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프스의 소녀 하이디/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세계명작극장.png
세계명작극장
[ 펼치기 · 접기 ]

1969년1969~1970년
1972년
1971년1973년1974년
도로로와 햐키마루무민
신(新) 무민
안데르센 이야기산다람쥐 로키 처크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1975년1976년1977년1978년1979년
플랜더스의 개엄마찾아 삼만리꼬마 너구리 라스칼펠리네 이야기빨강머리 앤
1980년1981년1982년1983년1984년
톰 소여의 모험가족 로빈슨 표류기 이상한 섬의 플로네남쪽 무지개의 루시알프스 이야기 나의 안네트목장소녀 캐트리
1985년1986년1987년1988년1989년
소공녀 세라폴리아나작은 아씨들소공자 세디피터 팬의 모험
1990년1991년1992년1993년1994년
키다리 아저씨트랩 가족 이야기대초원의 작은 천사 부시베이비작은 아씨들 - 조의 아이들일곱 바다의 티코A
1995년1996년1996~1997년2007년2008년
로미오의 푸른 하늘명견 래시집 없는 아이 레미레 미제라블 소녀 코제트포르피의 기나긴 여행
2009년----
안녕 앤 ~Before Green Gables~----
A: KBS2에서 돌고래 요정 티코라는 제목으로 국내 방영을 한 적이 있다.



{#000000,#dddddd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 펼치기 · 접기 ]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밀림의 왕자 레오요술공주 샐리마하 GoGoGo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비밀의 아코짱타이거 마스크사자에상내일의 죠
루팡 3세데빌맨과학닌자대 갓챠맨마징가 Z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마법소녀 메구짱우주전함 야마토만화 일본 옛날이야기감바의 모험
타임보칸잇큐씨엄마찾아 삼만리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캔디캔디
얏타맨미래소년 코난은하철도 999보물섬빨강머리 앤
도라에몽기동전사 건담베르사이유의 장미전설거신 이데온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시끌별 녀석들초시공요새 마크로스미래경찰 우라시맨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캡틴 츠바사북두의 권터치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시티헌터키테레츠 대백과날아라 호빵맨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닌자보이 란타로슬램덩크슬레이어즈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용자왕 가오가이가포켓몬스터소녀혁명 우테나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오자루마루꼬마마법사 레미∀건담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방가방가 햄토리갤럭시 엔젤테니스의 왕자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나루토기동전사 건담 SEED강철의 연금술사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블리치AIR허니와 클로버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혼제로의 사역마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전뇌 코일기동전사 건담 00트루 티어즈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이나즈마 일레븐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케이온!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골판지 전기TIGER & BUNNY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애니메이션)
[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만화)
종합 순위
1위신세기 에반게리온
2위바람계곡의 나우시카
3위천공의 성 라퓨타
4위기동전사 건담
5위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6위충사
7위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8위이웃집 토토로
9위강철의 연금술사
10위공각기동대
11위드래곤볼 애니메이션 시리즈
12위모노노케 히메
13위AKIRA
1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15위도라에몽
16위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17위붉은 돼지
18위은하영웅전설
19위어른제국의 역습
20위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21위카드캡터 사쿠라
22위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3위카미츄!
24위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
25위기동전사 Z 건담
26위별의 목소리
27위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8위은하철도 999
29위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30위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31위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
32위반딧불이의 묘
33위미래소년 코난
34위하울의 움직이는 성
35위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
36위왕립우주군 - 오네아미스의 날개
37위슬램덩크
38위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공동 39위기동전사 건담 SEED
개구리 중사 케로로
41위톱을 노려라!
42위도라에몽 극장판
43위용자 시리즈
44위카우보이 비밥
45위사무라이 7
46위기동전함 나데시코
47위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48위시끌별 녀석들
49위철완 아톰
50위루팡 3세
전문가 순위
1위바람계곡의 나우시카
2위철완 아톰
3위AKIRA
4위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5위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6위기동전사 건담
7위신세기 에반게리온
공동 8위이웃집 토토로
사자에상
은하철도 999
도라에몽
마운틴 헤드
2006년 발표 / 출처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1974)
アルプスの少女ハイジ
Heidi, Girl of the Alps
작품 정보 ▼
장르일상, 동화
기획즈이요 엔터프라이즈(瑞鷹エンタープライズ)
원작요하나 슈피리(Johanna Spyri)
연출[1]타카하타 이사오
시리즈 구성마츠모토 이사오(松木 功)
캐릭터 디자인코타베 요이치
작화감독
장면 설계미야자키 하야오
화면 구성
미술 감독이오카 마사히로(井岡雅宏)
촬영 감독쿠로키 케이시치(黒木敬七)
녹음 감독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음악와타나베 타케오
담당 프로듀서나카지마 준조(中島順三)
프로듀서타카하시 시게히토(高橋茂人)
애니메이션 제작즈이요 영상(ズイヨー映像)[2]
제작즈이요 영상(ズイヨー映像)
후지 테레비
방영 기간1974. 01. 06. ~ 1974. 12. 29.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 (일) 19: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BC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52화
국내 심의 등급미정
[1] 명의는 이렇지만 실질적으로는 감독이다.[2] 이후 대부분의 스태프들은 닛폰 애니메이션으로 이적

