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니아 PRT-레인지

덤프버전 :

파일:스카니아 로고.svg
파일:Scania_770S.jpg
PRT-range[1]

1. 개요
2. 역사
2.1. 1세대 (2004)
2.1.1. 1세대 F/L (2009)
2.1.2. 스트림라인 (2013)
2.1.3. 차량 옵션
2.2. 2세대 (2016)
2.2.1. 한국 시장
2.2.2. 차량 옵션
3. 등장 매체
4. 둘러보기
5. 관련 문서


Scania PRT-range

1. 개요[편집]


스웨덴 스카니아에서 개발한 캡오버 타입 대형트럭/트랙터 제품군. 2004년 스카니아 4시리즈의 후속으로 등장했으며 차량의 구조에 따라 L, P, G, R, S, T 시리즈로 구분된다.


2. 역사[편집]



2.1. 1세대 (2004)[편집]


파일:Scania_R580(2004).jpg파일:Scania_G420(2007).jpg
R 580 트랙터G 420 트랙터
파일:Scania_P380(2004).jpg파일:Scania_T380(2004).jpg
P 380 리지드T 380 덤프
각 형식별로 등장시기에 차이가 있다.

2004년 3월 31일 최초로 등장한 R시리즈는 기존의 스카니아 4시리즈와 65% 설계공유를 가지면서도 새로운 캡 디자인과 인테리어, 개량된 차량 기술을 적용시킨 모델이다. 출시 당시 유로3 기준을 충족시켰으며, 동년 9월에는 유로4 기준을 충족시킨 420마력 엔진을 선보였다.

2004년 8월 20일에는 P시리즈T시리즈가 공개되었다. P시리즈는 기존 R시리즈 대비 캡 플로어 높이가 낮은 저상형 모델이며 T시리즈는 엔진룸이 앞으로 튀어나온 컨벤셔널(Conventional) 캡[2]이 적용된 모델이다.[3] 다만 T시리즈는 등장 이듬해인 2005년을 마지막으로 라인업 자체가 단종되어 버린다.[4]

2005년에 R시리즈가 '올해의 트럭(International Truck of the Year)'을 수상했다.

파일:Scania_P270_LE(2006).jpg
2006년에는 P시리즈용 저상캡을 선보인다. 동년에 선보인 메르세데스-벤츠 이코닉 2세대 모델을 견제하는 라인업으로 청소차 등 도심형 특장차 시장이 주요 고객.

2007년 9월 5일 새로운 G시리즈를 출시한다. R시리즈와 P시리즈 사이를 메우는, 중간 높이의 플로어를 가진 라인업으로 기존 스카니아 4시리즈의 섀시코드 G[5]와는 관계가 없다.


2.1.1. 1세대 F/L (2009)[편집]


파일:Scania_R440(2009).jpg파일:Scania_G420(2009).jpg
R 440 트랙터G 420 트랙터
파일:Scania_P360(2011).jpg
P 360 트랙터
각 형식별로 등장시기에 차이가 있다.

2009년 9월 17일 페이스리프트와 인테리어 개량이 적용된 R시리즈가 공개되었다. 얼마후 G시리즈 역시 같은 사양으로 출시되었지만 P시리즈는 2011년이 돼서야 신형 사양이 적용되었다. 추가로 이 시리즈부터 V8 엔진 모델 프리미엄이 적용되어 기존 직렬 엔진 모델들과는 차별화되는 외형[6]인테리어 옵션을 가진다.

2010년 4월, 730마력 / 357 kgf·m DC16 엔진[7]이 출시되면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트럭' 타이틀을 차지했다.[8] 그와 더불어 R시리즈로 '올해의 트럭'을 수상했다.

파일:스카니아 블랙앰버.jpg
2013년 4월에는 스벰파 블랙앰버(Svempas Black Amber) 에디션이 대한민국에 출시되었다. 커스텀 트럭 제작 명장인 스벤-에릭 스벰파 베르겐달(Sven-Erik Svempa Bergendahl)이 외관을 디자인했고, 갈색 외장 색상에 불꽃 데칼이 붙은 게 특징이다. 전세계 100대 한정판이고, 대한민국에는 5대가 배정되었는데, 전 세계적으로는 730마력짜리 엔진이 장착되는 R730 모델도 발매되지만 한국 사양은 620마력짜리 R620 모델이다. 가격은 2억 3100만 원으로 책정되었다. 기사 실제 운행 사진


2.1.2. 스트림라인 (2013)[편집]


파일:Scania_R490(2013).jpg파일:Scania_G450(2013).jpg
R 490 트랙터G 450 트랙터

2013년에는 R시리즈와 G시리즈 한정으로 외부 디자인을 공기역학적으로 다듬고, LED 주간주행등을 적용시킨 스트림라인을 공개했다.

