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성곤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제주 서귀포시)
제18-19
김재윤[1]
제20-21대
위성곤
현직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8CCD><width=25%> 서울 ||<width=25%> 부산 ||<width=25%> 대구 ||<width=25%> 인천 ||
||<bgcolor=#ffffa0,#2d2f34> 김영호 || 서은숙 || 강민구 ||<bgcolor=#ffffa0,#2d2f34> 김교흥 ||
||<rowbgcolor=#008CCD>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bgcolor=#ffffa0,#2d2f34> 이병훈 ||<bgcolor=#ffffa0,#2d2f34> 황운하 || 이선호 ||<bgcolor=#ffffa0,#2d2f34> 홍성국 ||
||<rowbgcolor=#008CCD>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bgcolor=#ffffa0,#2d2f34> 임종성 || 김우영 ||<bgcolor=#ffffa0,#2d2f34> 임호선 || 복기왕 ||
||<rowbgcolor=#008CCD>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bgcolor=#ffffa0,#2d2f34> 한병도 ||<bgcolor=#ffffa0,#2d2f34> 신정훈 || 임미애 ||<bgcolor=#ffffa0,#2d2f34> 김두관 ||
||<-4><rowbgcolor=#008CCD> 제주 ||
||<-4><bgcolor=#ffffa0,#2d2f34> 위성곤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svg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8CCD> 도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위성곤 ||
||<rowbgcolor=#008CCD><width=33%> 제주 갑 ||<width=33%> 제주 을 ||<width=33%> 서귀포 ||
||<rowbgcolor=#ffffa0,#2d2f34> 송재호 || 김한규 || 위성곤 ||
||<-4> ||




대한민국 제20·21대 국회의원
위성곤
魏聖坤 | Wi Seonggon
파일:위성곤i.jpg
출생1968년 1월 20일[2] (56세)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단산리[3]
거주지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홍동
본관장흥 위씨
현직제21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제주특별자치도당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서귀포시 지역위원장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오염수방출저지대응단 단장
서명
파일:위성곤 서명.svg
SN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종교천주교 (세례명: 토마스 아퀴나스)
학력서귀포국민학교 (졸업)
서귀포중학교 (졸업)
서귀포고등학교 (졸업 / 16회)[1]
제주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 / 학사)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치외교학 / 석사과정 수료)
병역전시근로역(질병, 슬관절연골판수술)
가족배우자 오수은, 슬하 1남 1녀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제주 서귀포시
의원 선수2
의원 대수20, 21
소속 위원회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경력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
제8-10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민선 4·5·6기 / 열린우리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
제8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위원
제8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지방재정연구회 간사
제8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세계환경수도조성 실무위원회 위원
제9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전반기 행정자치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농어민위원회 부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노무현재단 제주위원회 공동대표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제20대 국회의원 (제주 서귀포시 / 더불어민주당)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총괄부본부장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지방분권)
더불어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제주특별자치도당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회 위원장
제21대 국회의원 (제주 서귀포시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대선경선기획단 위원
더불어민주당 제5정책조정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원내정책수석부대표

[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제주 을에서 당선된 오영훈 의원과 동창이다.#
1. 개요
2. 생애
3. 여담
3.1. 공통점
3.2. 차이점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위성곤표지.jpg
대한민국도의원 출신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68년 1월 20일,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단산리에서 위종석의 아들로 태어났다.# 8살 때 온 가족이 외가가 위치한 제주도 서귀포로 이주하였다. 서귀포초등학교, 서귀포중학교, 서귀포고등학교, 제주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동 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제주대학교 원예학과 재학 중 총학생회장을 역임하였다.


2.1. 정치 활동[편집]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제주도의회 제22선거구(동홍동)에 출마하여 당선, 정계에 입문하였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출마하여 66%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내리 재선, 3선에 성공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2. 제20대 국회[편집]


2015년 말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도의원직을 사임하였다. 그리고 2016년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상대 새누리당 후보인 강지용 후보가 제주대학교 농과대학 교수를 역임하였기 때문에 사제간 대결로도 관심을 모았다. 선거 결과 위성곤 후보가 5천여표 차이로 승리하여 국회에 입성하였다.

20대 국회 전반기에는 농림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배정되었다. 머니투데이의 2016년 국정감사 평가에서 농해수위에서 가장 우수한 의정활동을 보인 의원으로 꼽혔다.#

2018년 4월 26일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하였으며, 이 법안은 12월 27일 수정가결되었다. 그 외 초선 임기 중 대표발의해 가결시킨 법안은 다음과 같다.
  • 방송법 개정안: 홈쇼핑 방송에 시청자위원회 설치
  •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정 및 해양환경관리법 일부개정
  • 해양수산생명자원의 확보·관리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 원래 "해양자원"에 관한 법이었던 걸 "수산자원"까지 확장
  • 농업소득의 보전에 관한 법률 제14조 1항: 농업소득직불금을 부정 수령했을 때 착오 또는 경미한 과실에 의해 수령한 경우는 지급 금액 2배 추가 징수를 면제
  •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일부개정: 제주도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차량 운행 제한 권한을 국토교통부 장관에게서 제주도 지사에게로 이양[4]
  • 장애인기업활동 촉진법 제9조의2: 공공기관의 장애인기업 생산 제품 구매를 일정 비율 의무화
  • 지역신용보증재단법 제37조의2: 지역 신용보증재단이 세무관서 및 지자체에 최소한의 과세정보를 요청할 근거 마련


