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재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대
조성진
2대
조성진
3대
유길상
4대
임천순
5대
배민홍
6대
신관섭
7대
김재일
8대
이언직
9대
명동근
10대
명동근
11대
이재전
12대
이재전
13대
정도영
14대
장석규
15대
최창현
16대
박경상
17대
문헌상
18대
정재룡
19대
연원영
20대
김우석
21대
이철휘
22대
장영철
23대
홍영만
24대
문창용
25대
문성유
직무대행
신흥식
26대
권남주



역임한 보직
[ 펼치기 · 접기 ]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이한림 || 2대
백인엽 || 3대
강영훈 || 4대
김웅수 || 5대
최홍희 ||
|| 6대
김계원 || 7대
정래혁 || 8대
한신 || 9대
김희덕 || 10대
이세호 ||
|| 11대
박원근 || 12대
이소동 || 13대
김용휴 || 14대
이재전 || 15대
신현수 ||
|| 16대
강영식 || 17대
김홍한 || 18대
안필준 || 19대
박명철 || 20대
나병선 ||
|| 21대
임인조 || 22대
김재창 || 23대
최경근 || 24대
이재관 || 25대
서경석 ||
|| 26대
김판규 || 27대
서종표 || 28대
김충배 || 29대
류우식 || 30대
송기석 ||
|| 31대
정두근 || 32대
이홍기 || 33대
서길원 || 34대
김학주 || 35대
이범수 ||
|| 36대
박종진 || 37대
김성진 || 38대
김성일 || 39대
박양동 || 40대
강건작 ||
||<-5><bgcolor=#004ea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제11대 한국성업공사 사장
이재전
李在田 | Lee Jaejeon
파일:이재전 장군.jpg
출생1927년 4월 29일
충청남도 천안군
사망2004년 6월 12일 (78세)
학력강경상업고등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영어영문학 / 학사)
경력한국성업공사 사장
한자교육진흥회 회장
군사 경력
복무대한민국 육군
1949년 ~ 1979년
임관육군사관학교 (8기)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대통령경호실 차장
주요 보직합동참모본부
제6군단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국장
한미제1군단 부군단장
제7보병사단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육군본부 작전처장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군인이다. 종교가톨릭으로 세례명은 이냐시오이다. 아호는 강촌(江村)이다. 본관은 수안.


2. 생애[편집]


1927년 충청남도 천안군에서 태어났다. 강경상업고등학교, 육군사관학교 8기를 졸업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장성급 장교 진급 이후 육군본부 작전처장,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1], 제7보병사단 사단장, 한미연합야전군제1군단 부군단장[2],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국장[3]을 지내다가 1975년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였다. 이후 제6군단 군단장. 합동참모본부장을 지내다가 1978년 대통령경호실 차장을 지냈다.

1979년 10.26 사태가 일어나자 전두환의 신군부로부터 박정희 대통령을 제대로 경호하지 못하였다는 직무유기를 이유로 구속되어 조사를 받았다가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의 만류로 겨우 풀려나서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

이후 1983년부터 1989년까지 대한성업공사(현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을 지냈다.

1991년부터 2001년까지 한자교육진흥회 회장을 지냈다.

3. 기타[편집]


훗날 김대중 정부에서 대북 포용정책을 진두지휘한 임동원이 처음 김대중에게 영입제안을 받았을 때, 군부 출신 인사들 중에서 유일하게 김대중쪽에 가서 일하는 것을 지지해 주었다. 그에게 임동원은 합참에서 근무할 당시 가장 아끼던 후배였다.

2002년부터 1년 동안 대한민국 초창기 군 관련 주요 인사들을 회고하는 글을 국방일보에 구술하여, 이 무렵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실들을 증언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그가 합참 본부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한미연합군사령부의 미군 사령관이 대장으로 보임되게 된 계기를 만들었다는 비사가 알려지게 되었다. 한국군 장성이 맡는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자리를 한국군 대장이 맡게 함으로서 자연스럽게 미군인 한미연합군사령관 역시 대장으로 보임하게 한 것. 이를 통해 주한미군의 위상을 강제로 높여주어서 미국이 함부로 주한미군의 병력이나 편제를 축소하지 못하도록 묶어두는 정치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미연합군사령관 문서에는 대장 보임의 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드라마 제4공화국에서는 배우 김호영, 제5공화국에서는 배우 송귀현이 이재전 역을 맡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1:41:59에 나무위키 이재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생도대장 보직 1달만에 야전으로 차출됐는데, 이는 현직 중령이 목이 따이는 사건이 발생하여 21사단장이 보직해임되고 그 자리를 1군 작전처장이 채우면서 공석이 생겨서였다. #[2] 당시 김동진 중령을 보좌관으로 두었으며 매우 총애하는 부하였다고 한다. #[3] 당시 임동원 대령이 휘하 군사력소요과장으로 있었는데 역시 매우 총애하는 부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