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덤프버전 :


지구 온난화 · 기후 위기
[ 펼치기 · 접기 ]

발생 원인온실가스 (이산화 탄소 · 메탄 · 아산화 질소) · 프레온가스 · 냉매 · 계획적 구식화 (일회용품)
예상 문제해수면 상승 · 해양 산성화 · 인류멸망 (에코 아포칼립스 · 페름기 대멸종홀로세 대멸종 · 팔레오세-에오세 극열기) · 환경 문제 · 기후불안증
해결 수단기술발전기후공학 (탄소 포집) · 대체에너지 (에너지 저장 체계 · 수소경제 · e-Fuel · 핵융합 발전) · 히트펌프 · 대체육 · 환경공학
자본투자탄소금융 · 그린뉴딜 (한국판 뉴딜) · ESG · RE100 ·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
국제목표국가결정기여온실가스감축목표(NDC) ·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 · 지속가능발전목표(SDG)
규제제도탄소 중립 (탄소중립기본법) · 유럽 배출가스 기준 · 재활용 · 분리수거
실천주의환경 운동 · 지구의 날 · 세계 환경의 날 · 플로깅
공식 기구전체 국가유엔환경계획(UNEP) (몬트리올 의정서) ·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UNFCCC COP) (교토 의정서 · 파리협정) · 기후변화정부협의체(IPCC) (공통사회경제경로(SSP)) · 녹색기후기금(GCF) ·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일부 국가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에너지기구(IEA) · 환경지표) ·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 녹색성장 및 2030 글로벌 목표를 위한 연대(P4G) · 도시기후리더십그룹(C40)
국내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 국가녹색기술연구소(NIGT) · 한국국제협력단(KOICA)
시민 단체국제녹색당 (글로벌 그린스) · 세계자연기금 · 그린피스 · 씨 셰퍼드 · DxE · PETA · 지구의 벗
국내한국 녹색당 · 환경운동연합 · 녹색연합 · 에너지전환포럼
관련 이념생태주의 (녹색 정치 · 에코파시즘 · 에코페미니즘) · 채식주의 · 동물권 · 금욕주의 (맬서스 트랩) · 비동일성 문제 · 공유지의 비극
기타환경운동가 · 친환경 · 생태학 · 지구과학 · 그린워싱 · 지구 온난화 허구설



유엔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
國際聯合 氣候變化 協約 當事國 總會
United Natio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Conference of Parties (COP)
파일:external/unfccc.int/2011_logo.png
설립일1992년 6월 14일[1]
웹사이트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관련 기관
4. 여담


1. 개요[편집]


국제연합 (UN, United Nations) 기후변화협약 (FCCC,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의...

당사국 총회 (COP, Conference of Parties)
교토 의정서 총회 (CMP,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Kyoto Protocol)
파리 협정 총회 (CMA,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Paris Agreement)

국제연합이 공식적으로 매년 개최하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논의하는 협약의, 소속된 국가들의 모임이란 뜻이다.[2]


2. 역사[편집]



2.1. 리우 회의 체제[편집]


개최연도명칭개최 장소비고
1995COP 1독일 베를린
1996COP 2스위스 제네바
1997COP 3일본 교토교토의정서
1998COP 4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1999COP 5독일
2000COP 6 Part 1네덜란드 헤이그
2001COP 6 Part 2독일
2001COP 7모로코 마라케시
2002COP 8인도 뉴델리
2003COP 9이탈리아 밀란
2004COP 10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 1992년, 유엔환경계획(UNEP) 주도의 '리우 회의'에서 '유엔 기후변화협약'이 생겨났다.
  • COP1 (1995) - 첫 '당사국 총회'가 열렸다.
  • COP3 (1997) - 교토의정서. 실제 발효는 2005년에 되었다.


2.2. 교토 의정서 체제[편집]


개최연도명칭개최 장소비고
2005COP 11/CMP 1캐나다 몬트리올
2006COP 12/CMP 2케냐 나이로비
2007COP 13/CMP 3인도네시아 발리
2008COP 14/CMP 4폴란드 포즈난
2009COP 15/CMP 5덴마크 코펜하겐[3]
2010COP 16/CMP 6멕시코 칸쿤
2011COP 17/CMP 7남아공 더반
2012COP 18/CMP 8카타르 도하
2013COP 19/CMP 9폴란드 바르샤바
2014COP 20/CMP 10페루 리마
2015COP 21/CMP 11프랑스 파리파리협정

  • COP13 (2007) - 발리 행동계획. Post-2012 협상 시작.
  • COP15 (2009) - Post-2012 협상 결렬.
    • 대한민국의 세계청소년어린이환경대회 유치.
    • 미국의 첫 참여. 중국-인도 등 신흥국-개도국 모두 2010년 1월까지 감축계획 보고서 제출하기로.
    • 페터스베르크 회담: Post-2012 협상 결렬의 충격에, 앞으론 COP 개최 이전에 주요국 장관급들이 사전 조율 회담을 먼저 열기로 한다. 2010년부터 매년 독일 본 근교 라인강변의 페터스베르크산에서 회담이 열려서 회담 이름을 산 이름으로 정했다.[4] Petersberg Climate Dialogue (영문위키)
  • COP16 (2010) - 칸쿤 합의. 개도국에 자본(GCF)과 기술(CTCN)을 이전할 기관들을 만들기로 한다. 둘 다 대한민국이 유치한다.
  • COP17 (2011) - 더반 플랫폼, 교토 의정서 공약기간 연장, Post-2020 협상 개시
  • COP21 (2015, 포스터) - 파리협정. 이를 Post-2020, 新기후체제 등으로도 부른다.