1. 개요
2. 제작 및 방영
3. PV
5. 회차 목록
6. 평가
7. 국내 방영
8. 리메이크
9.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파쿠상[1]

의 최고걸작이죠, 하이디는...

온갖 애니메이션의 안정된 기법도 포함해서 제약도 많은 상황에서 그래도 최선을 다했어요.

최선을 다 한것 뿐만이 아니라 많은걸 달성했어요.

다큐멘터리 《꿈과 광기의 왕국》 中 미야자키 하야오의 평가


스위스 소설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를 원작으로 하는 일본 TV 애니메이션.

칼피스가 단독 스폰서로 나선 '칼피스 망가 극장'시리즈의 하나로 닛폰 애니메이션의 전신인 '즈이요(瑞鷹)엔터프라이즈'의 기획과 '즈이요 영상'이 실제작한 1974년에 만든 애니메이션. 감독은 타카하타 이사오.

이후 1982년에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제작한 뮤지컬 애니메이션 영화로 Heidi's Song(하이디의 노래)가 있다.


2. 제작 및 방영[편집]


제작 비화 영상(일본어)
즈이요 엔터프라이즈의 사장이었던 타카하시 시게히토가 일본에서는 드문 기독교 신자라서 기독교 색채가 짙은 이 작품을 골랐다고 한다. 어릴 적 읽고 감동을 받은 작품으로, 원작에는 없는 개 요셉은 그의 아이디어였다. 1971년부터 영상화를 시도했다. 이 작품을 만들기 위해 자회사격인 즈요이 영상을 설립했다.

오오츠카 야스오의 소개를 통해, 즈이요 엔터프라이즈의 실제작 하청을 하던 도쿄 무비산하 A 프로덕션에 있던 타카하타 이사오[2]를 감독으로 그의 동료 미야자키 하야오, 코타베 요이치, 사이다 토시츠구, 오카다 토시야스 등 쟁쟁한 인재들을 데려와서 만든 작품으로 뛰어난 연출과 치밀한 일상묘사, 비현실적인 만화나 판타지가 주류였던 당시 TV 애니메이션과는 차원이 다른 작품으로 이제는 고전 명작, 국민 애니메이션 수준의 지명도를 자랑한다.

레이아웃 작업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TV애니메이션인데 [3] 미야자키 하야오는 이걸 1년 동안 전편을 다 그렸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이 작업을 위해 매주 수백 장씩 원화 수준의 그림을 그렸다. 전 에피소드의 장면 설계를 미야자키가 혼자 다해서 다른 애니메이터들은 미야자키 하야오 그림을 따라서 그리기만 했다고 한다. 이런 짓을 한 사람은 일본 애니 역사상 미야자키 하야오 단 1명 밖에 없다. [4] 타카하타 이사오의 지시로, 의도적으로 카메라 위치를 낮게 잡아서 키가 작은 어린이의 시점에서 바라보는 구도를 연출했다.