2.3. 제21대 국회[편집]


21대 총선에서도 서귀포시 선거구 재선에 도전, 큰 이변없이 미래통합당 강경필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2021년 4월 21일 2022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제주도지사 3선 불출마를 공식화한 가운데 차기 제주도지사 후보군 중 한 명으로 거론되고 있었지만, 출마는 하지 않았다.[5]


3. 여담[편집]





3.1. 공통점[편집]


  • 둘 다 1월 생이다.[6]
  • 지방의회(제주도의회) 의원 출신
  • 둘 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가장 인기없던 여당 소속으로 출마해 초선 도의원으로 당선
  • 출생지와 자기 지역구불일치[7][8]
  • 둘 다 도의원 때 출마했던 지역[9]에서 국회의원 사무실을 차렸다.
  • 슬하에 아들과 딸이 있다.


3.2. 차이점[편집]


  • 위성곤은 친이재명계, 오영훈은 친이낙연계이다.
  • 8회 지선 이후 오영훈이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 출마 당선되어 출마 기록이 1회 추가되었다.
    • 선거 승패율을 보면 오영훈은 6전 5승 1패[10]인 반면, 위성곤은 5전 전승이다.
  • 둘 다 도의회를 사직하고 국회의원을 출마를 결심했는데, 오영훈은 19대 총선 제주시 을 선거구 민주통합당 후보를 김우남에게 밀려 공천탈락을 한 반면, 위성곤은 20대 총선 서귀포시 선거구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바로 공천되었다.
    • 그 결과 오영훈이 사직한 도의원 선거구 보궐선거재선 된 후 오영훈이 일을 잘 못했는지 새누리당[11] 후보가 당선되어서 애꿏은 민주통합당 제주도의회 의석을 날렸고, 위성곤은 3선 내내 일을 잘했는지[12] 위성곤이 사직한 선거구의 도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하면서 더불어민주당 제주도의회 의석을 사수했다.
  • 위성곤은 유년시절에 장흥에서 남제주군 서귀읍(현, 서귀포시)으로 이사온 반면, 오영훈은 성인 되기 전까지 서귀포시에 쭉 거주했다.
  • 병역은 위성곤은 전시근로역, 오영훈은 해군 상병 소집해제이다.
  • 상기했듯이 둘 다 1월생인데, 위성곤은 1968년, 오영훈은 1969년이다.
  • 종교는 위성곤은 가톨릭, 오영훈은 불교 신자다.
  • 슬하에 아들, 딸이 있긴 하나 위성곤은 1남 1녀, 오영훈은 2남 1녀다.
  • 오영훈이 백발로 활동하던 시절을 보면, 서로 나이 차이가 정말 많이 나 보인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주 22
ta-hash-start=w-8ce8b102d40392a688f8c04b3cd6cae0[[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3,282 (39.11%)당선 (1위)초선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b34cff5ba1f72525e525dd444eceaa99[[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6,222 (66.14%)재선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363b688b0469919ed769f198ebd314c6[[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6,197 (66.44%)3선[13]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제주 서귀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2,719 (53.52%)초선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53,345 (55.48%)재선


상술했듯이 의외로 강창일 전 의원과 같이 선거운(5전 5승)이 좋은편이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3:36:05에 나무위키 위성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2] 음력 1967년 12월 21일[3] 장흥 위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위종관위승호국방대학교 총장도 이 마을 출신이다.[4] 종전에는 도지사는 "제주도에 딸린 부속도서"의 차량 운행만 제한할 수 있었다.[5] 만약 본선에서 당선됐었다면 민선 최초 타 지역(전남 장흥) 출신 제주도지사가 된다.[6] 단, 오영훈 의원은 양력으로 환산 시[7] 위성곤은 전라남도 장흥군, 오영훈은 남제주군(현, 서귀포시와 통•폐합) 출신[8] 추가로 제주시 갑 송재호 의원 역시 출생지가 서귀포시 표선면이어서 이쪽도 불일치하다.[9] 위성곤: 동홍동, 오영훈: 일도2동(인화동마을)[10] 1패는 첫 출마인 제3회 지방선거 때 한나라당 후보에게 패했다.[11] 참고로 도의원 보궐선거로 당선된 새누리당 후보는 5회 지선 때 오영훈한테 낙선한 한나라당 후보였다.[12] 본인이 출마한 의 총선에서 도의원 때 지역구였던 동홍동에서 몰표를 받았고, 서귀포시 읍면동 득표율 1위 기록했다. 참고로 동홍동 주민들에게 위성곤 얘기하면 일 잘한다고 칭찬일색이다.[13] 2015.12.23. 사퇴 (국회의원 선거 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