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노첸시오 2세

덤프버전 :


 
  [초대-제60대]  
  [제61-120대]  
  [제121-180대]  

제121대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란도요한 10세레오 6세스테파노 7세요한 11세
제126대제127대제128대제129대제130대
레오 7세스테파노 8세마리노 2세아가피토 2세요한 12세
제131대제132대제133대제134대제135대
베네딕토 5세레오 8세요한 13세베네딕토 6세베네딕토 7세
제136대제137대제138대제139대제140대
요한 14세요한 15세그레고리오 5세실베스테르 2세요한 17세
제141대제142대제143대제144대제145대
요한 18세세르지오 4세베네딕토 8세요한 19세베네딕토 9세
제146대제147대제148대제149대제150대
실베스테르 3세베네딕토 9세그레고리오 6세클레멘스 2세베네딕토 9세
제151대제152대제153대제154대제155대
다마소 2세레오 9세빅토르 2세스테파노 9세니콜라오 2세
제156대제157대제158대제159대제160대
알렉산데르 2세그레고리오 7세빅토르 3세우르바노 2세파스칼 2세
제161대제162대제163대제164대제165대
젤라시오 2세갈리스토 2세호노리오 2세인노첸시오 2세첼레스티노 2세
제166대제167대제168대제169대제170대
루치오 2세에우제니오 3세아나스타시오 4세하드리아노 4세알렉산데르 3세
제171대제172대제173대제174대제175대
루치오 3세우르바노 3세그레고리오 8세클레멘스 3세첼레스티노 3세
제176대제177대제178대제179대제180대
인노첸시오 3세호노리오 3세그레고리오 9세첼레스티노 4세인노첸시오 4세

  [제181-240대]  

제181대제182대제183대제184대제185대
알렉산데르 4세우르바노 4세클레멘스 4세그레고리오 10세인노첸시오 5세
제186대제187대제188대제189대제190대
하드리아노 5세요한 21세니콜라오 3세마르티노 4세호노리오 4세
제191대제192대제193대제194대제195대
니콜라오 4세첼레스티노 5세보니파시오 8세베네딕토 11세클레멘스 5세
제196대제197대제198대제199대제200대
요한 22세베네딕토 12세클레멘스 6세인노첸시오 6세우르바노 5세
제201대제202대제203대제204대제205대
그레고리오 11세우르바노 6세보니파시오 9세인노첸시오 7세그레고리오 12세
제206대제207대제208대제209대제210대
마르티노 5세에우제니오 4세니콜라오 5세갈리스토 3세비오 2세
제211대제212대제213대제214대제215대
바오로 2세식스토 4세인노첸시오 8세알렉산데르 6세비오 3세
제216대제217대제218대제219대제220대
율리오 2세레오 10세하드리아노 6세클레멘스 7세바오로 3세
제221대제222대제223대제224대제225대
율리오 3세마르첼로 2세바오로 4세비오 4세비오 5세
제226대제227대제228대제229대제230대
그레고리오 13세식스토 5세우르바노 7세그레고리오 14세인노첸시오 9세
제231대제232대제233대제234대제235대
클레멘스 8세레오 11세바오로 5세그레고리오 15세우르바노 8세
제236대제237대제238대제239대제240대
인노첸시오 10세알렉산데르 7세클레멘스 9세클레멘스 10세인노첸시오 11세




파일:교황 문장.svg 가톨릭 교회의 교황
파일:164_innocenzo_II.png
제163대 호노리오 2세제164대 인노첸시오 2세제165대 첼레스티노 2세



제164대 교황.

전임 교황 호노리오 2세가 사망할 무렵, 바티칸에서 떠오르던 차기 교황 후보자는 결단력 있는 개혁가 성향의 피에르토 피에르레오니 추기경이었다. 그는 피에르 아발라르와 같이 수학하였고, 클뤼니 대수도원수도자로서 학문적 명성이 높았다. 하지만 그는 결국 선출되지 못하고 당시 산 안젤로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이었던 그레고리오 파파레스키가 인노첸시오 2세로 등극한다.

