길형보 || 42대
박영익 || 43대
강신육 || 44대
선영제 || 45대
신일순 ||
|| 46대
홍갑식 || 47대
박흥렬 || 48대
방효복 || 49대
한민구 || 50대
임관빈 ||
|| 51대
조정환 || 52대
김요환 || 53대
황인무 || 54대
김유근 || 55대
박찬주 ||
|| 56대
정연봉 || 57대
구홍모 || 58대
최병혁 || 59대
김승겸 || 60대
박주경 ||
|| 61대
황대일 || 62대
안병석 || 63대
여운태 || 64대
고현석 || ||
||<-5><bgcolor=#2A5034> ※ 초대~현재 : 중장 ||
||<-5><bgcolor=#2A503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bgcolor=#B0C4DE,#5c6169> 초대
김홍일 ||<bgcolor=#B0C4DE,#5c6169> 2대
김백일 ||<bgcolor=#B0C4DE,#5c6169> 3대
백선엽 || 4대
이형근 || 5대
김종오 ||
|| 6대
전부일 || 7대
김익렬 || 8대
장창국 || 9대
양국진 || 10대
김용배 ||
|| 11대
최석 || 12대
박임항 || 13대
임부택 || 14대
김익렬 || 15대
문형태 ||
|| 16대
이상철 || 17대
김상복 || 18대
심흥선 || 19대
전부일 || 20대
김재명 ||
|| 21대
최우근 || 22대
박희동 || 23대
양봉직 || 24대
이희성 || 25대
황영시 ||
|| 26대
김윤호 || 27대
이기백 || 28대
백운택 || 29대
박희도 || 30대
최세창 ||
|| 31대
류승국 || 32대
문영일 || 33대
이필섭 || 34대
이병태 || 35대
김상준 ||
|| 36대
조성태 || 37대
김척 || 38대
박영익 || 39대
강신육 || 40대
정중민 ||
|| 41대
오현구 || 42대
김선홍 || 43대
임충빈 || 44대
장광일 || 45대
황중선 ||
|| 46대
권오성 || 47대
최종일 || 48대
모종화 || 49대
엄기학 || 50대
김용우 ||
|| 51대
서욱 || 52대
안영호 || 53대
황대일 || 54대
안병석 || 55대
이두희 ||
|| 56대
강호필 || 57대
주성운 ||||||||
||<-5><bgcolor=#004ea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제3야전군사령부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이세호
||<width=20%> 2대
김종환
||<width=20%> 3대
박희동 ||<width=20%><bgcolor=#dcffed,#003318> 4대
이건영 ||<width=20%> 5대
유학성 ||
|| 6대
황영시
|| 7대
정호용 || 8대
박희도
|| 9대
최세창 || 10대
고명승 ||
|| 11대
신말업 || 12대
구창회 || 13대
윤용남 || 14대
도일규
|| 15대
유재열 ||
|| 16대
길형보
|| 17대
이남신
|| 18대
서종표 || 19대
이상희 || 20대
김관진 ||
|| 21대
백군기
|| 22대
이상의
|| 23대
김상기
|| 24대
이홍기 || 25대
권혁순 ||
|| 26대
김현집
|| 27대
엄기학 || 28대
김운용 ||<-2>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5><#FF0000> ※ 초대~28대: 대장 (4대 제외), 명칭 변천: 제3군사령관(초대~25대) ▸ 제3야전군사령관(25대~28대) ||
||<-5><#FF000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width=20%> 초대
정봉욱 ||<width=20%> 2대
이근양 ||<width=20%> 3대
육장균 ||<width=20%> 4대
황영시 ||<bgcolor=#E0FFFF><width=20%> 5대
김영선 ||
||<bgcolor=#E0FFFF> 6대
정형택 || 7대
전제현 || 8대
정순현 || 9대
권병식 || 10대
김진영 ||
|| 11대
이정린 ||<bgcolor=#E0FFFF> 12대
김정헌 || 13대
김택수 ||<bgcolor=#E0FFFF> 14대
표순배 || 15대
오형근 ||
|| 16대
손수태 || 17대
강종필 || 18대
이종간 || 19대
김충배 || 20대
송영근 ||
|| 21대
박장규 || 22대
박종달 || 23대
김주원 || 24대
김일생 || 25대
김윤석 ||
|| 26대
손무현 || 27대
김현기 || 28대
김길영 || 29대
원홍규 || 30대
금용백 ||
|| 31대
서정열 || 32대
황대일 || 33대
장달수 || 34대
여운태 || 35대
장광선 ||
|| 36대
고창준 || 37대
방성대 || 38대
배현국 || 39대
이용환 ||
||<-5><bgcolor=#1c63b7> ※ 초대~현임 : 소장 (5대, 6대, 12대, 14대 : 중장) ||
||<-5><bgcolor=#1c63b7>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제11·12대 감사원장
황영시
黃永時 | Hwang Young-shi
파일:WSAkrD6zD5oV5BI3Zo6ghQ.jpg
출생1926년 11월 6일
경상북도 영주군 안정면 묵동 노루모기마을
(現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묵리)[1]
사망2022년 4월 23일 (향년 95세)
서울특별시
본관창원 황씨[2]
재임기간제24대 육군참모총장
1981년 12월 16일 ~ 1983년 12월 15일
제11대 감사원장[3]
1984년 6월 28일 ~ 1985년 4월 15일
제12대 감사원장[4]
1985년 5월 16일 ~ 1988년 7월 3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황분현
형제자매형 황영운[1], 황영도[2], 황영후[3], 황영익[4]
배우자최옥영
자녀아들 황인락[5], 황윤락[6]
딸 황인숙[7], 황인경[8]
학력안정공립심상소학교 (졸업)
육군기갑학교 (졸업)
육군보병학교 (졸업)
육군고급부관학교 (졸업)
육군포병학교 (졸업)
육군대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행정학 / 학사)
종교개신교
경력제11,12대 감사원장
민주자유당 특임촉탁위원
신민주공화당 특임촉탁위원
자유민주연합 특임촉탁위원
군사 경력
임관육군사관학교 (10기)
복무대한민국 육군
1950년 ~ 1983년
최종 계급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육군참모총장
주요 보직육군3사관학교장
육군제1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육군참모총장
참전6.25 전쟁
베트남 전쟁

