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비에르 밀레이

덤프버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Standard_of_the_President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공화국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
초대제2대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비센테 로페스 이 플라네스
아르헨티나 연방
제3대제4대제5대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산티아고 데르키후안 에스테반 페데르네라
아르헨티나 공화국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바르톨로메 미트레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나콜라스 아배야네다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
미겔 앙헬 후아레스 셀만카를로스 페예그리니루이스 사엔스 페냐호세 에바리스토 우리부루
제14대제15대제16대제17대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마누엘 킨타나호세 피게로아 알코르타로케 사엔스 페냐
제18대제19대제20대제21대
빅토리노 데 라 플라사이폴리토 이리고옌마르셀로 토르콰토 데 알베아르이폴리토 이리고옌
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호세 펠릭스 우리부루아구스틴 페드로 후스토로베르토 마르셀리노 오르티스라몬 카스티요
제26대제27대제28대제29대
아르투로 라우손페드로 파블로 라미레스에델리오 훌리안 파렐후안 페론
제30대제31대제32대제33대
에두아르도 로나르디페드로 에우헤니오 아람부루아르투로 프론디시호세 마리아 기도
제34대제35대제36대제37대
아르투로 움베르토 일리아후안 카를로스 옹가니아로베르토 마르셀로 레빙그스톤알레한드로 아구스틴 라누세
제38대제39대제40대제41대
엑토르 호세 캄포라후안 페론이사벨 페론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제42대제43대제44대제45대
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레오폴도 갈티에리레이날도 비그노네라울 알폰신
제46대제47대제48대제49대
카를로스 메넴페르난도 데 라 루아네스토르 카를로스 키르치네르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제50대제51대제52대
마우리시오 마크리알베르토 페르난데스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공화국 제52대 대통령
하비에르 밀레이
Javier Milei
파일:Javier_Milei.jpg
본명하비에르 헤라르도 밀레이
Javier Gerardo Milei
출생1970년 10월 22일 (53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팔레르모
재임기간제52대 대통령
2023년 12월 10일 ~ 현직
서명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노르베르토 밀레이
어머니 알리시아 밀레이
형제자매여동생 카리나 밀레이
배우자다니엘라 모리(동거)[1]
파티마 플로레스 (동거)[2]
반려동물코난[3], 밀턴[A], 머레이[A], 로버트[A], 루카스[A]
학력카르데날 코페요 중등학교 (졸업)
벨그라노 대학교 (경제학 / 학사)
경제사회개발연구원[4] (경제학 / 석사)
토르콰토디텔라 대학교 (경제학 / 석사)
직업정치인, 경제학자, 작가, 평론가, MC
종교가톨릭
신체178cm
정당
자유당
자유전진.">[5]
의원선수1
소속 학파오스트리아 학파
성향우파 자유지상주의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밀레이주의

[1] 2018년 ~ 2019년[2] 2023년 ~ 현재[3] 반려견. 4마리의 새끼를 낳았으며, 2017년 세상을 떠났다.[A] A B C D 코난의 4마리 새끼 중 하나.[4] Instituto de Desarrollo Económico y Social(IDES). 경제, 사회, 역사, 정치, 문화 현안을 다루는 비영리 시민사회 연구기관으로 다방면에서의 '과학적 진보'를 전파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1960년 11월 8일에 설립된 유서 깊은 민간 연구기관으로 본부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다.[5] 정당 연합은 data-hash-start=w-4424e3353aafc84cd0dddee2b1fb0db0자유전진data-hash-end.

1. 개요
2. 생애
2.1. 어린 시절
2.2. 정계 입문 전
2.3. 정치 활동
2.5. 당선 이후
2.6. 취임 이후
4. 선거 이력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Viva la libertad! Carajo, Viva la libertad![1]

[2]

자유 만세! X발, 자유 만세!

아르헨티나의 제52대 대통령.

