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청원이라는 지명을 사용하는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청원구 문서
청원구번 문단을
청원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충청북도폐지된 자치군
파일:청원군 구 CI.svg청원군
淸原郡
Cheongwon County
||

군청 소재지청주시 상당구 북문로1가
광역자치단체충청북도
하위 행정구역3 10
면적779.06㎢
인구155,436명[1]
현재 인구180,014명[2]
인구 밀도199.52명/㎢[3]
마지막 군수
ta-hash-start=w-96eea2fc5cdc79352e4f1350e2cb0275[[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이종윤
마지막 국회의원
ta-hash-start=w-faf7cb72545c21daac22ec0b98d539cb[[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변재일
지역전화043-2xx
존속기간1895년 6월 23일[4] ~ 2014년 6월 30일
1. 개요
2. 연혁
3. 역대 군수
3.1. 민선
4. 인구 추이
5. 생산물
6. 하위 행정구역
6.1. 이전 행정구역



1. 개요[편집]


파일:구 청원군청.jpg
구 청원군청. 주소는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69번길 38(舊 북문로1가 171-3). 역사적으로는 청주 동헌이 있던 자리이며, 2014년 7월 1일 청주시와 통합된 이후 상당구청(임시청사), 청주시청 제2청사를 거쳐 2023년 시점에서는 청주시청 제1임시청사로 쓰이고 있다.

파일:청원군 CI_국문.svg파일:청원군 캐릭터.svg
CI와 마스코트 "초롱이"[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0px-Map_Cheongwon-gun.png
청원군 지도
충청북도의 옛 기초자치단체(). 청주시를 둘러싸고 있는 도넛 형태로, 군청은 청주시에 있었다.[6] 1895년 23부제 개편과 함께 청주군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어 1946년 군정법령 제84호에 의해 청주군 청주읍이 청주부로 분리승격되었고, 잔여 지역은 청원군으로 개칭되었다.[7] 이렇게 분리된 청주부는 1949년 8월 15일 청주시로 개칭되었다.

청주시와 통합되어 폐지되기 전 인구는 159,486명.[8] 당시에는 광역시 산하가 아닌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였다.[9] 이 때문에 단독으로 국회의원 선거구를 하나 가지고 있었다. 2006년 초까지만 해도 제천시의 인구가 더 많았으나, 오창과학산업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의 영향으로 인해 제천시를 제치고 충북 시군 인구 규모 3위가 되었다.

청원군과 청주시의 통합은 1994년, 2005년, 2010년 3차례 시도되었으나 청원군의 극심한 반대로 번번히 무산되었다. 그러다 2012년 4차 시도에서 마침내 청원군 주민 대다수가 통합에 찬성하면서 2014년 7월 1일부로 통합하게 된다. 이로서 1946년 청주군이 청주부[10]와 청원군으로 분리된 이래, 68년 만에 다시 하나가 되었다. 그 전인 2012년 7월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예하 행정구역이었던 부용면[11]이 편입되어, 1개 면이 감소하였다.

청주시가 서쪽 지역 중심으로 발전된 것과 유사하게, 청원군 역시 북서쪽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청원군에서 가장 발전된 곳이었던 내수읍과 오창과학산업단지 개발로 성장한 오창읍은 북쪽에, 오송읍은 서쪽에 위치했다. 반면 남동쪽 지역들은 여전히 전형적인 시골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특산물(?)은 초정약수로 만드는 일화천연사이다, 탄산수 및 맥콜.

2. 연혁[편집]


