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제2선거구(울산)

덤프버전 :

||
파일:중구_제2선거구(울산)8.png
선거인 수35,670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울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중구 일부
병영1동, 병영2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기환 (3선)

1. 개요
2. 역대 선거 결과[1]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중구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병영동 일대를 관할한다.

원래 미개발지였던 곳에 아파트가 지어진 새로 개발된 곳이라 당연히 중구 안에서는 보수세가 약한 편이다. 물론 정당 지지세 자체는 대부분 국민의힘이 앞서는 편이라 보수 표심이 분산된 틈을 타 민주노동당 후보가 당선된 5회 지선을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 후보들이 독식했으며, 전국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한 7회 지선 때도 민주당, 보수정당, 진보정당의 3자 구도로 치러진 덕분에 자유한국당이 수성에 성공했었다.

2. 역대 선거 결과[2][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중구 제2선거구
제2대조용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3][4]
제3대김기환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제4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제5대천병태
ta-hash-start=w-ed1f42da2c5662307df13fe5648b05bf[[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5]
제6대고호근
ta-hash-start=w-53191554e4ff8339484d864ca3d6d6c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7대
ta-hash-start=w-4c4d7d721cf9a48f1edb88443bd1e863[[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3월 24일[6]
제8대김기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용수(趙鏞洙)16,09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4.86%당선
2김학성(金學成)2,8553위

ta-hash-start=w-8bd045c0275185605e58d7fec40ecae6[[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9.73%낙선
4천병태(千柄泰)10,3852위

무소속

35.40%낙선
선거인 수53,781투표율
55.91%
투표 수30,070
무효표 수739

2.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기환(金基煥)15,05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3.16%당선
3천병태(千炳泰)10,6872위

ta-hash-start=w-5e5b0d7f3426a535acd6b831f7edecdd[[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37.74%낙선
4차용업(車鎔業)2,5743위

무소속

9.09%낙선
선거인 수55,248투표율
52.45%
투표 수28,979
무효표 수666

2.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기환(金基煥)19,435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3.15%당선
4이효상(李孝祥)11,3392위

ta-hash-start=w-2fa8af078803491746235057c546c1b6[[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36.84%낙선
선거인 수60,666투표율
51.51%
투표 수31,255
무효표 수481

2.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승준(金勝準)6,152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1.55%낙선
5천병태(千炳泰)8,4981위

ta-hash-start=w-9fb0b4d60bfef7bf4382bf8fa7ea945e[[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43.59%당선
7김기환(金基煥)4,8443위

무소속

24.84%낙선
선거인 수35,021투표율
56.54%
투표 수19,804
무효표 수310

2.5.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호근(高浩根)9,8871위

ta-hash-start=w-4eee90362b79d431f550d87714eaca2c[[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6.82%당선
3천병태(千炳泰)8,0462위
38.10%낙선
4김중국(金中國)3,1843위
15.07%낙선
선거인 수36,921투표율
58.67%
투표 수21,662
무효표 수545

2.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ffffff
병영1동, 병영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경원(李景元)8,4722위
34.52%낙선
2고호근(高浩根)9,1461위
37.27%당선
6천병태(千炳泰)6,9203위
28.20%낙선
선거인 수37,886투표율
66.62%
투표 수25,241
무효표 수703

2.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시현(金始炫)7,5382위
39.41%낙선
2김기환(金基煥)11,5861위
60.58%당선
선거인 수35,670투표율
54.66%
투표 수19,498
무효표 수374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비례대표인 김시현 후보와 정혜경 후보가 경선에서 맞붙어 김시현 후보가 승리하였다.

국민의힘에서는 고호근 시의원이 중구청장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시의원직을 사퇴하였으므로 새 후보를 찾아야 된다.[7] 지난 선거에서 구의원으로 선출직에 복귀한 김기환 전 시의원이 이번에는 시의회 복귀를 노리게 되었다.

다른 정당[8]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김기환 후보가 60%를 얻으며 12년 만의 원내 복귀와 동시에 3선 고지에 올랐다. 관내투표에서는 김기환 61% 정도로 넉넉하게 이긴 반면,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5:45로 불과 10%p차가 나며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약간의 표심 차이를 보였다.


[1]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2]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3] 3회 지선 중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4]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5] 병영1동, 병영2동[6] 8회 지선 중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7] 막상 경선에서 구의원 시절 동료였던 김영길 전 구의회 의장에게 패했다.[8] 그간 꾸준히 진보정당 대표로 출마한 천병태 전 시의원은 2등까지도 당선되는 구의원으로 체급을 낮춰 출마하여서 그런지 후보군이 마땅히 없던 것으로 보인다. 막상 그렇게 체급을 낮춘 천 후보조차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이 사이좋게 1석씩 나눠 먹으며 낙선해 빛이 바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