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

덤프버전 :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중앙은행
파일:조선중앙은행 휘장.svg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中央銀行

Central Bank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파일:조선중앙은행 본점.png
다른 이름조선중앙은행
朝鮮中央銀行
설립1946년 10월 29일 (77주년)
기능중앙은행
총재백민광
상위 조직북한 내각
주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
(평양시 중구역 만수동)
1. 개요
2. 역사
3. 업무
4. 조직
5. 역대 중앙은행 총재
6. 남북통일 이후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북한중앙은행. 조선중앙은행으로도 불리며 북한 원을 발행한다.

현재 본점은 평양시 중구역 만수동에 소재하고 있다. 2010년까지는 현재의 인민극장 자리에 있었는데, 창전거리 건설사업으로 인해 신축 이전하였다. 원래 소재지는 일제강점기 조선은행 평양지점이 있던 자리이기도 하다. 애초에 조선은행 평양지점을 모태로 출범한 은행이니 당연한 일이다. 과거의 위치도 평양 시내 최고 입지이고, 현재 위치도 대동강 바로 옆의 매우 좋은 곳이다.

행정적으로는 북한 내각의 통제를 받고 있으며, 주체사상의 나라답게 조선로동당이 개입하여 은행 임직원들의 사상을 단속하기 위해 정치적 통제를 실시하고 있다.


2. 역사[편집]


1945년 8월한반도38도선 이북을 점령한 소련은, 북한 지역의 금융기관을 통제하기 위해 동년 12월 조선은행[1] 평양지점에 금융 감독기관인 '계산소'를 설치하였다.

이후 이북 5도의 나머지 조선은행 지점들을 모아, 평양지점을 본점으로 하고 1946년 1월, 고려인 김찬을 총재로 삼아 북조선중앙은행을 설립하였다. 동년 8월 '주요산업국유화법'이 제정되면서 국유화되었고, 1946년 10월 29일 조선중앙은행으로 공식 출범하였다. 이후 1959년 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으로 승격되면서 명실상부한 북한중앙은행이 되었다.

1959년 11월, 북한의 무역활동이 증가하면서 조선무역은행을 설립해 대외결제와 외화관리 업무를 이관하였다[2]. 현재 북환의 외국환업무는 조선무역은행 이외에도 대성은행, 고려은행 등이 담당하고 있으며, 조선로동당 재정경리부의 통제 하에 있다.

1972년 12월 중앙은행 지위를 상실하고 북한 정무원 소속으로 편입되어 국가 재정계획을 뒷받침하는 기관으로 전락해버렸다[3]. 쉽게 말해서 김씨 일가의 ATM 다만 발권은행 지위는 유지하였는데 2004년 '중앙은행법'이 제정되어 지위와 역할이 다시금 명문화되었고, 중앙은행의 권위를 되찾게 되었다.

이 은행 외에도 단천상업은행이라는 무기 거래 전용은행과 화려은행이라는 북중 합작은행을 보유하고 있다. '단천상업은행'은 대한민국 국방부방위사업청이 은행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3. 업무[편집]


북한의 내국환업무를 담당한다. 외국환 및 대외거래 등의 업무는 조선무역은행의 전담.

보통 중앙은행은 소수의 기업금융 상품을 제외하면 시중은행업을 하지 않으나 북한은 경제상황이 워낙 특수해서[6] 중앙은행이 직접 상업은행업을 한다. 북한에서는 원래 중앙은행에서만 당좌예금를 취급할 수 있어서 북한의 모든 기업들은 중앙은행을 통해 거래했다. 하지만 최근 규제가 완화되어 상업은행에서도 당좌거래를 할 수 있다.



4. 조직[편집]


파일:NK_Bank_Kaesong.jpg
개성총지점[7]

평양시에 본점을 두고 있으며, 도소재지[8]라선시, 개성시에 총지점(지역본부 격), 220개 시군구역 소재지[9]에 일반지점이 소재한다고 전한다.



5. 역대 중앙은행 총재[편집]


이름재직기간
김찬1946 - 1956
변승우1980 - ?
정성택? - 2000
김완수2000 - 2009
리광근2009 - 2011
백룡천[12]2011 - 2014
김천균2014 - 2021
채성학2021 - 현직


6. 남북통일 이후[편집]


대한민국북한의 경제력이 차이가 나는 이상 중앙은행의 기능은 한국은행으로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시에 조선중앙은행의 본점은 한국은행 평양본부 내지는 평남본부, 총지점과 일반지점은 각각 통폐합되어 다음과 같이 전환될 것이다. (이북 5도 행정구역 기준)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2:13:52에 나무위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38도선 이남 지역에서는 대한민국 제1공화국 수립 이후 한국은행으로 개편되어 오늘에 이른다.[2] 대한민국에서도 비슷한 경우로 한국은행 외환부가 한국외환은행으로 독립한다.[3] 본디 중앙은행은 국가의 간섭과 통제로부터 자유로워야 하는 것이 원칙인데 북한은 그렇지 못하다.[4] 여기까지는 대부분의 중앙은행의 일반적인 업무이다.[5] 대한민국 시중은행처럼 보험사 상품판매 대행을 하는 금융기관보험대리점(방카슈랑스)의 역할을 하는지, 은행이 직접 보험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지는 불명.[6] 과거 소련의 중앙은행도 상업은행업을 했다.[7] 사진을 보면 '총'자에만 붉은 페인트가 지워져 있다.[8] 대한민국의 도청소재지 격[9] 대한민국의 시청, 군청, 구청 소재지 격[10] 조선로동당 당원이 파견되어 은행 임직원에 대한 사상경찰 역할을 함[11] 대한민국금융결제원[12] 북한 외무상 백남순의 아들이다.[13] 이미 대한민국 강원도에 강원본부가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