  • 1895년 5월 26일 : 23부제 실시, 공주부 청주군, 문의군
  • 1896년 8월 4일 : 13도제 실시, 충청북도 청주군, 문의군
  • 1914년 3월 1일 : 부군면 통폐합으로 문의군이 청주군에 병합, 청천면을 괴산군에, 오창면 도방리 일부를 충남 천안군에, 충남 대전군 구즉면 상산리 일부를 청주군에 각각 편입
  • 1915년 1월 1일 : 남일면 일부[12]보은군 회북면[13] 일부[14]가덕면에 편입
  • 1917년 9월 25일 : 양성면을 문의면으로 개칭
  • 1930년 : 용흥면을 문의면에 합병
  • 1931년 4월 1일 : 청주면이 청주읍으로 승격
  • 1946년 6월 1일 : 청주읍이 청주부로 승격[15], 청주군의 잔여지역이 청원군으로 개칭
  • 1963년 1월 1일 : 사주면을 청주시로 편입
  • 1973년 7월 1일 : 남이면 일부를 부용면[16], 강서면[17]에, 북이면 초중리를 괴산군 증평읍에 각각 편입
  • 1983년 2월 15일 : 강내면 황탄리 일부를 강외면에, 문의면 죽암리를 현도면에, 북이면 학평리를 북일면에, 강서면 일원과 낭성면 산성리, 남일면 방서리, 강내면 석소리를 청주시에 편입
  • 1987년 1월 1일 : 강내면 부탄리를 월탄리로 개칭, 남이면 죽림리와 강내면 일부[18]를 청주시로 편입
  • 1989년 1월 1일 : 북이면 석화리 일부를 북일면 세교리에, 부용면 외천리 일부를 남이면에, 낭성면 성대리를 미원면에, 보은군 회북면[19] 일부[20]와 회남면 염치리를 문의면에 각각 편입
  • 1990년 8월 1일 : 남일면 일부[21], 남이면 장성리, 북일면 일부[22]를 청주시로, 가덕면 노현리를 문의면에 편입
  • 1995년 3월 1일 : 강외면 심중리를 충남 연기군 전동면에, 연기군 동면 갈산리를 청원군 부용면에 각각 편입
  • 2000년 1월 1일 : 북일면이 내수읍으로 승격
  • 2007년 1월 1일 : 오창면이 오창읍으로 승격
  • 2012년 1월 1일 : 강외면이 오송읍으로 승격
  • 2012년 6월 27일 : 청주시-청원군 통합 주민투표 실시
  • 2012년 7월 1일 : 외천리를 제외한 부용면 일원[23]을 신설되는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해 부강면으로 개칭, 구 부용면 외천리는 부용외천리로 개칭해 남이면에 편입.
  • 2014년 7월 1일 : 청원군과 청주시통합되어 통합 청주시를 설치. 과거 청원군 관할 3읍[24], 10면[25] 중 내수읍, 오창읍, 북이면은 청원구, 가덕면, 남일면, 낭성면, 문의면, 미원면은 상당구, 오송읍, 강내면, 옥산면은 흥덕구, 남이면과 현도면은 서원구로 각각 편입.


3. 역대 군수[편집]



3.1. 민선[편집]


  • 민선 1-2기 변종석 : 1995년 7월 1일 ~ 2001년 8월 14일 뇌물수수 혐의 유죄판결로 군수직 상실[재보궐X]
  • 민선 3기 오효진 : 2002년 7월 1일 ~ 2006년 3월 27일 청주시장 출마를 위해 사퇴.
  • 민선 4기 김재욱 : 2006년 7월 1일 ~ 2009년 12월 10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군수직 상실[재보궐X]
  • 민선 5기 이종윤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민선 1기를 마치고 2기 임기를 수행하던 중 군수직을 상실한 변종석 군수를 제외하면 마지막 민선 청원군수인 이종윤 군수만 제 임기를 무사히 마쳤다.


4. 인구 추이[편집]


파일:청원군 CI_국문.svg
충청북도 청원군 인구추이
(1966년~2010년)
1966년224,888명
1970년204,190명
1975년199,250명
1980년173,447명
1983년 강서면 → 청주시 편입
1985년141,804명
1990년 북일면, 남일면, 남이면 일부 → 청주시 편입
1990년114,641명
1995년112,094명
2000년115,634명
2005년112,137명
2010년142,017명
2012년 부용면세종특별자치시 편입
2014년154,865명
2014년 7월 청주시 + 청원군 → 통합청주시 출범


5. 생산물[편집]


청원생명이라는 브랜드를 통해서 애호박, 딸기, 수박, 사과, 토마토, 포도, 복숭아 등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가수 태진아가 모델로 출연했던 청원생명쌀이 있다.[26] 2022년 현재 광고모델은 예산 출신인 송소희다.

이 브랜드는 2014년 통합청주시 출범 이후에도 존치되었고 청주시가 관리하고 있다.[27]


6.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청원군 행정.png





6.1. 이전 행정구역[편집]


  • 사주면
일제강점기부터 청주시[28]를 도넛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던 면으로, 1963년 1월 1일 청주시에 편입되어 사라졌다. 지금의 상당구 명암동·방서동·사천동·용담동·용암동·용정동·운동동·월오동·율량동·지북동·평촌동, 흥덕구 가경동·개신동·미평동·복대동·봉명동·분평동·사직동·사창동·산남동·성화동·송정동·수곡동·신봉동·장성동·장암동·죽림동에 해당한다. 애초에 청원군 자체도 청주시를 도넛 모양으로 포위하는 형태인데, 청원군 예하의 사주면 역시 이런 형태였던 것.

1983년 2월 15일 구 청주시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지금의 흥덕구 강서동·남촌동·내곡동·동막동·문암동·비하동·상신동·서촌동·석곡동·석소동·송절동·수의동·신대동·신성동·신전동·외북동·원평동·지동동·평동·향정동·현암동·화계동·휴암동에 해당한다.