[1] 黃永運.[2] 黃永道.[3] 黃永厚.[4] 黃永益.[5] 黃仁樂.[6] 黃允樂.[7] 黃仁淑.[8] 黃仁卿.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대중매체에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군인, 정치인.


2. 생애[편집]


1926년 11월 6일 경상북도 영주군 안정면 묵리 노루모기마을에서 아버지 황분현(黃賁鉉)의 5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마을 서당에서 공부했고 안정공립심상소학교(현 안정초등학교)를 졸업했다. 1945년 광복 후 안정국민학교 용산분교 교사로 재직하다가 1950년 육군사관학교 10기로 입학했고[5] 1951년 임관해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주월한국군사령부 참모장, 육군3사관학교장을 거쳤다.

1979년 1군단장 재임 중 12.12 군사반란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으며 당시 쿠데타 가담자 중에 전두환보다 선배 장성은 황영시와 함께 군수차관보 유학성 중장, 수도군단장 차규헌 중장이 있었는데 이 중 반란 작전을 사전에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은 황영시 혼자였다고 한다. 신군부 세력에 의해 육군참모총장으로 추천되었지만 최규하 전 대통령이 반대했고 이희성 중앙정보부장 서리가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대신 육군참모차장으로 영전해 이희성을 견제했고 대장으로 진급하여 요직인 제3야전군사령관을 거쳐 1981년 육군참모총장에 올랐다.