그 이유는 당대 로마의 정치 상황에 있었다. 당시의 로마는 피에르레오니와 프랑지파니라는 두 가문의 대립이 지속되는 상태였고, 이들은 교황 선출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전임 교황이었던 호노리오 2세는 프랑지파니 파벌에 속해 있었는데, 피에르토 추기경은 피에르레오니 가문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피에르토 추기경은 인노첸시오 2세에 불복하여 대립교황 아나클레토 2세로 등극한다. 초반에는 로마 시민들을 대상으로 막대한 돈을 뿌린 피에르레오니 파벌이 유리했고, 결국 아나클레토 2세가 로마를 손에 넣고 인노첸시오는 로마를 떠나야 했다.

하지만 로마 외의 지역에서는 인노첸시오 2세의 인기가 더 많았다. 그는 가는 곳마다 환영을 받았고, 당시 교회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했던 크렐르보의 성 베르나르도가 인노첸시오 2세를 지지했다. 그는 아나클레토 2세의 출신이었던 클뤼니 수도원이 초기의 개혁적 성향을 버리고 타락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나클레토 2세를 몰아낼 결정적인 한 방이 부족한 상태였는데, 이를 타개하기 위해 양 측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로타르 3세를 끌어들이고자 했다. 당시의 로타르 3세는 호엔슈타우펜 가문과 권력 투쟁을 벌이고 있었고, 아직 로마에서 황제의 대관식을 치르지 못한 상태였다. 아나클레토 2세는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수장 콘라드를 파문하겠다는 제안을 했지만 로타르 3세는 시큰둥했다.

결국 아나클레토 2세는 제국 황제가 아닌 로마 아래의 시칠리아 백작 루제루 2세에게 손을 내밀었다. 그는 루제루 2세를 시칠리아 왕국의 왕으로 임명해 힘을 실어주었다. 이를 보고 로타르 3세는 인노첸시오 2세를 지지했다.[1] 로타르 3세는 1132년 로마로 진군하였으나 로마 전역을 점령하지는 못했다. 그리고 로타르 3세는 1133년 6월에 대관식을 하고 본국으로 가버려 결국 인노첸시오 2세는 다시 도망쳐야 했다.

대치 국면은 1135년에 전환을 맞는다. 동로마 제국이 점유했던 이탈리아 남부를 점령하고 약탈하던 시칠리아 왕국의 루제루 2세를 몰아내기 위해 동로마 황제 요안니스 2세가 로타르 3세에게 돈을 지원할 테니 루제루 2세를 몰아내 달라는 요청을 보낸 것이었다. 내부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당시의 로타르 3세는 1136년에 대군을 이끌고 로마로 향했다. 하지만 루제루 2세는 로타르 3세가 고령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지연전을 펼쳐 생각보다 잘 버텨냈다. 결국 로타르 3세는 티롤 지방에서 사망한다. 하지만 문제는 몇 달 뒤에 아나클레토 2세 역시 사망했다는 것이다. 명분을 잃어버린 루제루 2세는 인노첸시오 2세를 공식적을 인정함으로써 대립을 끝내고자 했다. 하지만 인노첸시오 2세는 좋은 조건을 무시하고 시칠리아 왕국을 공격한다. 하지만 여기서 져서 인노첸시오 2세는 루제루 2세의 시칠리아 왕국 왕위를 공인해야 했다.

결국 대립교황을 몰아냈지만 상처만 남은 인노첸시오 2세의 남은 치세는 그다지 행복하지 못했다. 로마 사람들은 인노첸시오 2세를 항상 아나클레토 2세에 비해 낮게 평가했고, 그 동안의 대립은 북이탈리아의 여러 도시들이 본격적으로 자치를 추구할 여유를 주었다. 심지어 막판에는 로마에서 원로원이 부활하기까지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1:22:07에 나무위키 인노첸시오 2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로타르 3세는 과거 보름스 협약에서 축소된 황제의 주교 서임권을 되찾고자 하는 딜을 걸었지만, 베르나르도를 중심으로 결집한 교회의 압력으로 결국 대관식을 받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