파일:Scania_R730_BS(2014).jpg
2014년 4월에 블루스트림(Blue Stream) 에디션이 공개되었고,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2015년 11월에 출시되었다. 블랙앰버와 마찬가지로 스벰파가 디자인을 맡았고 전세계 200대 한정판 중 국내에는 5대가 배정되었는데 이번에는 블랙앰버 때와는 다르게 730마력짜리 R730 모델이 그대로 들어왔다.


2.1.3. 차량 옵션[편집]


  • 엔진(무려 59가지)[9]
엔진기관 형식배기량최대 출력최대 토크유로규제
DC09 13직렬 5기통8.9리터230마력107 kgf·m유로3
DC09 12270마력128 kgf·m
DC09 11310마력158 kgf·m
DC11 08직렬 6기통10.6리터340마력163 kgf·m
DC12 1711.7리터380마력194 kgf·m
DC12 06420마력204 kgf·m
DT12 18440마력214 kgf·m
DT12 06470마력224 kgf·m
DC16 04V형 8기통15.6리터500마력245 kgf·m
DC16 03580마력275 kgf·m
DC09 16직렬 5기통8.9리터230마력107 kgf·m유로4
DC09 1029.3리터250마력117 kgf·m
DC09 178.9리터270마력128 kgf·m
DC09 18310마력158 kgf·m
DC09 1019.3리터
DC12 10직렬 6기통11.7리터340마력173 kgf·m
DC12 26
DC12 13380마력194 kgf·m
DC12 24
DT12 12420마력214 kgf·m
DC12 23
DT12 17480마력230 kgf·m
DC16 06V형 8기통15.6리터500마력245 kgf·m
DC16 05560마력275 kgf·m
DC16 08620마력306 kgf·m
DC09 39직렬 5기통9.3리터230마력107 kgf·m유로5
DC09 38280마력143 kgf·m
DC09 37320마력163 kgf·m
DC13 06직렬 6기통12.7리터360마력189 kgf·m
DC12 1811.7리터380마력194 kgf·m
DC13 0512.7리터400마력214 kgf·m
DC12 2211.7리터420마력
DC 12 15
DC13 1012.7리터440마력235 kgf·m
DC13 07480마력255 kgf·m
DC16 19V형 8기통15.6리터500마력255 kgf·m
DC16 18560마력275 kgf·m
DC16 17620마력306 kgf·m
DC16 2116.4리터730마력357 kgf·m
DC09 30직렬 5기통9.3리터230마력107 kgf·mEEV[10]
DC09 29280마력143 kgf·m
DC09 32320마력163 kgf·m
DC09 24360마력
DC13 120직렬 6기통12.7리터400마력214 kgf·m
DC12 121440마력235 kgf·m
DC16 22V형 8기통15.6리터500마력255 kgf·m
DC16 2116.4리터730마력357 kgf·m
DC09 111직렬 5기통9.3리터250마력128 kgf·m유로6
DC09 113280마력143 kgf·m
DC09 108320마력163 kgf·m
DC09 112360마력173 kgf·m
DC13 116직렬 6기통12.7리터370마력199 kgf·m
DC13 115410마력219 kgf·m
DC13 109440마력235 kgf·m
DC13 124450마력240 kgf·m
DC13 110480마력255 kgf·m
DC13 125490마력260 kgf·m
DC16 101V형 8기통16.4리터520마력275 kgf·m
DC16 102580마력301 kgf·m
DC16 103730마력357 kgf·m

캡 종류실내 높이캡 전장캡 전폭P 시리즈G 시리즈R 시리즈
숏 캡1,500 mm1,710 mm2,476 mmOO-
데이 캡1,990 mmOOO
로우 캡2,260 mmOOO
노멀 캡1,670 mmOOO
하이라인 캡1,910 mmOOO
탑라인 캡2,230 mm--O


2.2. 2세대 (2016)[편집]


파일:Scania_S730(2016).jpg파일:Scania_R500(2016).jpg
S 730 트랙터R 500 트랙터
파일:Scania_G370(2017).jpg파일:Scania_P360(2017).jpg
G 370 트랙터P 360 섀시
파일:Scania_L320(2017).jpg
L 320 섀시
가면 갈수록 캡이 찌그러진다.
각 형식별로 등장시기에 차이가 있다.

