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천교통공사

덤프버전 :

||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
[ 펼치기 · 접기 ]

전국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SR
수도권
  서울시메트로9호선  공항철도  인천교통공사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경기철도  새서울철도  이레일   서부광역철도 용인경량전철  인천공항시설관리  남서울경전철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의정부경량전철 우진메트로  SG레일   남양주도시공사  넥스트레인     
동남권
  부산-김해경전철  스마트레일 가야철도
기타 권역
 
대전교통공사 
전라선철도  삼표레일웨이 
우진PRT
{{{#003478,#3090F0 주1 의정부경전철주식회사는 파산 이후 도시철도운송사업 폐업 절차를 마친 상태로, 운영기관이 아니다.
주2 서울메트로9호선운영주식회사서울교통공사9호선 2·3단계 구간을 직영하게 됨에 따라 2018년 11월 28일부로 해체되었다.
주3 서울9호선운영주식회사9호선 1단계 구간 도시철도 관리운영위탁계약이 2019년 6월 30일부로 해지된 상태로, 운영기관이 아니다.}}}




인천광역시의 지방공기업
파일:인천교통공사 엠블럼.svg
인천교통공사
仁川交通公社
Incheon Transit Corporation
||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
||
정식 명칭인천교통공사
한문 명칭仁川交通公社
영문 명칭Incheon Transit Corporation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설립일1998년 4월 15일[1]
설립배경지방공기업법 제49조에 의한 인천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설립목적도시철도와 자동차 등 교통관련 시설의 건설과 운영을 통하여 시민 편익 향상과 도시교통 발전에 기여
전신지방공사 인천터미널
(1992년 12월 30일 ~ 2005년 8월 25일)
인천광역시 지하철 건설본부
(1992년 6월 30일 ~ 1998년 4월 14일)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
(1998년 4월 15일 ~ 2009년 10월 5일)
인천메트로
(2009년 10월 6일[2] ~ 2011년 11월 27일)
업종명도시철도·여객자동차 운송업 등
대표자김성완
주무부처인천광역시
기업 분류지방공기업
상장 여부비상장기업
주요 주주인천광역시 : 100%
직원수2,910명(2023년 1분기 기준)
자본금4조 8,103억 7,891만 0,750원(2022년 기준)
매출액2,282억 9,473만 0,273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2,816억 5,043만 5,044원(2022년 기준)
순이익-1,736억 8,138만 6,211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4조 3,690억 6,375만 0,892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3,425억 6,569만 0,857원(2022년 기준)
도시철도
운영 구간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30.3km)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인천 도시철도 2호선(29.1km)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까치울 - 상동(7.3km) [위탁]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삼산체육관 - 석남(7.1km)
궤도운송
사업
월미바다열차(6.1km)
자회사인천메트로서비스
주소


인천교통공사 본사
인천광역시 남동구 경인로 674 (간석동)
관련 웹사이트
인천교통공사 공식 홈페이지
인천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 공식 홈페이지
인천교통공사노동조합 공식 홈페이지
공식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인천교통공사 공식 블로그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인천교통공사 공식 페이스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인천교통공사 공식 유튜브
공식 캐릭터
파일:인천교통공사_아이로.png
마스코트 '아이로'
전화번호
대표번호: 032-451-2114
유실물센터: 032-451-3650
1. 개요
2. 역대 대표
2.1. 통합 전
2.2. 통합 후
3. 사업 분야
3.1. 도시철도
3.2. 시내버스
3.2.1. 운행 노선
3.2.2. 과거 운행 노선
3.2.3. 면허 체계
3.3. 궤도운송사업(관광용 궤도)
3.4. 교통시설 관리
4. 채용과 직장 생활
4.1. 채용
4.2. 직장 생활
5. 보유차량
6. 로고송
7. 사건 사고
8. 안내방송
9. 승무사업소 목록
10. 차량사업소 목록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ncheon_Transit_Corporation.jpg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에 위치한 인천교통공사 본사[3]

행복하고 안전한 세상, 함께하는 인천교통공사

인천광역시 산하의 지방공기업. 버스정보시스템 관리 및 도시철도, 시내버스, 장애인 콜택시 운영 등을 하고 있다. 1998년 설립된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가 전신으로, 2011년 11월 28일 버스 사업을 운용하던 구 인천교통공사(당시 명칭 지방공사인천터미널)를 합병하여 통합 인천교통공사가 출범하였다. # 국내에서는 시내버스지하철을 동시에 운영하는 최초이자 유일한 사례이다.[4]


2. 역대 대표[편집]



2.1. 통합 전[편집]




대수이름임기비고
초·2대정인성1998년 ~ 2003년前 인천지하철 건설본부장
3대임석봉2002년 ~ 2003년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
4대권기일2003년 ~ 2006년인천광역시 자치행정국장
5대김우철2006년 ~ 2009년부평구청 부구청장
6대이광영2009년 ~ 2011년인천광역시의회 사무처장