2.3. 파리 협정 체제[편집]


개최연도명칭개최 장소비고
2016COP 22/CMP 12/CMA 1모로코 마라케시
2017COP 23/CMP 13/CMA 1-2독일
2018COP 24/CMP 14/CMA 1-3폴란드 카토비체
2019COP 25/CMP 15/CMA 2스페인 마드리드
2021[5]COP 26/CMP 16/CMA 3영국 글래스고[6]
2022COP 27/CMP 17/CMA 4이집트 샤름엘셰이크[7]
2023COP 28/CMP 18/CMA 5UAE 두바이[8]
2024COP 29/CMP 19/CMA 6(동유럽)[9]
2025COP 30/CMP 20/CMA 7(아메리카)[10]
2026COP 31/CMP 21/CMA 8(서유럽)[11]
2027COP 32/CMP 22/CMA 9(아프리카)
2028COP 33/CMP 23/CMA 10(아시아태평양)[12]
2029COP 34/CMP 24/CMA 11(동유럽)[13]

  • COP22 (2016)
    • 파리협정 첫 회의로서 이행규범 수립 등 실무협의. (포스터)

  • COP26 (2021) #
    • 2022년까지 모든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의무 제출
    • 2025년까지 선진국이 개도국에 지원 2배로 (5,000억 달러 규모)
    •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 이상 감축. 108개국 선언
    • 2030년부터 산림-토지 이용 및 황폐화 금지. 개도국은 2040년 이후 금지. 137개국 선언
    • 2040년까지 무공해 자동차로 100% 전환. 22개국 선언
    • 2040년까지 석탄 사용 단계적 감축[14]
    • 지구 온도 1.5℃ 상승으로 제한

  • COP27 (2022) #
    • 7월 19일, COP의 준비격인 페터스베르크 기후회담(영문위키)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기후위기에 함께 대응하거나, 다 같이 집단자살하거나"라고 발언하여 화제가 되었다. 이 회담에서 G7 국가들이 개도국 연 1천억달러 지원 합의를 밝혔다. #
    • 11월 7일, 개최사에서도 유엔 사무총장의 "지옥행 고속도로에서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것과 같다. 연대협정 또는 집단파멸 뿐"이라고 강한 어조의 발언이 또 화제가 되었다. 이와 반대로 10대 온실가스 배출국 중 9개국 정상이 불참했다. 대한민국도 윤석열 대통령이 불참하고 나경원이 특사로 참여했다. #
    • 11월 8일, 선진국들이 12조원이 넘는 개도국 '지원'을 약속했다. 개도국들은 (1) 선진국들이 '피해보상'이란 표현은 반대한 점 (2) 환경투자 명목으로 러시아를 대체할 가스생산국들에만 집중투자해 구애경쟁하는 점 (3) 전쟁엔 수백조를 쓰면서 환경엔 10조 남짓을 쓰는 점 등을 비난했다. #
    • 11월 20일, "손실 및 피해 금융자금"을 만들기로 최종 합의했다. 하지만 그 자금의 규모도 미정이고, 화석연료 단계별 중단 시기, 저배출 기술 허용여부에 대한 논의, 1.5도 저지선에 대한 의지 등 대부분의 사안을 차년도 회의로 미뤘다. #

  • COP28 (2023)
    • 1월 12일, 기후변화협약 의장에 개최국 UAE의 국영석유회사 사장이 임명되어 논란이 생겼다. #
    • 1월 16일,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이 지속가능성 주간 개막식 기조연설을 했다. #
    • 3월 24일,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기술메커니즘(CTCN) 이사회를 주최하기로 했다. #
    • 7월 페터스베르크 기후회담 예정.
    • 11월 30일 ~ 12월 12일, 두바이에서 개최예정.


3. 관련 기관[편집]




4. 여담[편집]


  • 2023년 COP28에서는 피카츄로 분장한 활동가들이 '손실과 피해' 기금 설립을 위해 시위를 해서 화제가 됐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2:12:33에 나무위키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첫 개최일은 3년 뒤인 1995년[2] 2021년 11월 총회 기준, 국제연합 가입 국가는 193개국인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는 미승인국 중 일부의 참석으로 197개국으로 더 많다.[3] 대한민국에서 유엔환경계획의 '툰자 회의'를 유치했으며, 해당 회의 내용을 당사국총회 회의에도 반영했다.[4] 여담으로 해당 산에서 독일제2차 세계대전 후 굴종적 조약을 맺기도 했다. 콘라트 아데나워 문서 참고.[5] 원래 2020년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범유행전염병화로 인해 1년 연기됨.[6] 서유럽의 차례인데, 영국과 이탈리아가 경쟁하였고, 본행사는 영국이, 사전행사들은 이탈리아가 가지는 것으로 합의하였다. #[7] 아프리카의 차례인데, 콩고민주공화국이 단독 신청해 수도 킨샤샤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후 이집트로 변경되었다. #1 #2[8] 아시아태평양의 차례인데, 한국이 2021년 10월 18일 UAE에 유치권을 양보하였다.[9] 체코와 불가리아가 신청[10] 브라질이 아마존에서 개최하자고 주장.[11] 스위스와 호주가 신청. 호주는 분명 차례가 아닌데 태평양도서국들과 공동개최하겠다고 주장. #[12] 대한민국 전남 여수, 부산, 고양 등이 추진중.[13] 아메리카, 서유럽,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동유럽 등 5개 대륙이 5년 주기로 순회해서 개최하는 것이 원칙.[14] 애초에는 2040년까지 석탄 발전 단계적 퇴출이 목표였으나 인도, 중국 등 다양한 나라들의 반발이 빗발쳐서 감축으로 문구를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