자유당의 명예총재 겸 당대표이고, 자유당을 주축으로 하는 우익 성향의 자유전진 정당연합을 이끌고 있다. 자유지상주의에 입각해 시장 자유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오스트리아 학파 소속 경제학자 출신이며, 아르헨티나 사상 최초로 기성 좌우 진영에 속하지 않는 비주류 아웃사이더 대통령이다.


2. 생애[편집]



2.1. 어린 시절[편집]


1970년 10월 22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버스기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젊은 시절에는 '차카리타 주니어스' 소속 골키퍼로도 활동했고 음악 밴드 에베레스트(Everest)에서 롤링 스톤스의 곡들을 부르고 다니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기도 했지만 일찍이 12살 때부터 경제학에 빠져 있었다. 영어 위키백과 문서에 따르면 본인이 밝히기를, 어린 시절 호세 알프레도 마르티네스 데 오스 재무장관의 경제 정책이 초인플레이션을 일으킨 것을 알았고 이 때부터 경제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2.2. 정계 입문 전[편집]


대학 시절 경제학을 전공한 후 HSBC에서 수석 경제고문으로 일한 적도 있으며 국제상업회의소의 경제 정책을 담당하는 B20 및 세계경제포럼 소속이다.

21년 이상을 거시경제학 교수로 일했는데 국내외 대학을 가리지 않고 활동했으며 논문을 50여 개 이상 작성하기도 했고 책 9권을 집필하기도 했다. 억만장자 기업인인 에두아르도 에우르네키안과 함께 활동하기도 하는 등 경제 분야에서는 가리지 않고 꾸준히 일한다.

이렇게 경제에 전념하면서도 라디오 DJ로도 활동하였는데 역시 본인의 전공을 살린 경제 분야를 중점으로 다루었다. 패널로 출연한 인물들 중에도 경제학자, 법조인, 기업인 등 경제와 관련된 인물들이 많은데 모두 밀레이와 성향이 비슷하다.


2.3. 정치 활동[편집]


경제학자 시절 좌우를 막론하고 정부여당의 경제 실정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알베르토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이끄는 페론주의 좌파 정권의 포퓰리즘 정책뿐 아니라 친(親)시장과 친(親)기업을 표방했으면서도 회복에 실패한 마우리시오 마크리 대통령의 경제 정책도 거침 없이 비판하면서 소위 '모두까기 전략'을 구사했다.

이는 좌파와 우파 어느 쪽이 집권해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기는커녕 더 나빠지기만 하는 아르헨티나 경제 상황으로 인해 기성 정치권에 신물이 난 35세 미만 청년층에게 호응을 얻었고 지지층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점차 조직화된 일부 지지자들이 2018년 자유지상당을 창당하였는데 정작 창당이 완료된 뒤에도 한동안 이 당에 합류하지 않았다. 이것 때문에 자유지상당 창당은 지지자들의 독단 행위로 치부되었으나 2019년 마침내 결단을 내려 자유지상당에 입당했고 당의 명예총재 겸 대표로 추대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때마침 그 해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호세 루이스 에스페르트(José Luis Espert)와 손잡고 '각성전선(Frente Despertar)'이라는 정당연합을 결성해 대선에서 에스페르트를 도왔으나 1.47%라는 저조한 득표율로 꼴찌를 기록하면서 낙선했다. 낙선의 책임 소재를 놓고 각성전선 구성원들 사이에서 갈등이 벌어졌지만 대선과 함께 치른 총선에 출마하지 않은 덕에 이 책임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고 별다른 불이익 없이 넘어갔다.