'떠돌이 그림콘티쟁이' 시기였던 토미노 요시유키도 외부 스텝으로 참여해서 16편의 그림 콘티를 그렸다. 토미노는 타카하타의 실력에 감탄하여 그를 스승으로 삼아 몇 년간 따라다녔다. 중간부터 오쿠다 세이지도 참여했다. 작품 후반에 스케줄이 꼬여 각본도 안 나온 절망적인 상황에서 대충 이런 얘기라고만 말해주고 알아서 그려보라는 타카하타의 막무가내의 지시를 오쿠다가 수행하자 타카하타는 마음에 들었는지 마지막 회 연출을 시켜줬다고 한다.

기획을 본 방송국 관계자들은 이런 심심한 내용은 시청률이 나오지 않고, 외국 문학을 일본인이 애니화 하면 비웃음이나 사고, 수출하기도 힘들 거라는 의견이 많았다.

감독직을 의뢰받은 타카하타 이사오도 처음에는 애니메이션화하기 힘든 일상물에 난색을 표했다. 즈이요 사장 타카하시는 진심으로 어린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좋은 작품을 만들고 싶다고 그를 설득했다. 타카하타는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 해외 로케이션 취재를 하기로 하고, 종교적인 색채를 최대한 배제했으며 원작의 내용 및 설정이 변경되거나 추가되고 생략된 부분도 존재한다. 원작은 전개가 빠르고, 분량이 많지도 않아서 원작 내용만으론 52화나 뽑아낼 수가 없다.

즈이요 사장은 해외 취재를 약속했고, 실제작을 시작하기 1년 전부터 돈만 생기면 제작팀을 작품 무대가 되는 스위스독일로 보내 치밀한 취재를 해서, 외국의 시청자들이 봐도 납득할 만한 배경과 미술, 일상생활의 묘사를 선보였다.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에서는 최초로 시도된 해외 로케이션 취재였다. 그래서 이 작품이 70년대 중반 유럽에 수출해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을 때도 아무도 일본 애니메이션이라고는 상상조차 못했다. 현지에서는 다들 유럽이나 아니면 미국이나 인도 애니메이션[5]으로 알고 있었다고 한다. 심지어는 당시 일본 어린이 시청자들도 하이디는 외국에서 만든 애니메이션이라고 생각하고 봤다고 한다.