2016년 8월 23일 풀체인지를 거친 2세대 R시리즈 모델이 공개되었다. 더불어 R시리즈 상위로 S시리즈가 신설되었는데 플로어 높이가 더 높아지면서 스카니아 최초로 평바닥 인테리어가 적용되었다. 외형 디자인에서는 호불호가 갈리는데 전작과 별 차이가 없는 전면부나 과감하게 변화된 측/후면부는 말이 많다. 또한 한국에선 같이 개발했던 트럭이랑 비슷하다는 평도 나왔다. 10여 년 동안 비슷한 디자인이었다가 환골탈태벤츠볼보의 풀체인지 모델의 반응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양산형 트럭 모델중에서는 세계 최초로 측면 커튼식 에어백을 장착했으며 루프 옵션은 기존의 로우, 노멀, 하이라인, 탑라인 대신 로우, 노멀, 하이루프 세 종류로 통합되었다.

2017년에 S시리즈로 '올해의 트럭'을 수상했다.

2017년 6월 8일, 2세대 G시리즈와 신형 DC09, DC13[11] 엔진 라인업을 발표했다. 또한 S시리즈와 2세대 R시리즈에 올라가는 신형 DC16 엔진을 공개했는데, 이베코 HI-SCR 기술처럼 배기가스 후처리를 EGR 없이 오직 SCR로만 끝낼것이라고 한다.(116, 117, 118 모델)[12] 730마력 모델(108)의 경우 기존과 동일한 SCR + EGR 조합으로 가는 중. 730마력만큼은 도저히 SCR로만 통과하기 힘들었나보다

2017년 9월 4일, 볼보 FMX벤츠 아록스처럼 험지주파 성능을 강화한 건설현장용 모델(덤프트럭, 믹서트럭) 라인업인 XT-레인지가 공개되었고, 그와 동시에 2세대 P시리즈와 기존 2세대 G시리즈, R시리즈의 데이캡 옵션이 추가되었다.

2017년 11월 8일, 13리터급 천연가스 엔진인 OC13 엔진이 공개되었다.

2017년 12월 7일, 저상캡(low-entry) 모델인 L시리즈가 공개되었다. 추가로 신형 DC07 엔진 라인업과 2세대 P시리즈의 크류 캡 모델도 같이 공개되었다.

2019년 8월 15일, 13리터급 DC13 엔진 라인업에 새로운 540마력 트림(DC13 166)이 추가되었다.

2019년 12월부터는 최상위 트림인 S시리즈 모델들의 전면 레터링이 변경되었다. 기존의 '캡 시리즈 + 마력수' 표기(ex: S730)에서 '마력수 + 캡 시리즈' 표기(ex: 730S)로 바뀐것. 다임러 AG에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모델 레터링과 유사하다는(...) 옹졸한 이유로 지적이 들어와 스카니아가 변경을 한 것이라고 한다. 새로운 레터링은 S시리즈 모델들만 적용되었고, 벤츠 S클래스와 접점이 없는 R, G, P, L시리즈 모델들은 기존의 레터링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제 이러면 맥라렌에서 650S, 720S랑 유사하다고 지적할 것 같다

2020년 9월 28일, 16리터급 엔진 라인업의 출력이 상향조정 되면서 새로운 '770마력' 엔진이 등장했다. 볼보트럭의 750마력 출시 이후 9년 만에 다시 역전을 하고,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트럭이라는 타이틀도 되찾아오게 된 것.[13] 그 외에도 기존 520마력, 580마력, 650마력 트림들도 각각 10마력씩 상향 조정되어 530마력, 590마력, 660마력, 770마력 등의 네가지 트림으로 나오게 된다.