2021년 총선을 앞둔 2020년 9월 에스페르트와 함께 출연한 라디오 방송에서 총선 때 부에노스아이레스 선거구에 의원 후보로 출마하겠다고 선언했으며 '전진자유(Avanza Libertad)'로 이름을 바꾼 각성전선 내에서 출마를 준비했으나 석연치 않은 이유로 에스페르트와 다툰 것이 전진자유 연합 내 정파 갈등으로 비화하며 끝내 자유지상당 사람들과 함께 전진자유 연합을 탈퇴하였다. 훗날 알려진 바에 따르면 에스페르트가 정의당 주도의 페론주의 정권을 심판하기 위해 대승적 차원에서 최대의 야권연대인 '변화를 위해 함께'를 지지하기로 하였는데 이에 반대하면서 전진자유만의 독자 노선을 고수해야 한다고 주장하다가 갈등을 빚었다고 한다. '모두까기 전략'으로 대중의 호응을 얻은 입장에서 마우리시오 마크리 전 대통령이 이끄는 '변화를 위해 함께'를 지지하기 싫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자유지상당을 이끌고 전진자유를 탈퇴한 뒤 빅토리아 비야루엘(Victoria Villarruel)이 주도하는 민주당(Partido Demócrata)과 손잡았고 민주당을 포함해 보수인민당(Partido Conservador Popular), 자유와 존엄성을 위한 연합(Unite por la Libertad y la Dignidad), 담청백연합(Unión Celeste y Blanco) 등 군소 우익정당들을 규합해 '자유전진(La Libertad Avanza)'이라는 새로운 정당연합을 결성했는데 이 연합 소속 후보로 2021년 총선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 선거구에 연방하원의원 후보로 출마하였다. 총선 결과 자유전진 연합은 단 2석을 얻어 전국 단위에서는 매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으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는 득표율 15%를 넘겨 상당히 선전했다. 이 선거에서 단 2명의 당선자 중 한 명이 되었으며 자유지상당 소속 겸 자유전진 연합 소속으로 하원에 입성했다.


2.4. 2023년 대통령 선거[편집]


여세를 몰아 2023년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여론조사마다 접전 양상을 띠는 결과가 나와 누가 당선될지 알 수 없던 상황에도 일부 여론조사 결과에서 1위를 기록하는 등 기성 정치인들에게 매우 유력한 대항마로 손꼽혔다. 일부에서는 진지하게 당선 가능성을 내다볼 정도였다.

아르헨티나 페소를 포기하고 에콰도르나 엘살바도르, 파나마 등의 일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사례처럼 미국 달러를 채택할 것을 크게 내세우고 있다.

파일:포효하는 밀레이.jpg
개방형 국민경선(PASO) 1위 이후 기뻐하는 밀레이
2023년 8월 13일 각 선거연합의 후보를 확정하는 개방형 국민경선(PASO)에서 30.04%를 득표해 1위에 등극하면서 파란을 일으켰다. 유권자 전체 대상 의무투표인 데다 모든 당과 선거연합의 예비후보들의 득표순위가 일렬로 공개되는 PASO에서 '자유 전진' 연합의 단독 후보로 모든 후보들을 앞질렀다. 집권여당이었던 선거연합 '조국을 위한 연합(UP)'의 세르히오 마사 예비후보는 21.40%에 그치면서 2위에 올랐고 야권연대 선거연합 '변화를 위해 함께(JxC)'의 파트리시아 불리치 예비후보(16.98%)와 오라시오 라레타 예비후보(11.29%)가 각각 3 ,4위를 기록했으며 JxC의 후보로 결정된 불리치 전 장관이 라레타의 지지표를 흡수한다고 해도 28.27%로 2위 탈환에 그칠 뿐이었다. 예상 밖의 결과에 지지자들은 그야말로 열광하는 분위기였다. PASO 이후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다수의 조사에서 박빙 1위를 차지하면서 기대감을 더욱 높였다.#

그런데 10월 22일 1차 투표에서 29.99% 득표에 그치면서 36.69%를 득표한 세르히오 마사에 이어 2위로 결선투표에 진출했다. PASO 1위와 여러 여론조사 결과 1위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다소 실망스러운 결과였다. 본인도 돌풍이 주춤한 듯한 상황이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일부 후보가 내게 투표한 투표용지를 훔쳤다"며 부정선거 음모론을 제기하는 듯한 어디서 많이 본 태도를 보여 비판을 받았다.

