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태복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보건복지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사회부장관 (1948~1955)
초대
전진한
제2대
이윤영
제3대
허정
제4대
최창순
제5대
박술음

보건부장관 (1948~1955)
초대
구영숙
제2대
오한영
제3대
최재유


보건복지가족부장관 (2008~2010)
제46대
김성이
제47대
전재희

보건복지부장관 (2010~현재)
제47대
전재희
제48대
진수희
제49대
임채민
제50대
진영
제51대
문형표
제52대
정진엽
제53대
박능후
제54대
권덕철
제55대
조규홍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재정경제부장관 →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이규성강봉균이헌재진념전윤철
교육인적자원부장관 →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해찬김덕중문용린송자이돈희한완상이상주
통일부장관강인덕임동원박재규임동원홍순영정세현
외교통상부장관박정수홍순영이정빈한승수최성홍
법무부장관박상천김태정김정길안동수최경원송정호김정길심상명
국방부장관천용택조성태김동신이준
행정자치부장관김정길김기재최인기이근식
과학기술부장관강창희서정욱김영환채영복
문화관광부장관신낙균박지원김한길남궁진김성재
농림부장관김성훈한갑수김동태
산업자원부장관박태영정덕구김영호신국환장재식신국환
정보통신부장관배순훈남궁석안병엽양승택이상철
보건복지부장관주양자김모임차흥봉최선정김원길이태복김성호
환경부장관최재욱손숙김명자
노동부장관이기호이상룡최선정김호진유용태방용석
여성부장관한명숙
건설교통부장관이정무이건춘김윤기오장섭김용채안정남임인택
해양수산부장관김선길정상천이항규노무현정우택유삼남김호식
기획예산처장관진념전윤철장승우






||
[ 펼치기 · 접기 ]

사회복지수석비서관 (1995~1999)
초대
박세일
초대
조규향
복지노동수석비서관 (1999~2003)
초대
김유배
제2대
최규학
제3대
이태복
제4대
김상남
사회정책수석비서관 (2004~2010)
초대
이원덕
제2대
김용익
초대
박미석
제2대
강윤구
제3대
진영곤
고용복지수석비서관 (2010~2017)
초대
진영곤
제2대
노연홍
초대
최성재
제2대
최원영
제3대
김현숙
사회수석비서관 (2017~현재)
초대
김수현
제2대
김연명
제3대
윤창렬
제4대
이태한
초대
안상훈
제2대
장상윤




대한민국 제40대 보건복지부 장관
이태복
李泰馥 | Lee Tae-bok
파일:PS21120400086.jpg
출생1950년 12월 11일[1]
충청남도 보령군 천북면 신죽리
사망2021년 12월 3일 (향년 70세)
서울특별시
묘소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
본관한산 이씨[2]
재임기간제3대 복지노동수석 비서관
2001년 3월 26일 ~ 2002년 1월 28일
제40대 보건복지부 장관
2002년 1월 29일 ~ 2002년 7월 11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심복자
학력보령천북국민학교 (졸업)
예산중학교 (졸업)
성동고등학교 (졸업)
국민대학교 (법학 / 학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노동복지학 / 석사[1])
종교천주교 (세례명 : 다니엘)
약력도서출판 광민사 설립
주간노동자신문 창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상임집행위원
사회복지단체 인간의 대지 설립
대통령비서실 복지노동수석비서관
제40대 보건복지부 장관
연세대, 한서대 사회복지학과 초빙 교수
인간의 대지 이사장
5대거품빼기 범국민운동본부 상임대표
점핑코리아연구소 이사장
국민석유회사설립준비위원회 상임대표
국민석유주식회사 대표이사 및 이사회 의장
매헌윤봉길의사 월진회 회장
5월항쟁 윤상원기념사업회 이사장

1. 개요
2. 생애
2.1. 노동 및 민주화 운동
2.2. 정치 경력
2.3. 말년 및 사망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이다. 종교는 가톨릭이며, 세례명은 다니엘이다.


2. 생애[편집]


1950년 충청남도 보령군 천북면에서 태어났다. 천북국민학교(現 천북초등학교), 예산중학교, 서울성동고등학교, 국민대학교 법학과,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 명예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대학생 때인 1971년 위수령으로 강제징집을 당하기도 했다.


2.1. 노동 및 민주화 운동[편집]


1976년 도서출판 광민사를 설립하여 노동서적을 발행하였으며, 용산 청과물시장에서 지게꾼을 하며 노동운동을 연구하며 노동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비공개 노동운동 조직인 전국민주노동자연맹을 결성하던 도중 1981년 학림 사건으로 기소되어 당시 고문 기술자였던 이근안에게 모진 고문을 당하였으며,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7년 4개월을 복역하다 1988년 가석방 되었고 1988년 12월에 사면복권되었다. 복역 당시였던 1986년,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에 의해 '세계의 양심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석방 뒤 1989년 주간 노동자신문과 노동일보를 창간하여 노동운동을 이어서 했고, 사회복지단체인 인간의 대지 대표를 맡았다.


2.2. 정치 경력[편집]


김대중 정부가 출범하자 2001년 3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복지노동수석비서관직에 임명되었다. 이 당시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후 2002년 1월부터 같은 해 7월까지 보건복지부장관을 지냈다. 장관직 재임 당시 의약 분업 사태를 수습하였으며, 약값 인하 조치를 실행하려고 하였으나, 국내외 제약사의 압력에 밀려 구체화시키지 못했다고 밝혔다. 2003년 정부로부터 청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장관직 퇴임 이후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구로구 을에 공천받았으나 지도부 내홍 등으로 인해 공천을 반납했다.


2.3. 말년 및 사망[편집]


이후 5대 거품빼기 운동본부 상임 고문, 국민석유주식회사 대표이사 및 이사회 의장, 매헌윤봉길월진회 회장, 5·18 윤상원 기념사업회 이사장[3] 등을 역임하였으며, 2012년 학림 사건에 대해 31년 만에 대법원으로부터 무죄 판결을 받았다. 2013년에는 5·18민주유공자로 결정되었다.

2021년 4월 정세균 국무총리가 사의를 표명하자 후임 국무총리 후보자로 거론되기도 했지만, 같은 해 12월 3일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하였다. 사망 이틀 전까지 수원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윤상원 열사 기념행사에 참석할 정도로 정정했고, 집안 어른인 '삼산 이태중[4]'의 업적을 기리는 사업에도 참여할만큼 열정적으로 일한 터라 갑작스런 사망에 안타까움을 표한 사람들이 많았다.

민주사회장로 치러졌으며, 묘소는 국립 5.18민주묘지 제2묘역에 안치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7:28:01에 나무위키 이태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음력 11월 3일[2] 한산 이씨 22세손 '馥'자 항렬.[3] '윤상원' 열사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대변인으로 전라남도청을 사수하다 계엄군의 총탄에 숨진 인물로 이태복이 '전국민주노동자연맹'을 결성, 활동할 당시 중앙위원을 지내면서 인연이 있었다고 한다.[4] 조선 영조 때 청백리로 이름 높았던 사람으로 영조의 탕평책에 심하게 반대하다가 수십년 동안 귀양살이를 할 정도로 강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