2012년 7월 1일 부강면으로 개칭됨과 함께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이 과정에서 외천리는 남이면에 편입되었는데, 남이면에 외천리가 이미 있었기 때문에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용외천리로 개칭되었다.


7. 청주시-청원군 통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청주·청원 통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014년 7월 1일, 청주부(청주시)-청원군 분리 68년 만에 통합청주시가 출범하였다.
  • "청원"이란 명칭은 완전히 사라지진 않고, 일반구 명칭(청원구)으로 남게 되었다.
  • 행정구역과 통합 당시 인구는 다음과 같다.
파일:external/www.cheongju.go.kr/left_map_img.jpg
상당구(5면 8동, 404.44㎢) : 중앙동, 성안동, 탑대성동, 용담·명암·산성동, 금천동, 영운동, 용암1·2동, 남일면, 낭성면, 미원면, 문의면, 가덕면

흥덕구(1읍 2면 10동, 198.27㎢) : 운천·신봉동, 봉명1동, 봉명2·송정동, 복대1·2동, 가경동, 강서1·2동, 오송읍, 강내면, 옥산면

청원구(2읍 1면 5동, 214.99㎢) : 내덕1·2동, 율량·사천동, 우암동, 오근장동, 내수읍, 오창읍, 북이면

서원구(2면 9동, 114.88㎢) : 사직1·2동, 사창동, 모충동, 수곡1·2동, 산남동, 분평동, 성화·개신·죽림동, 남이면, 현도면
[1] 2014년 6월 기준[2] 2023년 2월 기준 청주시 읍면지역 인구[3] 2014년 6월 기준[4] 1946년 6월 1일 청원군으로 개칭[5] 청원군청 홈페이지에는 "맑고 깨끗한 물방울과 푸른 나뭇잎을 모티브로 청원군의 청정한 자연을 수호하는 귀여운 요정으로 형상화 하였으며, 또한 발빠르게 움직이는 요정은 교통의 핵심으로서 빠른 이동이 가능함을 표현하였습니다. White에서 시작되어 Blue, Green, Red로 변화색을 사용함은 청원이 더 푸르고 깨끗한 자연과 더불어 미래의 도약과 청원군 군민들의 밝은 의지를 나타냅니다. 캐릭터 이름은 초롱이이며 청결하고 깨끗한 자연환경과 푸른숲, 맑은 물등 아름다운 자연을 의미합니다."라고 기재되어 있었다.[6] 1995년 도농복합시 출범 이전에는 청주시-청원군이나 전주시-완주군처럼 역사적으로 동일한 지역이 시-군으로 분리된 곳들이 많았고, 그 형태는 대부분 군이 시를 완전한, 또는 불완전한 도넛 모양으로 감싸는 형태였다. 이 경우 군들의 군청은 대부분 분리된 시내에 있었다.[7] 동일 법령에 의해 춘천군 춘천읍도 춘천부로 분리승격되었고, 잔여 지역이 춘성군으로 개칭되었다.[8] 외국인 포함, 2014년 6월 말 기준[9] 2014년 당시 군 지역 중 인구 1위는 울산광역시 울주군(20만), 2위는 대구광역시 달성군(18만)이었다.[10] 1949년 청주시로 개칭[11] 편입 이후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으로 개칭되었다. 편입이 유일하게 제외되었던 외천리는 남이면 편입 후 부용외천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하위 행정구역 문단에 후술.[12] 병암리, 금거리, 내암리[13] 2007년 회인면으로 개칭[14] 계산리, 수곡리, 시동리[15] 1949년 8월 15일 전국의 로 개칭하면서 청주시로 개칭[16] 행산리, 산수리[17] 석곡리[18] 정봉리, 신촌리[19] 2007년 회인면으로 개칭[20] 마동리, 마구리, 묘암리[21] 지북리, 평촌리, 운동리, 월오리, 장암리[22] 주성리, 외하리, 외평리, 외남리, 오동리, 정북리, 정상리, 정하리, 주중리[23] 부강리, 노호리, 등곡리, 금호리, 갈산리, 문곡리, 행산리, 산수리[24] 내수읍, 오창읍, 오송읍[25] 가덕면, 강내면, 남이면, 남일면, 낭성면, 문의면, 미원면, 북이면, 옥산면, 현도면[재보궐X] A B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26] 정작 태진아보은군 출신이라서 보은사람들 사이에서 아쉽다는 소리가 있었다.[27] 청원군의 이름을 계승한 청원구는 일반구이고, 일반구는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므로 관리주체가 될 수 없다.[28] 1946년 이전 청주읍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14:11:08에 나무위키 청원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