본격적으로 전두환이 제5공화국을 세우던 육군참모차장 시절 군 내 강경 분위기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다. 1980년 5월 5.18 민주화운동 당시에도 무력 진압을 지시했으며 육군기갑학교장[6] 이구호 준장에게 "전차에 철조망을 달고 돌격하라"는 지시를 내렸는데 "철조망을 달고 가면 궤도에 꼬이는 건 물론이요, 전차가 나타나면 시민들이 드러눕는다"라고 하자 "전차포를 쏘고 밀고가면 되는 것 아니냐"라는 대답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구호 준장이 "시민에게는 포를 쏠 수 없다"며 명령을 거부했다. JTBC보도에 따르면 당시 전투교육사령부 부사령관 김기석에게 전차와 무장 헬기를 이용해 신속히 진압 작전을 시행하라고 지시했음을 1996년 검찰의 5.18 민주화운동 진상 규명 수사때 인정했다고 한다. 김기석은 해당 지시가 전차의 발포와 무장 헬기에 의한 기총소사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쿠데타의 주역이자 전두환 정부 핵심이지만 개성이 강하고 권위 의식이 강한 편이라 육군참모총장 재임 시절 전두환이 속으로 탐탁치 않아했다고 한다.[7] 그런 탓인지 1983년 임기를 2년 채운 후 1년 더 유임할 줄 확신했으나 물러나게 되었으며 전두환의 동기 정호용이 육군참모총장이 되어 육사 11기 육군참모총장이 탄생하게 된다. 이후 자기 편 사람을 철저히 챙기는 전두환에 의해 감사원장을 지냈다가 문민정부 당시 12.12 군사반란으로 재판을 받게 되고 1997년 징역 8년을 선고받았으나 12월에 사면되었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조사대상으로 선정한 신군부 5인 중 한 명으로, 2022년 4월 23일 사망하였다.


3. 기타[편집]



  • 독실한 크리스천이라서 박정희가 주는 술잔을 거부했다는 소문이 돈다.[8] 하지만 크리스천임에도 사람을 죽이지 말라는 십계명을 무시하고 헬기 기총소사를 명령했다.


4. 대중매체에서[편집]



  • 1995년 MBC 드라마 <제4공화국>에서는 배우 서동철이 연기했다.


  • 2023년 영화 <서울의 봄>에서는 '한영구'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배우 안내상이 연기했다.[9][10] 영화에서의 역할은 전두광[11]보다 선배 장성인 현치성, 배송학과 함께 위기 상황시 징징거리기 + 책임 떠넘기기 등으로 반란군 입장에선 진압군의 육군본부 측 장성 못지 않은 트롤.[12] 그래도 영화내 전두광 선배 장성들 중 가장 존재감은 돋보이는 편인데, 권위 의식이 강하다는 말마따나 후배 전두광의 반란 계획에도 이것저것 직설적으로 물어보며 가장 딴지를 거는 편이고, 결정적인 순간에 나서서 전두광에 대한 지지 의사를 명확히 밝히며, 재가를 받으러 최 대통령에게 장성들이 간 자리에서도 대통령이 재가를 거부하자 불만을 대놓고 말하며 일종의 하극상을 저질러 전두광조차 깜짝 놀라 불충한 언행을 하여 죄송하다고 대통령에게 사죄할 정도였다.[13] 정우성이 연기한 진압군 측의 이태신 수경사령관에게 '형님은 거기서 뭐하시냐'며 일갈을 듣는다.[14]


5. 둘러보기[편집]


5.18 민주화운동
[ 펼치기 · 접기 ]

전개5.17 내란 · 배경 및 전개 · 계엄군의 학살
관련 인물
및 단체
진압 및
왜곡 관련
전두환 · 노태우 · 정호용 · 황영시 · 이희성 · 최세창 · 박준병 · 하나회 · 주영복 · 신군부 · 지만원 · 김대령 · 이주천 · 서석구 · 김진태 · 이종명 · 김순례
저항 관련윤상원 · 박남선 · 정상용 · 조비오 · 박관현 · 윤한봉 · 김완섭 · 광주시민 · 투사회보 · 시민군
목격자위르겐 힌츠페터 · 헤닝 루모어 · 인요한 · 김영택 · 김사복 · 조갑제 · 정동영 · 서청원 · 서정갑 · 심재철
피해자사상당한 경찰과 시민 · 김경철
사건 사고5.18
관련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 · 광주교도소 습격 조작 사건 ·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일반임을 위한 행진곡/논란 · 광주 폭격 시도 논란 · 전두환 손자 폭로 사건 (전우원)
왜곡 관련5.18 민주화운동/왜곡 (북한개입설 · 무장폭동설) · 광주민주화운동 진보편향 명칭설 · '5.18 광수' 날조 논란
5.18 연고대생 북한간첩설 · 5.18 북한개입설 보도사건 (채널A · TV조선) · 자유한국당 공청회 5.18 망언 논란 · 전두환 회고록
기타창작물에서의 묘사 · 5.18 사적지 ·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 · 5.18 특별법 · 5.18 관련 의문점 · 임을 위한 행진곡 · 화려한 휴가 · 택시운전사 · 오월의 노래 · 오월의 청춘 · 검정 고무신과 함께 하는 기영이의 5.18 여행 · 관련 자료김남주