파일:Scania_770S_CS23H.jpg
2021년 6월 16일, 볼보 FH의 글로브트로터 XXL 캡에 대항하는 새로운 CS23, CR23 캡 라인업을 발표했다. # S시리즈와 R시리즈에서 선택 가능하며 기존의 CS20, CR20 캡 대비 전장이 270 mm 증가했다.[14] 캡 생산은 스카니아의 협력업체인 락사 특장차(Laxå Special Vehicles AB)에서 담당하고 2021년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파일:Scania_Digital_rearview_mirrors.jpg파일:Scania_Digital_rearview_mirrors_Interior.jpg
스카니아 디지털 리어뷰 미러캠
2021년 11월 11일, 신형 DC13 엔진 라인업을 발표하면서 13리터급 엔진 제품군의 최대출력이 560마력 / 286 kgf·m 토크까지 증가했다. 그와 동시에 디지털 리어뷰 미러캠 옵션도 공개되었고 P캡, G캡, R캡도 S캡을 따라 전면 알파벳 표기가 마력수 뒤로 바뀌었다.(ex: R500 -> 500R)


2.2.1. 한국 시장[편집]


대한민국 시장에는 2018년 2월에 S, R, G시리즈 트랙터 모델이 우선 발표되었으며 해당 차량의 출시 홍보를 위해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진행중이었을 때 스웨덴 홍보관에서 스카니아 S650 트랙터 차량을 전시한 적이 있었다. 홍보 효과가 있었던 것인지 올해 7월에는 덤프, 카고 모델이 출시되었다. 2020년부터는 중형트럭 시장 공략을 위해 P시리즈는 2020년 7월에 출시되었으나관련 기사 트랙터 모델은 판매부진 및 G시리즈의 포지선이 겹치는 문제로 인해 들어오지 않는 대신 새시캡으로 출시되었고 가격도 G시리즈 새시캡보다 저렴하게 출시되었다.

국내판매 모델들은 지상으로부터 높이 1.3m 이하로만 전조등을 장착할 수 있는 국내 도로교통법상 전방 로고 양옆에 달리는 스팟라이트와 루프 전방의 스팟라이트 옵션이 빠진 채로 들어오고 있다.[15]

현재 국내에서 판매중인 스톡 옵션 모델은 다음과 같다.
  • S시리즈: 650마력, 500마력, 레드 색상
  • R시리즈: 580마력, 500마력, 450마력, 화이트 색상
  • G시리즈: 500마력,[16] 450마력, 410마력
  • P시리즈: 410마력,[17]

이후 2021년형을 선보이면서 엔진 라인업이 변경되었다.
  • S시리즈: 650마력[18], 540마력, 500마력[19]
  • R시리즈: 500마력, 450마력, 540마력[20]
  • G시리즈: 500마력, 450마력
  • P시리즈: 280마력

(2021년 9월 기준 P시리즈에 450마력과 9리터 360마력이 추가됨)
  • P시리즈: 450마력[21], 360마력[22], 280마력

(2023년 9월, 2024년형을 선보이면서 엔진 라인업 일부 변경됨)
  • S시리즈: 660마력(은색), 560마력(블루[23]/그레이[24]) SUPER
  • R시리즈: 540마력(그레이)[25], 500마력(화이트), 460마력(그린[26]/화이트[27]) SUPER
  • G시리즈: 500마력 SUPER(레드)[28], 460마력 SUPER(화이트)
  • P시리즈: 460마력 SUPER(화이트[29], 그레이[30]), 360마력, 280마력

2023년 1월 16일 연료효율 및 최적화 향상을 위한 R시리즈 중 새로운 라인업인 R540 6x2/4 가변축 트랙터 모델을 출시했다.