1차 투표 종료 3일 만인 10월 25일 3위로 낙선을 확정지은 파트리시아 불리치 전 후보와 그녀의 정당연합인 JxC, 그리고 JxC를 이끌고 있는 마우리시오 마크리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지 선언을 받았다. 중도우파로 지지층 외연을 확장하면서 1차 투표 패배로 불리해진 구도를 뒤집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는데 이 과정에서 자유전진 지지층과 JxC 지지층 양측에 속한 일부 시민들이 "어떻게 저들과 손잡을 수 있느냐"며 반발했으나 아랑곳하지 않고 범우파 연대를 형성하는 데 집중하면서 결선투표 역전을 노렸다.

파일:밀레이 당선.jpg
대통령직 수락 연설을 하며 기뻐하는 밀레이
11월 19일 치러진 결선투표에서 55.69%를 득표해 1위를 차지해 44.31%에 그친 마사 후보를 제치고 아르헨티나 제48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아르헨티나 최초의 비주류 아웃사이더 출신 대통령에 등극하였다. 당선 확정 이후 열렬히 환호하는 지지자들 앞에서 "오늘 아르헨티나의 재건이 시작된다, 19세기에 자유경제로 부국이었던 아르헨티나의 잃어버린 번영을 되찾겠다"며 당선 소감을 밝혔다. #

다음 날 "민간 부문의 손에 있을 수 있는 모든 국영·공영기업은 민간으로 넘길 것"이라며 "국민에게 유익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공기업을 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취임일은 12월 10일이다. 임기는 4년이며 재선 가능하다.


2.5. 당선 이후[편집]


당선 후에는 후보 시절의 과격한 언행과 반대되는 활동을 하는 중이다. 좌파라며 비난하던 교황과 공손하게 통화를 하고 [3] 중국이나 룰라와 같은 좌익 진영과는 상종하지 않겠다는 말과는 달리 시진핑의 당선 축전에 감사를 표하거나 룰라를 취임식에 초청하는 등 중국과 브라질과 평범하게 외교를 하는 중이다.[4] 브릭스 참가는 거부했지만, 당초 비판적인 입장이었던 메르코수르에 대해서는 지지 입장을 밝혔다.

경제장관에는 달러화 사용 및 중앙은행 폐쇄 반대론자인 루이스 토토 카푸토 전 재무장관을 내정했다. 현지 매체들은 카푸토 내정자가 페소화를 대신해 달러화를 도입하는 것 등에 부정적인 점을 언급하며, 그가 중앙은행 폐쇄 등 밀레이 당선인의 급진적 공약을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펼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 의회 또한 여전히 페론주의당이 다수기 때문에 많은 공약들을 실현하는데 애로사항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차기 총선에서 대승하지 않는 이상 공기업 민영화와 보조금 폐지 정도의 공약만 실현될 가능성이 크다.

밀레이 스스로도 정권 초 재정긴축정책으로 인해 강한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자유시장주의자답게 경제부 상업차관실을 폐지했고, 가격 통제나 관리는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으며, '돈이 없으면 돈이 없는 것'이라며 재정적자 때문에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낼 일은 없다고 말했다. #

중국•브라질과 달리 중요도가 떨어지는 니카라과[5]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을 취임식에 초청하지 않기로 하면서 외교 분쟁이 발생했다. 니카라과는 주 아르헨 대사를 철수시켰다. 그 외에도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국가주석이 초청에서 제외되었다. #


2.6. 취임 이후[편집]


2023년 12월 10일 아르헨티나 제48대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하였다. 민주화 이후 40년간 의회에서 취임사를 밝히던 관례를 깨고 의회에선 취임식만 한 뒤 의회 앞 광장에 미리 준비된 연단에서 취임사를 통해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 더 험난한 어려움이 닥칠 수 있음을 경고하면서 강력한 개혁을 통한 경제난 해결의지를 천명했다. #