12·12 군사반란 주동자
[ 펼치기 · 접기 ]

#fff ||<tablewidth=100%><tablebgcolor=#030>
[[파일:attachment/hnh.jpg|width=100%]]
|| ||<bgcolor=#141414> {{{-2 1979년 12월 14일 12·12 군사반란 성공 기념사진}}} {{{-3 [[국군보안사령부|{{{#FFF 국군보안사령부}}}]] 청사 앞}}} || || [[준장|{{{-2 {{{#FFF 준장}}}}}}]] [[남웅종|{{{#fff 남웅종}}}]] · [[중령|{{{-2 {{{#FFF 중령}}}}}}]] {{{#ccc 김호영}}} · [[중령|{{{-2 {{{#FFF 중령}}}}}}]] {{{#ccc 신윤희}}} · [[중령|{{{-2 {{{#FFF 중령}}}}}}]] {{{#ccc 최석립}}} · [[대령|{{{-2 {{{#FFF 대령}}}}}}]] {{{#ccc 심재국}}} · [[대령|{{{-2 {{{#FFF 대령}}}}}}]] [[허삼수|{{{#fff 허삼수}}}]] · [[대령|{{{-2 {{{#FFF 대령}}}}}}]] [[김진영(군인)|{{{#fff 김진영}}}]] · [[대령|{{{-2 {{{#FFF 대령}}}}}}]] [[허화평|{{{#fff 허화평}}}]] · [[대령|{{{-2 {{{#FFF 대령}}}}}}]] [[이상연|{{{#fff 이상연}}}]] · [[대령|{{{-2 {{{#FFF 대령}}}}}}]] {{{#ccc 이차군}}} · [[준장|{{{-2 {{{#FFF 준장}}}}}}]] [[백운택|{{{#fff 백운택}}}]] || || [[소장(계급)|{{{-2 {{{#FFF 소장}}}}}}]] [[박준병|{{{#fff 박준병}}}]] · [[대령|{{{-2 {{{#FFF 대령}}}}}}]] [[이필섭|{{{#fff 이필섭}}}]] · [[대령|{{{-2 {{{#FFF 대령}}}}}}]] [[권정달|{{{#fff 권정달}}}]] · [[대령|{{{-2 {{{#FFF 대령}}}}}}]] [[고명승|{{{#fff 고명승}}}]] · [[대령|{{{-2 {{{#FFF 대령}}}}}}]] {{{#ccc 정도영}}} · [[준장|{{{-2 {{{#FFF 준장}}}}}}]] [[장기오|{{{#fff 장기오}}}]] · [[준장|{{{-2 {{{#FFF 준장}}}}}}]] {{{#ccc 우국일}}} · [[준장|{{{-2 {{{#FFF 준장}}}}}}]] {{{#ccc 최예섭}}} · [[대령|{{{-2 {{{#FFF 대령}}}}}}]] [[조홍(군인)|{{{#fff 조홍}}}]] · [[대령|{{{-2 {{{#FFF 대령}}}}}}]] [[송응섭|{{{#fff 송응섭}}}]] · [[대령|{{{-2 {{{#FFF 대령}}}}}}]] [[장세동|{{{#fff 장세동}}}]] · [[대령|{{{-2 {{{#FFF 대령}}}}}}]] {{{#ccc 김택수}}} || || [[준장|{{{-2 {{{#FFF 준장}}}}}}]] {{{#ccc 이상규}}} · [[준장|{{{-2 {{{#FFF 준장}}}}}}]] [[최세창|{{{#fff 최세창}}}]] · [[준장|{{{-2 {{{#FFF 준장}}}}}}]] [[박희도|{{{#fff 박희도}}}]] · [[소장(계급)|{{{-2 {{{#FFF 소장}}}}}}]] [[노태우|{{{#fff 노태우}}}]] · [[소장(계급)|{{{-2 {{{#FFF 소장}}}}}}]] [[전두환|{{{#fff 전두환}}}]] · [[중장|{{{-2 {{{#FFF 중장}}}}}}]] [[차규헌|{{{#fff 차규헌}}}]] · [[중장|{{{-2 {{{#FFF 중장}}}}}}]] [[유학성|{{{#fff 