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천 버스 1400

덤프버전 :

||
공항
광역
좌석
급행
간선
지선
마을
[ 펼치기 · 접기 ]

광역급행
서울역
강남역
9500[A]
9501[A]
9802[A]
기타
3000
(신촌역)
7700[B]
(화곡역)
[A] : 강남역을 중간 정류장으로 경유하는 노선
[B] : 별도의 등급과 운임 체계를 사용하는 간선급행버스 노선



파일:in1400-uvfcs.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14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1400_인천_0116기준.png
기점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인천종합터미널5번홈)종점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가 (서울역)
종점행첫차05:00기점행첫차06:00
막차23:10막차00:30
평일배차25~35분주말배차25~35분
운수사명마니교통인가대수15대[1]
노선인천터미널 - 길병원 - 간석오거리 - 부평삼거리역 - 현대아파트 - 부평역 - 부평시장역 - 한국지엠출고문 - 갈산역 - 부평IC - 경인고속도로 - 신월IC - 선유고등학교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 이대역 - 종근당.충정로역 - 서울역


2. 개요[편집]


마니교통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3.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인천종합터미널과 서울역을 잇는 시외버스로 삼화고속에서 신설됐다.[2]

  • 2005년 8월 4일에 일부 정류장이 변경됐다.

  • 2005년 8월 20일에 광역버스로 전환됐다.

  • 2006년 3월 1일부터 부평삼거리와 부원중학교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하게 됐다.

  • 2006년 4월 1일부터 충정로역에 추가로 정차하게 됐다.

  • 2010년 5월 1일에 '동교동삼거리 → 이대역' 구간과 '동교동삼거리 → 합정역' 구간은 중앙차로에 정차하도록 변경됐다.

  • 2014년 2월 4일에 7대가 감차됐다.



  • 2019년 4월 8일에 12대에서 14대로 증차됐고 운행횟수가 60회에서 63회로 증회됐다.

  • 2020년 3월 2일에 평일과 토요일 막차 시간이 30분 앞당겨졌다.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한 노선이다.


  • 인천종합터미널에서 서울역으로 향하는 노선은 1300번도 있다. 1300번은 터미널 밖에서 타는 차이가 있고, 소요시간은 1300번이 조금 더 빠르지만 배차간격은 1400번이 우위를 점한다.

  • 남동구나 부평구에서 신촌 일대로 통학하거나 출근하는 사람들과 서울에서 한국GM 본사와 부평공장에 출근하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한다. 하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도로 정체로 소요시간이 길어져 전철과 수요가 일부 분산된다.


  • 서교동 정류소는 인천터미널 방면 차량은 정차하지만 서울역방면으로는 정차하지 않는다.

  • 요즈음 수소충전 문제로 인해서 간격이 1시간 이상 벌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위치정보를 다시한번 확인해야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140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8년1,827명-
2019년2,218명△ 391
2020년1,756명▽ 462
2021년1,192명▽ 564
2022년1,479명△ 287
※ 하차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1400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서울역
02685
충정로역2호선
22064
종근당.충정로역
02107
이대역
13140
이대역
14064
신촌역2호선
13724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13022
현대백화점
13259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14062
동교동삼거리
13019
동교동삼거리
14061
홍대입구역
14016
홍대입구역
14225
서교동
14014
-
합정역
14012
합정역
14220
선유고등학교
19221
선유고등학교
19222
국회대로
미정차
국회대로
미정차
경인고속도로
미정차
경인고속도로
미정차
부평IC
미정차
부평IC
미정차
갈산동입구
40622
갈산역(1번출구)
40604
삭은다리한국지엠
40524
삭은다리한국지엠
40525
부평시장역
40361
부평시장역(부평대로우체국)
40368
부평역
40228
부평역
40234
부원중학교
40181
부원중학교
40789
현대아파트
40112
현대아파트
40788
부평삼거리
39489
부평삼거리역
40066
인천교통공사
40032
간석오거리
39460
올리브백화점
39364
올리브백화점
39589
길병원
39250
길병원
39500
인천터미널
37215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공영제, 준공영제 미참여 버스노선
[ 펼치기 · 접기 ]

공항
6770[통]
6777[통]
6777-1[통]
광역
간선
마을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자동차전용도로 경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0:05:01에 나무위키 인천 버스 14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는 9대 운행.[2] 1997년 11월 20일 인천터미널 이전으로 기존, 용현동-서울역 인가에서 분리했다.[3] 현대아파트 하차 후 도보[A] A B 삭은다리한국지엠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