2.2. 통합 후[편집]



대수이름임기비고
7대오홍식2011년 ~ 2014년인천경제자유구역청 차장
8대이정호2014년 ~ 2016년남동구청 부구청장
직무대행이광호2016년인천교통공사 경영본부장
9대이중호2016년 ~ 2019년인천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장
10대정희윤2019년 ~ 2022년서울교통공사 상임감사
직무대행안희태2022년인천교통공사 안전경영본부장
11대김성완2022년 ~김포골드라인운영 대표이사

3. 사업 분야[편집]



3.1. 도시철도[편집]


파일: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로고.jpg
▲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시절 로고. 로고 색상에서 하늘색은 1호선, 노랑색은 2호선[5], 빨강색은 3호선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파일:인천지하철 써비.gif
▲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시절 마스코트인 '써비'.

파일:인천메트로 로고.jpg
▲ 인천메트로 시절 로고. 글자 부분을 제외하면 현재의 로고와 동일하다.

1998년 4월에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을 운영하기 위해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를 창립하였고 2009년 10월 '인천메트로'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현재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의 전 구간과 서울 지하철 7호선까치울~석남 구간을 운영하고 있다. 모든 인천 도시철도의 운영을 맡을 계획이다.[6]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의정부 경전철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맡게 되었다. 기사1, 기사2 그러나 의정부경전철이 파산하면서 인천교통공사에 불똥이 튀었다. 운영비 일부를 받지 못한데다가, 파견 직원에 대한 대책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를 2012년 6월 12일부터 2016년 7월까지 위탁 운영하였다. 기사

인천 1호선 전동차 안내방송은 여기서 다운받아 들어볼 수 있다. 인천 2호선은 여기서 다운받을 수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인천 연장 구간[7]은 본래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였으나, 추가 협약에 의해 2022년 1월 1일부로 인천교통공사가 역무•승무•기술 분야에 한해 운영 중에 있다. 이와 동시에 부천시 구간[8]도 2023년 3월 28일까지 한시적으로 운영을 맡기로 협의하였으나, 신규 협약을 통해 부천시-서울교통공사 간에 벌어지고 있는 부천 구간의 운영권 관련 소송이 종료된 이후 운영사가 변경될 때까지로 기한을 연장하여 운영중이다.

인천교통공사 운영 노선의 관리역은 인천교통공사/관리역 목록 문서에 기재되어 있다.


3.2. 시내버스[편집]


파일:연수구 CI.svg 인천광역시 연수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강인여객[a]더월드교통[a][c]대인교통[a]도영운수
명진교통[a]미래교통[a]성민버스성산여객[a]
송도버스[a]원진운수[a]인강여객[a][c]인천교통공사[a]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인천여객하이건설
[a] 주사무소를 연수구외에 둔 회사. / [b] 주사무소만 연수구에 소재. / [c] 준공영제 미참여 회사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파일:63_4906.png
파일:순환41_4923.png
간선버스지선버스

간선버스였던 720번을 시작으로 버스사업에 진출한 인천교통공사는 2021년 현재 송도국제도시 지선순환버스(순환41, 순환42, 순환43, 순환47)를 포함한 일부 시내버스 노선과, 청라국제도시GRT, BRT 투입노선(701, 702, 7700) 등 주로 특수한 노선들의 차량 운용을 전담하고 있다.

2018년 광역버스 폐선 신고로 인해 분쟁이 생겨 이 회사가 대부분의 광역노선을 운영할 뻔 했으나, 완전 공영화라는 말을 들은 버스 회사들이 급하게 폐선 신고를 철회했다.[9] 그러나 이를 계기로 인천교통공사에서 직접 광역버스를 운영하는 것을 검토 중에 있고, 이를 위한 용역연구에 들어갔다.


3.2.1. 운행 노선[편집]


비고: [인가대수 , 배차간격], ♿ : 저상버스 운행 노선

3.2.1.1. 간선버스[편집]



3.2.1.2. 지선버스[편집]



3.2.1.3. GRT[편집]



3.2.1.4. 간선급행버스[편집]



3.2.2. 과거 운행 노선[편집]




3.2.3. 면허 체계[편집]



3.3. 궤도운송사업(관광용 궤도)[편집]


구 인천교통공사(인천터미널 지방공사)는 원래 월미은하레일도 운영하려 했으나, 여러 차례 무산된 이후 월미바다열차로 개명한 뒤 개통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 노선의 운영권도 통합 인천교통공사가 갖게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월미바다열차 항목 참조.


3.4. 교통시설 관리[편집]


인천의 관문 중 하나인 인천종합터미널을 운영하며[12], 인천시 버스도착안내 시스템 관리도 인천교통공사 관할.

송도공영차고지청라공영차고지 역시 인천교통공사에서 관리한다.