유학성}}}]] · [[중장|{{{-2 {{{#FFF 중장}}}}}}]] [[황영시|{{{#fff 황영시}}}]] · [[소장(계급)|{{{-2 {{{#FFF 소장}}}}}}]] [[김윤호(군인)|{{{#fff 김윤호}}}]] · [[소장(계급)|{{{-2 {{{#FFF 소장}}}}}}]] [[정호용|{{{#fff 정호용}}}]] · [[준장|{{{-2 {{{#FFF 준장}}}}}}]] {{{#ccc 김기택}}} || ||<bgcolor=#141414> {{{#DDD {{{-2 ※ 사진 인물 배치 순서상 표기}}}}}} {{{#DDD {{{-2 ※ 단 우국일 [[준장|{{{#FFF 준장}}}]]은 군사반란 주동자로서 사진을 찍은 것이 아니라 [[국군보안사령부|{{{#FFF 국군보안사령부}}}]] 참모장 자격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A 비 하나회 였던 우국일 준장이 12.12 군사반란 당시 한 일은 연희동 요정에서 접대업무를 맡았을 뿐 접대를 제외한 모든 상황에서 그는 결백한 인물이었다.]}}}}}} || ||<bgcolor=#141414> {{{-2
[ 각주 보기 ]
[각주]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1:25:10에 나무위키 황영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창원 황씨와 순흥 안씨의 집성촌이다.#[2] 공희공계 20세 永(영) 항렬.[3] 정식 취임 전까지 감사원장 서리 수행(1984년 4월 9일 ~ 1984년 6월 27일)[4] 취임 전까지 감사원장 서리 수행(1985년 4월 16일 ~ 1985년 5월 15일)[5] 11기부터 4년제가 되었다.[6]육군기계화학교.[7] 같은 이유로 전두환은 정호용도 껄끄러워했다고 한다. 사실 황영시는 전두환보다 육사 1기수 선배고 독불장군 스타일이라 전두환이 불편해했으며 정호용은 전두환과의 마찰보다는 쓰리허나 이학봉 등 청와대 참모들과 5.18, 충정훈련, 녹화사업 등 여러가지 문제로 마찰이 심해서 전두환이 교체를 여러차례 고민했었다고 한다.[8] 황영시가 장로로 있는 경동교회는 한국기독교장로회(약칭 기장)의 대표적인 교회이다. 기장은 성공회와 함께 진보 교단으로 알려졌으며 담배에 관대한 편이다. 경동교회는 같은 교단의 향린교회 정도는 아니지만 과거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9] 황영시 본인과 최대한 닮아보이기 위해 배우가 증량을 한 것이 눈에 띈다.[10] 참고로 안내상은 군사정권 시절에 우상호, 우현, 안치환 등과 함께 전두환 정부에 맞서 민주화 운동에 투신한 적이 있다. 즉, 반대 성향인 인물 배역을 맡은 셈.[11] 전두환을 모티브로 한 인물이다.[12] 물론 진압군 측의 스포일러가 트롤을 넘어선 패작에 가까운 짓을 저질러서 묻히긴 하지만 한영구와 배송학도 반란 진영에서 만만찮은 발암 캐릭터로 등장한다. 열받은 전두광이 "하이고 저런 문디 똥별새끼들이 별 지랄거릴 다한다~"라고 돌려깔 정도.[13] 하지만 직후 대통령이 또 육참총장 체포 동의서 재가를 거부하자 본인도 빡쳐서 재가서류를 책상에 소리나게 탁 하고 놓으며 재가해주실 때까지 여기 있겠다며 대통령을 겁박한다.[14] 실제 고증과는 반대로 한영구는 이태신과 통화를 하지만, 염동헌이 분한 배송학은 이태신과 통화를 시도하다가 '뇌가 썩어빠져 문드러진 인간'이라는 발언을 들었다. 이는 5공화국 드라마 역시 마찬가지로 원래는 유학성 -> 황영시 순서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