3. PV[편집]




오프닝 작화: 모리 야스지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 조수방영일
제1화アルムの山へ
아르므 산으로
요시다 요시아키
(吉田義昭)
-하야카와 케이지
(早川啓二)
1974.1.6.
제2화おじいさんの山小屋
할아버지의 산장
요코타 카즈요시
(横田和善)
1974.1.13.
제3화牧場で
목장에서
하야카와 케이지1974.1.20.
제4화もう一人の家族
또 하나의 가족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1.27.
제5화燃えた手紙
불탄 편지
쿠로다 요시오
(黒田昌郎)
하야카와 케이지1974.2.3.
제6화ひびけ口笛
울려라 휘파람
야마자키 슈지
(山崎修二)
오소노이 츠네히사
(小園井常久)
1974.2.10.
제7화樅の木の音
전나무의 소리
오오카와 히사오
(大川久男)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2.17.
제8화ピッチーよどこへ
피치는 어디에
야마자키 슈지하야카와 케이지1974.2.24.
제9화白銀のアルム
백은의 아르므
쿠로다 요시오오소노이 츠네히사1974.3.3.
제10화おばあさんの家へ
할머니 집으로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3.10.
제11화吹雪の日に
눈보라 치는 날에
사이토 히로시
(斎藤博)
하야카와 케이지1974.3.17.
제12화春の音
봄의 소리
요시다 요시아키쿠로다 요시오요코타 카즈요시1974.3.24.
제13화再び牧場へ
다시 목장에
토미노 요시유키하야카와 케이지1974.3.31.
제14화悲しいしらせ
슬픈 소식
오소노이 츠네히사1974.4.7.
제15화ユキちゃん
유키
사이토 히로시요코타 카즈요시1974.4.14.
제16화デルフリ村
델 프리 마을
오오카와 히사오쿠로다 요시오하야카와 케이지1974.4.21.
제17화二人のお客さま
두 사람의 손님
이케노 후미오
(池野文雄)
오소노이 츠네히사1974.4.28.
제18화離ればなれに
헤어지다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5.5.
제19화フランクフルトへ
프랑크푸르트에
야마자키 슈지하야카와 케이지1974.5.12.
제20화新らしい生活
새로운 생활
사사키 마모루쿠로다 요시오오소노이 츠네히사1974.5.19.
제21화自由に飛びたい
자유롭게 날고 싶어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5.26.
제22화遠いアルム
먼 아르므
사이토 히로시하야카와 케이지1974.6.2.
제23화大騒動
대소동
요시다 요시아키토미노 요시유키오소노이 츠네히사1974.6.9.
제24화捨てられたミーちゃん
버려진 미
쿠로다 요시오요코타 카즈요시1974.6.16.
제25화白パン
하얀 빵
사이토 히로시하야카와 케이지1974.6.23.
제26화ゼーゼマンさんのお帰り
제제만 씨가 돌아오다
오오카와 히사오오소노이 츠네히사1974.6.30.
제27화おばあさま
할머님
사사키 마모루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7.7.
제28화森へ行こう
숲으로 가자
야마자키 슈지하야카와 케이지1974.7.14.
제29화ふたつのこころ
두 마음
토미노 요시유키오소노이 츠네히사1974.7.21.
제30화お陽さまをつかまえたい
햇님을 잡고 싶어
사이토 히로시요코타 카즈요시1974.7.28.
제31화さようならおばあさま
안녕 할머님
오쿠다 세이지하야카와 케이지1974.8.4.
제32화あらしの夜
폭풍의 밤
야마자키 슈지오소노이 츠네히사1974.8.11.
제33화ゆうれい騒動
유령 소동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8.18.
제34화なつかしの山へ
그리운 산으로
요코타 카즈요시하야카와 케이지1974.8.25.
제35화アルムの星空
아르므의 별 하늘
요시다 요시아키쿠로다 요시오오소노이 츠네히사1974.9.1.
제36화そして牧場へ
그리고 목장으로
하야카와 케이지요코타 카즈요시1974.9.8.
제37화山羊のあかちゃん
산양의 아기
오오카와 히사오토미노 요시유키하야카와 케이지1974.9.15.
제38화新しい家で
새 집으로
야마자키 슈지요코타 카즈요시1974.9.22.
제39화がんばれペーター
힘내라 페터
오쿠다 세이지하야카와 케이지1974.9.29.
제40화アルムへ行きたい
아르므에 가고 싶어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10.6.
제41화お医者さまの約束
의사 선생님의 약속
사사키 마모루야마자키 슈지하야카와 케이지1974.10.13.
제42화クララとの再会
클라라와 재회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10.20.
제43화クララの願い
클라라의 소원
오쿠다 세이지하야카와 케이지1974.10.27.
제44화小さな計画
작은 계획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11.3.
제45화山の子たち
산의 아이들
오쿠다 세이지하야카와 케이지1974.11.10.
제46화クララのしあわせ
클라라의 행복
토미노 요시유키요코타 카즈요시1974.11.17.
제47화こんにちわおばあさま
안녕하세요 할머님
야마자키 슈지하야카와 케이지1974.11.24.
제48화小さな希望
작은 희망
오쿠다 세이지요코타 카즈요시1974.12.1.
제49화ひとつの誓い
하나의 맹세
토미노 요시유키하야카와 케이지1974.12.8.
제50화立ってごらん
서 보렴
오쿠다 세이지요코타 카즈요시1974.12.15.
제51화クララが歩いた
클라라가 걸었다
토미노 요시유키하야카와 케이지1974.12.22.
제52화また会う日まで
또 만날 날까지
오쿠다 세이지요코타 카즈요시1974.12.29.