2023년 8월 말 기존모델 대비 그동안 유럽에서만 판매되었던 새롭게 엔진 라인업을 변화시키고 엄격한 환경규제로 인해 배출가스 기준 유로6D 규제를 충족시킨 슈퍼(SUPER) 모델이 탑재되어 국내에 상륙할 예정이다. 관련 기사


2.2.2. 차량 옵션[편집]


  • 엔진
엔진기관 형식배기량최대 출력최대 토크유로규제
DC07 111직렬 6기통6.7리터[31]220마력102 kgf·m유로6
DC07 112250마력112 kgf·m
DC07 113280마력122 kgf·m
DC09 130직렬 5기통9.3리터280마력143 kgf·m
DC09 126320마력163 kgf·m
DC09 127360마력173 kgf·m
OC09 104280마력138 kgf·m
OC09 105340마력163 kgf·m
DC13 149직렬 6기통12.7리터370마력194 kgf·m
DC13 141410마력219 kgf·m
DC13 148450마력240 kgf·m
DC13 155500마력260 kgf·m
DC13 166540마력275 kgf·m
OC13 101410마력204 kgf·m
DC16 116V형 8기통16.3리터520마력275 kgf·m
DC16 117580마력306 kgf·m
DC16 118650마력337 kgf·m
DC16 10816.4리터730마력357 kgf·m
DC13 176직렬 6기통12.7리터420마력235 kgf·m유로6D
DC13 175460마력255 kgf·m
DC13 174500마력270 kgf·m
DC13 173560마력286 kgf·m
DC16 120V형 8기통16.4리터530마력
DC16 121590마력311 kgf·m
DC16 122660마력337 kgf·m
DC16 123770마력377 kgf·m

캡 종류루프 종류실내 높이캡 전장캡 전폭캡 모델명
P시리즈숏 캡로우 루프1,500 mm1,550 mm2,310 mmCP14L
데이 캡로우 루프1,830 mmCP17L
노멀 루프1,800 mmCP17N
슬리퍼 캡로우 루프1,500 mm2,060 mmCP20L
노멀 루프1,800 mmCP20N
하이 루프2,030 mmCP20H
G시리즈데이 캡로우 루프1,500 mm1,830 mmCG17L
노멀 루프1,800 mmCG17N
슬리퍼 캡로우 루프1,500 mm2,060 mmCG20L
노멀 루프1,800 mmCG20N
하이 루프2,030 mmCG20H
R시리즈데이 캡로우 루프1,500 mm1,830 mmCR17L
노멀 루프1,850 mmCR17N
슬리퍼 캡로우 루프1,500 mm2,060 mmCR20L
노멀 루프1,850 mmCR20N
하이 루프2,070 mmCR20H
S시리즈슬리퍼 캡노멀 루프1,850 mmCS20N
하이 루프2,070 mmCS20H


3. 등장 매체[편집]


  • 파일:ETS1.jpg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에서 1세대 R시리즈 모델이 등장한다. 이 때는 아직 라이센스를 취득하지 않았고, SWIFT라는 가상 메이커로 등장했다.

  • 파일:external/b89698972fd979954351f2d657afd6e764a2e354796bd857496710a540143379.jpg
트럭 & 트레일러(Trucks & Trailers)에서 1세대 F/L R시리즈 모델이 등장한다.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판매되는 게임 CD 한정으로 타이틀 표지에 그려진 트럭이 DAF XF가 아닌 스카니아 1세대 F/L R시리즈로 대체되기도 하였다#.

  • 파일:external/8535434878b43c65c27e5a3633e91aff17b7c084ba2983176b3967d52fbed7bf.jpg
스카니아 트럭 드라이빙 시뮬레이터(Scania Truck Driving Simulator)에서 1세대 F/L R시리즈 모델이 등장한다.

  • 파일: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jpg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에서 1세대 F/L R시리즈와 스트림라인& PRT레인지, 2세대 PRT레인지가 등장한다.

2세대 PRT레인지 모델링을 할 때 1대의 차량에 특수 랩핑을 한 후 첨단 스캐너로 부품별로 일일이 촬영해 모델링하였으며 다른 브랜드 차량들에서는 못했던 정확한 치수 측정을 줄자까지 이용해가며 모델링했다고 한다.

운전하면서 대시보드 패널을 자세히 보면 ACC 상태에서 좌측 상단에 들어오지 않아 보이지 않던 경고등이 일부 보이는데 유모차휠체어 모양이 있다. 모르는 사람들은 이를 소소한 이스터 에그라고 착각하기도 하는데, 이는 현실에서도 볼 수 있는 올바른 고증이다. 대시보드 패널 자체가 처음부터 자사의 도심버스와 공용으로 사용될 것을 고려해 설계된 파츠이기 때문에 경고등이 통합되어 있는 것.[32] 실제 대시보드 사진
여담으로 위 게임 4개가 모두 동일한 제작사(SCS 소프트웨어)의 작품인데, 독점 콜라보 작품인 스카니아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시절부터 관계가 점차 돈독해지기 시작해 현재는 SCS 소프트웨어와 가장 사이가 좋은 트럭 제조사가 되었다. 다른 제조사들에 비해 트럭의 상세 제원 공유와 실사 차량 제공에도 가장 적극적인 편.