규정을 바꾸면서까지 자신의 여동생 카리나 밀레이를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임명했다. #

또한 18개인 정부부처를 대폭 줄였는데, 이 과정에서 사회개발부·공공사업부·노동사회보장부·여성인권부·환경부 등 전임 정권에서 진보적 가치 실현을 위해 정부의 시장 개입·조정 역할을 수행하게 했던 부처들을 대거 폐지하고 통폐합했다. # 이로써 아르헨티나 정부 내각은 외무국제무역부·국방부·경제부·법무인권부·치안부·보건부·내무부·인적자원부·인프라부 9개만 남게 되었으며, 장관은 수석장관을 포함해 10명으로 줄었다.

다만 자신이 속한 당이 의회 내 소수파임을 감안해 각 부처 장관에는 다소 온건한 이들을 임명했다. 내정 이후 임명된 루이스 카푸토 신임 경제부 장관이 대표적인 중도우파 인사이며, 대선에서 자신과 경쟁하다 낙선한 뒤 지지선언을 했던 파트리시아 불리치공화주의제안당 후보를 치안부 장관으로 재기용하기도 했다.

과거에 나치식 경례를 하고 반유대주의 운동에 가담한 사실이 드러나 장관직을 내려놓았던 로돌포 바라 전 법무부 장관을 법무차관(Solicitor General)으로 임명해 논란이 되었다. #


2.7. 하비에르 밀레이 정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하비에르 밀레이 정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성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밀레이주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전반적으로 강경한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에 가깝다. 정치적 스펙트럼상에서는 극우로 분류된다. # # # #

정계에 입문한 지 얼마 안 된 정치 신인이면서도 기성 정치권에 대한 반감을 이용해 돌풍을 일으킨 아웃사이더라는 점에서 도널드 트럼프와도 자주 비교되는 인물이고 실제로 밀레이 본인 또한 열렬한 트럼프 지지자이며 "열대의 트럼프"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트럼프와 성향이 비슷한 자이르 보우소나루브라질 대통령, 호세 안토니오 카스트 칠레 공화당 대표(전 대선후보), 산티아고 아바스칼 스페인 VOX 당대표 등에게 지지를 표명하였으며 이 중 보우소나루의 경우는 아들 에두아르두 보우소나루가 밀레이의 총선 출마 당시 지지를 보낼 정도로 꽤 돈독한 사이인 듯 하다.

이러한 지지 성향에서 알 수 있듯 이들과 마찬가지로 확고한 우파 성향을 띤다. 가령 좌파, 우파의 여부를 가르는 기준점 중 하나인 낙태를 예로 든다면 밀레이는 낙태를 "살인"으로 보고 강력하게 반대한다. 실제로 어느 기자가 한 10세 소녀가 강간당해 원치 않는 임신을 한 사건을 언급하자 그런 경우라도 "낙태는 엄연한 살인"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페미니즘LGBT 권리의 경우 제도적 정책을 마련하면, 오히려 그 외의 사람들의 권리를 앗아가는 것이기에 반대하며(다만 자신들이 개인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개인의 자유라는 입장이다), 대통령에 당선되면 여성인권부를 폐지하겠다고 공약했고, 실제로 당선 이후 정부부처를 대폭 축소하며 실현했다.

그러나 낙태는 미국의 자유지상주의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나뉘며[6] LGBT 권리도 그것을 법으로 지정하는 것을 반대하는 고자유지상주의자들이 있는 만큼 위의 근거들만 가지고 밀레이를 트럼프 등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다.[7] 또한 마약성매매에 대해서는 개방적인 스탠스를 보이고 있다. #

타 우익~극우 포퓰리스트들과 달리 동성애나 트랜스젠더에 대해 온건한 성향을 보인다.[8] 동성애 관련 질문을 받았을 때 "저는 고전적 자유주의자입니다. 만약 동성애자가 되기로 결정한다면 그것이 내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라고 답했으며 트렌스젠더 관련 질문에는 "당신이 나에게 비용을 내라고 하지 않는 이상 문제 없습니다."라고 답했다.#

보호무역을 지지하는 일반적인 극우 인사들과 달리 밀레이는 자유무역을 지지하여 경제적 자유주의를 충실하게 대변하고 있다.