6. 평가[편집]


원화와 원화 사이에 들어가는 동화(動畵)도 듬뿍 사용하고, 다른 작품이 30분 기준 작화 매수가 한 편이 3천 장일 무렵, 8천 장이상 만 장까지 사용해서 등장인물의 움직임이 어색함이 없고 표정도 생생하게 살아있는 연기를 한다. 그리고 미야자키 하야오의 특기인 역동적인 액션 장면이 결합되어 연출적으로도 탁월한 작품이다. 타카하타 이사오는 작품의 질을 위해서는 절대 타협하는 경우가 없고 돈을 아끼지 않는 스타일이었다.

초반에는 등장 인물도 적고, 특별한 사건도 일어나지 않는 수수한 일상물이라서 시청률이 낮았지만, 일본 PTA의 추천을 받고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애니메이션이라서 시청률이 고공행진을 시작한다. 여담으로 동시간대에 방영된 작품은 우주전함 야마토와 미드 혹성탈출. 우주전함 야마토는 이 작품 때문에 낮은 시청률로 고전했다.

이 작품의 대성공이 계기가 되어 이후 닛폰 애니메이션은 세계명작극장을 제작하게 되고, 이 시리즈는 이후로 플랜더스의 개, 빨강머리 앤, 톰 소여의 모험, 엄마찾아 삼만리, 소공녀 세라 등 수많은 걸작을 낳게 된다.


7. 국내 방영[편집]



한국에서는 1976년~1977년, 그리고 1980년대 초반에 MBC에서 방영했다. 그리고 즐감에서 정식으로 다운로드하거나 VOD로 감상할 수 있다.


8. 리메이크[편집]


2014년에 프랑스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스튜디오 100(Studio 100)에 의해 3D 애니메이션으로 리메이크되었다. 독일·벨기에·프랑스·호주 등 합작에 총 39화이고, 때문에 영어 더빙 또한 호주에서 이루어졌다.

원작 소설은 기독교 문학이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기독교적인 색채가 거의 다 잘려나갔다. 이 때문에 스폰서이자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던 칼피스 사장 도쿠라 후지오는 애니메이션 버전을 썩 좋아하지 않았고, 하이디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하이디 애니메이션은 원작 소설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습니다. 꼭 원작을 읽어보세요라고 말하고 다녔다 한다.


9. 대중매체에서[편집]


워낙에 지명도가 높기 때문에 각종 오마주 또는 패러디의 단골 소재이기도 하다. 몇 가지 들자면,

  • '클라라가 섰다!' => 병약한 소녀 클라라가 휠체어에서 일어서는 명장면에서 유래. 뭔가 기적같은 일,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을때 쓰인다. 개그 동인지에서는 주로 기동전사 건담 TV판 1화 제목 건담 대지에 서다!!와 크로스오버되어 건담이 된다. 루리코처럼 성적인 의미(...)의 그것으로 패러디하는 경우도 있다.

  • '가르쳐줘요 할아버지~' => 주제가 가사에서 나온 대사. 꼬마 여자애가 뜬금없이 아무에게나 이런 대사를 날리면 100% 하이디 패러디다.

  • 흰 빵을 모으는 소녀 => 가난해서 늘 맛없고 씹기 힘든 검은 빵만 먹어야 했던 '페터의 할머니'를 위해 흰 빵을 모으던 하이디의 모습에서 유래. 주로 가난뱅이 캐릭터들을 묘사할 때 사용하는 네타. 가난뱅이 캐릭터가 아무 의미없이 흰 빵, 검은 빵 운운하면 역시 100% 하이디 패러디. 아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서양에서 흰 빵은 동양의 쌀밥과 비슷한 의미가 있다.


  • 기동전사 건담이 리얼리즘이 넘치는 작풍이 된 것에 대해서 야스히코 요시카즈는 토미노가 콘티로 참여했던 이 작품과 엄마 찾아 3만리의 영향이 크다고 토미노와의 대담에 발언한 바 있었다.


  • 닛산자동차에서 '저연비소녀 하이디'라는 광고로 패러디했다. 이 광고를 만든 제작진은 한국에서는 마이너지만 일본에서는 가장 많이 DVD가 팔린 TV 애니메이션으로 왕좌에 오른, The world of golden eggs라는 애니를 패러디해서 그런지 그림체가 괴랄하다.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네임택 등 각종 관련 캐릭터 상품으로 만들어졌다.