4. 채용과 직장 생활[편집]



4.1. 채용[편집]


2019년까지는 당해년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인천광역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어야 지원이 가능했고, 공인어학점수를 요구하는 등 서류전형을 실시했으며, 집단-토론-PT의 3단계 면접을 실시했다. 2020년부터 요구기준이 대폭 낮아져 현재 주소지가 인천이 아니어도 과거 이력 합산 3년 이상 시에도 지원할 수 있게 되었고, 서류전형과 토론면접이 사라졌다. 현재의 채용방식은 거주지 제한을 제외하면 서울교통공사와 매우 유사하다.

채용은 채용공고→원서접수→필기시험→서류제출 및 인성검사→면접→최종합격자 결정 순으로 이뤄진다.



4.2. 직장 생활[편집]


근무형태는 통상일근, 교대근무, 교번근무로 나뉜다. 본사와 일부 현장직원은 통상일근을 하고, 기관사는 교번근무를, 그 외 대다수 직원은 교대근무를 한다. 교대근무는 3조 2교대 21일 순환근무로, 7일 연속 주간근무 후 야간-비번(휴일)이 7번 반복되는 형태이다. 다른 도시철도공사 중에는 대구도시철도공사가 같은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현재 일부 현장에서 4조 2교대를 시범실시하고 있으며 노동조합은 이같은 근무형태를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다.


5. 보유차량[편집]



5.1. 버스[편집]






5.1.1. 현재 보유차량[편집]



5.1.1.1. 자일대우버스[편집]


5.1.1.2. 현대자동차[편집]


5.1.1.3. KGM커머셜[편집]


5.1.1.4. 우진산전[편집]



5.1.2. 과거 보유차량[편집]



5.1.2.1. 현대자동차[편집]


5.1.2.2. 자일대우버스[편집]



5.2. 철도차량[편집]


버스와 도시철도를 모두 운영하기 때문에 해당 노선을 뛰는 철도차량 역시 이 회사 소유로 되어있다.


6. 로고송[편집]


▲ 인천교통공사 공식 로고송

세계를 향해 열린 우리의 인천

희망의 도시를 달려보세요(달려 보세요)

언제나 편안하고 든든한 친구

새로운 모습으로 함께 할게요(함께 할게요)

아름다운 분들을(분들을) 더욱 소중하게 모시겠어요(더욱 소중하게)

행복을 만나고(만나고) 사랑이 통하는 세상 인천교통공사


굵게 표시된 글자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2호선환승음악으로 쓰이는 부분이다. 2022년에 운영권이 이관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인천교통공사 관할 구간의 경우, 아직까지는 풍년 또는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을 사용한다.


7. 사건 사고[편집]





8. 안내방송[편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안내방송/역
,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 열차 진입음
,
,
,




9. 승무사업소 목록[편집]




10. 차량사업소 목록[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2:29:12에 나무위키 인천교통공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천메트로와 인천교통공사가 합병한 뒤 인천교통공사라는 사명으로 출범한 날은 2011년 11월 28일이다.[2]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 10주년의 날이다.[위탁] 부천시-서울교통공사 간 소송 종료 이후 운영사 변경 시까지 위탁 운영[3] 간석오거리역 인근에 있다. 국가중요시설 나급에 속한다.[4] 2022년 대구광역시대구도시철도공사에게 버스 사업을 위탁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어, 실현된다면 국내 두 번째 종합교통 공기업이 탄생한다.[5] 다만 최종적으로는 주황색으로 확정되었다.[6] 인천 3호선 계획은 무산되었다가 다시 검단-송도 노선으로 재추진중이다.[7] 삼산체육관~석남 구간[8] 까치울~상동 구간[9] 폐선 신고를 철회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들 기업은 진짜 광역버스를 접을 생각으로 폐선 신고를 한 게 아니라, 지원금을 요구하며 운행거부를 벌인 것이다.[10] 본래 4901~4903호는 720번의 한정면허 미갱신에 따라 말소되었다.[11] 해당 면허대의 차량 전체는 인천 버스 701, 702에서 운행중이다.[12] 터미널 소유권은 2012년 롯데인천개발(주)로 넘어갔지만(이후 롯데쇼핑으로 이관),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계속하고 있다. 2020년 롯데 측에 임대료 2배를 제시한 대원고속에게 운영권을 빼앗길 뻔 했으나, 공개입찰 결과 2023년까지 계약을 연장하면서 수성에 성공했다.[13] 별도의 자격요건이 없는 경쟁. 반대로 특정 자격증이나 경력을 요하는 경우는 '제한경쟁'이라 불리며, 철도차량 운전면허가 필요한 승무직렬이 대표적이다.[14] 채용전형 과정에서 관련 직원에게 금품을 제공하지 않겠다고 서약한다.[15] 흔히 인성면접이라 부르는 그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