그럼에도 정치적 올바름에 대해서는 반대 의사를 표하고 있으며 문화적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네오마르크스주의자들이 조장하는 속임수"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의무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신을 접종하는 것에 반대했다.#

복지 확충 등 개입주의적인 경제 정책에 매우 부정적인데 우파 경제정책을 표방했던 카를로스 메넴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9] 이러니 세금 정책에 대해서도 완강하게 반대하며 현재의 아르헨티나를 "세금 지옥"으로 규정하고 "세금을 인상하거나 새로운 세금을 도입하려는 세력"에 대한 범국민적 심판을 요구했다.

당연하게도 사회주의에 대해 비판적인데 "사회주의는 부러움, 분노, 힘이며 자본주의자유주의[10]는 타인의 인생에 대한 무제한적 존중이다."라고 표현했다.# 그러다보니 사회보장에 대해 헌법 제14조에 있는 전문을 없애겠다고 말한 적이 있다.#

외교적으로는 불간섭주의자로 포클랜드 전쟁에 대해 비판한 적이 있다.# 덧붙이자면 언젠가 다시 아르헨티나의 일부가 되기를 원한다면 매우 긴 협상이 필요하며 아르헨티나는 흥미로운 것을 제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민에 대해 현재 아르헨티나 헌법에 이민 촉진이 써있을 정도로 이민을 받아들이는 나라인데 이에 자신은 범죄 이력이 있는 이민자들은 추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에 대해선 "중국은 자유가 없으며, 암살자와 거래를 하느냐?"고 발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당선되고 나서는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촉진하겠다는 발언를 하였다.#

가톨릭 신자이긴 하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의 가톨릭에 대해 비판적이다. # 다만 대통령에 당선되고 나서 이뤄진 전화통화에서는 결선 승리를 축하하는 교황을 '성하'라고 부르면서 깍듯이 존대했고 아르헨티나 사람인 교황의 고국 방문을 요청하기도 했다. # [11]

그에 대한 평가는 초자유주의자(ultra-liberal)[12], 초보수주의[13], 최소국가주의자, 심지어는 아나코 캐피탈리스트까지 다양하지만[14] 밀레이 본인은 스스로를 자유주의적 자유지상주의자(liberal libertarian)라고 지칭했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1차 득표수 (득표율)2차 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21아르헨티나 연방 하원의원 선거부에노스 아이레스
자유당
313,808 (17.04%)-당선 (3번)[15]초선[16]
2023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아르헨티나8,034,990 (29.99%)14,554,560 (55.65%)당선 (1위)초선


5. 여담[편집]


  • 언론을 포함하여 한국 인터넷 도처에서 말레이라고 오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밀레이라는 표기가 익숙하지 않고 말레이시아를 많이 사용해서 저런 오기가 지속되는 듯하다.

  • 별명이 다름아닌 "가발(la Peluca)"이다. 남성치고는 조금 길고 곱슬곱슬한 머리가 마치 가발 같다고 하여 붙여진 별명인데 당연히 농담삼아 부르는 별명이기에 가발이 아닌 본인의 진발(髮)이다.