  • 알프스를 소재로 하고 있어서인지 실제 알프스 산의 열차를 타면 다른 언어는 멀쩡한 목소리로 나오는데 일본어만 이 만화 버젼의 하이디 목소리가 나온다.


  • 세바스찬이란 이름은 이 애니메이션 이후로 일본에서 집사 = 세바스찬이란 공식이 강해졌다. 한국에서도 방영되었던지라 한국의 중장년층에게도 익숙한데, 일례로 개그콘서트에서 임혁필김인석은 도련님과 집사 개그를 선보이며 알프레도를 집사로, 세바스찬을 귀족 주인님으로 살짝 비틀었다.[6]



  • 은혼 일국경성편의 등장인물인 롯텐 마이조의 이름은 이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클라라네 잔소리꾼 가정부 로텐마이어에서 따왔다.



  • 학원 키노 p.94에서 '집사의 이름은 역시 세바스찬?'이라는 대사가 나온다. 물론 세바스찬은 여기에 나오는 집사 세바스찬의 패러디.




  • 요네하라 마리는 이 애니메이션에 환상을 갖고 염소젖을 마셔보려다 냄새를 맡고는 좌절했다고 한다.

  • 아라카와 히로무백성귀족에서도 이 작품에 대해 언급한다. 낙농업자 집안 출신인 아라카와 히로무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개그 묘사가 일품.

파일:3c1-1.png
  • 하이디가 클라라의 휠체어를 잡고 낭떠러지 앞에 서 있는 장면은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 장면으로 합성되어 인터넷에서 짤방으로 쓰이곤 한다. 주로 클라라가 빡침을 유발하는 말을 하면 하이디가 절벽으로 밀어버리는 식이다. 템플릿, 고화질 템플릿

  • 아이카츠!히메사토 마리아가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를 패러디한 캐릭터로 추정된다. 다만 이쪽은 하이디와 달리 순혈 일본인이고, 부잣집 아가씨이며, 사는 곳도 디자인상으로만 알프스를 연상시킬 뿐 엄연히 일본이라서 그냥 비주얼상의 모티브만 따온 것으로 보인다.

  • 한일합작 여아용 아이돌 애니메이션 프리파라의 등장인물인 미도리카제 후와리의 로컬명이 하이디로 결정되었는데, 후와리의 고향인 팔프스는 알프스에서 따온 가상의 지명인데다 누가봐도 일본식 이름인 후와리를 한국에서 그대로 쓸 수 없었기에, 알프스 소녀의 이미지에 맞게 하이디로 로컬화 한 것으로 보여진다.


  • 하이디 등장인물들이 전부 전투민족으로 변형시킨 패러디도 있다.



  • 2017년 6월 닛신 컵누들 CF인 HUNGRY DAYS 프로젝트의 두번째 주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하이디와 클라라와 페터가 21세기의 고등학교 동급생이라면 어떨까' 하는 IF설정으로 만들어진 이야기로, 페터가 하이디에게 고백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작화는 타카하시 유이치가 했다.


[1] 다카하타 이사오의 별명[2] 이 작품이 최고 시청률 35%를 찍어서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에서는 '시청률의 사나이'로 방송국에 가면 국장이 직접 나와서 인사하는 유명인사가 된다.[3] 극장용은 이보다 먼저 태양의 왕자 호루스의 대모험에서 시도되었다.[4] 심지어 다음 작품인 엄마 찾아 삼만리에서 또 했다.[5] 아시아 최초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비롯하여 되려 영국 식민지 시절 인도 애니메이션이나 영화가 꾸준히 만들어져 유럽에 수출되어 유럽에서는 사무라이물 같은 매니아를 빼곤 당시만 해도 인도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더 많이 알아주기도 했었다.[6] 다만 한국에서는 하이디 외에도 디즈니의 인어공주에도 바닷가재 집사 세바스찬이 나오여 둘 다 유명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문서의 r2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문서의 r2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5:45:44에 나무위키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