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계역 (r6판)

편집일시 :


中溪 / Junggye(Korean Bible Univ.)
중 계(한국성서대)
파일:Seoulmetro7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Junggye
(Korean Bible Univ.)
한자中溪
중국어
일본어チュンゲ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 1308-1 (중계동 503-3번지)
운영 기관
7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개업일
7호선1996년 10월 11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발빠짐주의)

1. 개요
2. 역 정보
3. 승강장
4. 역 주변 정보
5. 일평균 이용객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7호선 714번.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 1308-1 (중계동 503-3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06 중계.png
역 안내도.

역이 있는 중계동에서 역명을 따 왔으며, 중랑천의 중간지역이라는 뜻이다.[1]


3. 승강장[편집]


파일:20190921_173847-2.1.jpg
중계역 승강장.

마들역부터 노원역, 이 역, 하계역까지 섬식 승강장이다. 승강장이 약간 구부러져 있다.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노원
하계



4. 역 주변 정보[편집]


역 주변은 아파트 택지지구이다. 중계역과 하계역 사이에 중계근린공원이 있으며, 3번 국도 상에 있는 무지개다리 육교로 매우 유명하다. 홈플러스나 2001아울렛 같은 할인마트, CGV 중계도 있는데 하계역에서 더 가깝다.

1, 6번 출구로 나가서 당현교라는 다리만 건너면 상계주공아파트 1, 4단지가 있으며,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과, 동부 적십자 혈액원, 한국성서대학교가 있다. 인천국제공항행 리무진 버스 정류장도 이쪽 방향 출구로 나가서 당현교를 건너면 바로 앞에 있다.

5번 출구로 나가서 녹천역 쪽으로 쭉 걸어가면 K4리그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의 홈 경기장인 마들스타디움이 있고 구 상계직업학교인 서울시북부기술교육원과 상이군경복지관,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이 있다 .
또한 주변에 학교가 많아 대진여고, 서울아이티고 학생들이 얽혀서 등교한다.[2]

2017년 7월 14일부로 한국성서대 역명이 병기된다.

중계역 6번 출구 근처 대한적십자 동부혈액원옆 상가 건너편에 한국성서대학교도 있다.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중계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서울 지하철 7호선
[ 2000년~2009년 ]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22,279명28,128명29,379명29,329명30,011명30,854명30,429명29,886명29,694명29,433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29,933명30,333명31,442명32,008명31,903명31,493명31,145명30,462명30,470명31,006명
2020년
22,380명

중계역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중계동 택지지구 한복판에 있는 역이다. 앞의 노원역 상권이 워낙에 발달하여 중계역 인근에는 이렇다할 상업지구가 형성되지 않았지만, 워낙 인구밀도가 높은 아파트 숲 사이에 있어 하루 평균 3만 명 이상이 중계역을 찾는다. 2000년까지는 7호선이 건대입구에서 끊겨서 승하차객이 지금처럼 많지 않았지만, 7호선이 완전히 개통되고 처음으로 이용객이 온전히 잡힌 2001년부터 지금까지 이용객의 큰 차이 없이 하루 평균 3만 명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다.

주요 이용객은 역이 위치한 중계2·3동 주민들이다. 당현천 옆에 역이 있는 관계로 하천 너머 상계6·7동의 상계주공1단지, 미도아파트, 상계백병원 및 한국성서대학교의 경우에도 중계역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다. 반면에 같은 중계라는 이름을 달고 있지만 중계동 학원가에서는 이용률이 낮다. 이쪽에서 연결되는 버스들이 대부분 노원역 또는 하계역 으로 가기 때문이다. 학원가 쪽 중계본동, 중계1동 주민들은 이 역보다 하계역을 더 많이 찾고, 그 때문에 두 역의 승하차객은 거의 1만 명 가까이 차이가 난다.

[1] 중계동 유래, 중계1동주민센터[2] 그 때문인지 노원역과 석계역, 태릉역에서 학생들이 유독 많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