  • 미혼이지만 슬하에 "아들"이 하나 있다고 한다. 사실 그 "아들"은 잉글리시 마스티프 종의 반려견으로 이름은 코난(Conan)이라고 한다. 코난은 4마리의 새끼를 두었는데 이름들이 밀턴, 머레이, 로버트, 루카스이다. 각각 밀턴 프리드먼[17], 머레이 로스바드[18],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19]에서 유래했으며 이들 모두 경제적 자유주의를 추구한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밀레이의 정치적 견해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 일본 만화 체인소 맨의 캐릭터 포치타를 마스코트로 쓰고 있다. 악마들이 두려워하는 악마라는 개념으로 포치타라는 별명이 붙었는데 밀레이도 그 점을 잘 알아 마스코트로 쓰고 있으며 밀레이 지지자들이 체인소 맨과 관련된 팬아트를 올리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실제로 선거 유세 중 진짜 전기톱을 들고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 파일:밀레이제너럴안캡.jpg
아르헨티나의 코믹콘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자기가 직접 코스프레를 하고 연설을 하면서 "제너럴 안캡"[20]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6. 둘러보기[편집]



[ 아시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이 아니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무소속
민주진보당
국민의힘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차이잉원 (재선)윤석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무소속
인민민족회의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몽골 인민당
통합단결발전당
아와미 연맹
오흐나깅 후렐수흐민 슈웨 (권한대행)샤하부딘 추푸 (초선)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통일국민당
바트당
무소속
라닐 위크레메싱게 (초선)바샤르 알아사드 (4선)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무소속
국민전체회의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전투적 성직자회
이스라엘 노동당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에브라힘 라이시 (초선)이츠하크 헤르초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인민당
민주항쟁당
무소속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조코 위도도 (재선)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메켄칠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에모말리 라흐몬 (5선)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정의 파키스탄 운동
파타
필리핀 연방당
아리프 알비 (초선)마흐무드 압바스 (초선)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유럽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무소속
느하스
독일 사회민주당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가글로이트 알란 (초선)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블라디미르 푸틴 (4선)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지금 유럽!
무소속
기타나스 나우세다 (초선)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마이아 산두 (초선)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노동당
무소속
사회민주당

독립사회민주연대

민주전선
조지 벨라 (초선)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무소속
무소속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초선)에르신 타타르 (초선)루멘 라데프 (재선)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내일-자유운동
세르비아 진보당
스위스 사회민주당
필리포 타마니니 (재선)
가에타노 트로이나 (초선)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알랭 베르세 (재선)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주자나 차푸토바 (초선)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바하근 하차투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무소속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 (재선)마이클 D. 히긴스 (재선)일함 알리예프 (4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바이람 베가이 (초선)아슬란 브자니아 (초선)알라르 카리스 (초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페트르 파벨 (초선)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무소속
무소속
정의개발당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민주당
무소속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안제이 두다 (재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무소속
청년민주동맹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사울리 니니스퇴 (재선)노바크 커털린 (초선)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인민진보당
바모스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이르판 알리 (초선)알레한드로 잠마테이다니엘 오르테가 (5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현대혁명당
무소속
국가재건운동
루이스 아비나데르 (초선)실바니 버튼 (초선)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민주당
무소속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조 바이든 (초선)샌드라 메이슨 (초선)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사회주의 운동
노동자당
진보개혁당
루이스 아르세 (초선)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찬 산토키 (초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자유당
무소속
국민민주행동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아리엘 앙리 (권한대행)다니엘 노보아 (초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무소속
해방재건당
국민당
클라우디아 로드리게스 데 게바라 (대행)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사회융합당
사회민주진보당
인간적인 콜롬비아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구스타보 페트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무소속
민주혁명당
콜로라도당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라우렌티노 코르티소 (초선)산티아고 페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디나 볼루아르테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신애국당
가봉군
국가인민당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아다마 배로 (재선)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기니군
마뎀 G15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우마루 시소쿠 엠바루하게 게인고브 (재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진보회의
수단 인민해방운동
아프리카 국민회의
볼라 티누부 (초선)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시릴 라마포사 (초선)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니제르군
민주변혁회의
르완다 애국 전선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조지 웨아 (초선)폴 카가메 (3선)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무소속
젊은 말라가시 청년들
말라위 의회당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안드리 라조엘리나 (3선)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말리군
투쟁 사회주의운동
공정당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프리티비라즈싱 루푼 (초선)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베냉 국기.svg 베냉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모잠비크 해방전선
무소속
보츠와나 민주당
필리프 뉴시 (재선)파트리스 탈롱 (재선)모크위치 마시시 (초선)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부르키나파소군
폴리사리오 전선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브라힘 갈리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독립민주행동당
공화국 동맹
세이셸민주동맹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마키 살 (재선)와벨 람칼라완 (초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평화개발연합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수단군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무세 비히 압디 (초선)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시에라리온 인민당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압델마지드 테분 (초선)주앙 로렌수 (재선)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민주정의인민전선
무소속
민족저항운동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살러워르크 저우데 (초선)요웨리 무세베니 (6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무소속
국가개발통일당
민주당
압델 파타 엘 시시 (재선)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차드군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권한대행)폴 비야 (7선)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통합민주연대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윌리엄 루토 (초선)아잘리 아소우마니 (4선)알라산 와타라 (3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민주사회진보연합
탄자니아 혁명당
드니 사수 응게소 (7선)펠릭스 치세케디 (초선)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포르 냐싱베 (4선)카이스 사이에드 (초선)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11:22:16에 나무위키 하비에르 밀레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 유세 당시 대중 앞에서 습관처럼 외친 구호. 발음은 '비바 라 리베르타드! 카라호, 비바 라 리베르타드!'.[2] 자유의 가치를 강조함과 동시에 욕설을 섞음으로써 당시 집권세력인 페론주의 좌파 정권을 향한 국민의 분노를 자극하는 표현이다. 자유를 제1의 가치로 삼는 자유지상주의자로서의 정치적 정체성과 기성 정치권의 점잖은 수사학에 얽매이지 않는 아웃사이더로서의 정체성을 함축한 표현인 셈.[3] 선거운동 때 빌어먹을 사회주의자라고 호칭했던 교황을 취임 후 통화에서 교황 성하(Su Santidad)라고 호칭했다고 한다.[4] 브라질과 중국은 아르헨티나의 1, 2위 교역국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단교 같은 외교적 불이익은 감수할 수 없다.[5] 밀레이가 좌파 독재 국가라고 비난한 나라 중 하나다. 다만 이와는 별개로 니카라과는 영국과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제도 영유권 분쟁에서 아르헨티나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6] 태아가 모친의 뱃속을 무단점거했다는 의견과 낙태가 생명권 침해라는 의견으로 나뉜다.[7] 트럼프의 고보수주의 성향과 자유지상주의자들 간의 일부 접점이 있을 수는 있으나 그것이 전체가 같다고 볼 순 없다. 다만 밀레이와 트럼프는 우익~극우 성향 및 아웃사이더 출신 대통령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둘 사이도 나쁘지 않은 듯 하다. 트럼프가 밀레이에게 축사를 해줄 정도이기 때문이다. [8] 우파 자유지상주의들은 자유를 중시하고 밀레이도 자유지상주의자이기 때문에 놀라울 것은 없다.[9] 다만 비슷한 우파 대통령인 마우리시오 마크리는 전술했듯이 부정적으로 바라본다.[10] 여기서의 리버럴은 문맥상 고전적 자유주의 혹은 경제적 자유주의를 말한다.[11] 다만 밀레이가 가톨릭이라는 특수성 역시 고려를 해야할 듯 싶다.[12] 사회자유주의가 아니다.[13] 스페인 제도권 언론인 엘 파이스의 영어판의 기사의 헤드라인에서도 Ultra-conservative Javier Milei라고 표현했다. #[14] #[15] 아르헨티나 국회의원 선거제도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이다.[16] 2023.12.10 대통령 취임으로 인한 사퇴[17] 시카고 학파의 유명한 경제학자이며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다.[18] 오스트리아 학파 출신 학자이며 아나코 캐피탈리즘의 창시자다.[19] 새고전학파의 학자이며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다.[20] 위 사진에서 밀레이의 복장은 아나코 캐피탈리즘을 상징하는 흑황기에서 따 온 것으로 흑색은 아나키즘, 황색은 자본주의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