  • 웹툰 고교생을 환불해 주세요 마지막화에서 빨간색상의 1세대 F/L R시리즈 모델이 나온다. 도로에 있던 강아지를 구하려던 아루를 치려다 지나가던 이묵이 아루를 보호해 다행히 아루는 무사하고 아루의 손에 상처가 생기는 정도로 끝났다.



파일:external/d31b0226b097ee730e66c9d5c6cbf95e357cb4ce3ca59c31fdee6d192b367379.jpg
  • 꼬마버스 타요에서 등장하는 트랙터 트럭 빅이 1세대 R시리즈를 모티브로 했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프랑스 국기.svg 현대 프랑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군 (1945~현재)
Forces armées françaises
중전차6호 전차 티거G/R, ARL-44R, M4A3E2R
구축전차/대전차 자주포야크트판터G/R, M10 GMCR, M36 GMCR, M36B2R, SD-100C/R
구난전차M31 TRVR
중형전차M4A1R, M4A1 (76) WR, M4A1E8R, M4A1 (CN-105-F1)M/R, M4A1 (FL10)M/R, M4A1E9R, M4A4R, M4A4TM/R, M4A4 (SA50)M/R, M4A2 (76) WR, 5호 전차 판터G/R, M26 퍼싱R, 4호 전차 G형G/R, T-34-85P/R, T-34-85CZC/R
경전차M24 채피R, AMX-13R, AMX-13-M24M/R, 치로R
MBT1세대M46 패튼R, M47 패튼R
2세대AMX-30
3.5세대르클레르
장갑차차륜장갑차험버 피그R, 코번트리R, 페렛R,
E.B.R. (Mle.51/Mle.54/Mle.63/ETT)R, AML-90R, ERC-90R, VBC-90R, AMX-10 RC/RCR,
VBCI, VAB, EBRC 재규어, VBMR 그리폰
궤도장갑차Sd.Kfz. 251G/R, 유니버설 캐리어R, T16R, LVT-4R, LVT(A)-4R, M113A1C/R, AMX-VCIR, AMX-VTTR, AMX-10P, VHM, BvS 10
차량오토바이폴라리스 스포츠맨 400 ATV, 야마하 XTZ660 Ténéré, 카기바 T4
소형VBL, PVP, 푸조 P4, 랜드로버 디펜더, 포드 레인저, 포드 에베레스트, 르노 캉구 · 트래픽 III, 아라비스
트럭포드 V3000G/R, 르노 케락스 · TRM 10000 CLD · GBC 180, VTL G290, CBH 385 막시 CLD,
ACMAT VLRA, 스카니아 R580, 시수 E-테크 480
자주포자주곡사포M8 스콧R, M40R, M41 고릴라R, AMX-105 Mk.61R, M4 (105)R, AMX Mk F3R, AU-F1, CAESAR
자주박격포AML-60R, VTM-120, {그리폰 MEPAC}
대공 차량자주대공포LVT-4 BoforsR, AMX-13 Œil NoirR, VAB VDAA T20
단거리 대공미사일크로탈 R-440, AMX-30 롤랑, 롤랑 CAROL
다연장로켓LRU
페이퍼 플랜 및 프로토타입FCM 12t, 바티뇰-샤티옹 12t, 바티뇰-샤티옹 25t, ELC 프로젝트, ERAC, MARS 15, 로르 RPX 시리즈
로르 VPX 시리즈, 벡스트라, FCM 50t, AMX-50, 소뮤아 SM, AMX M4, 로렌 40t, AMX-32, AMX-40
AMX CDC, 로렌 CA, 포슈, CDC 앙리, AMX-10M ACRA, MARS 15, AMX-13 DCA 40, AMX-30 자벨로, AMX-30 DCA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G: 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C: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9:45:20에 나무위키 스카니아 PRT-레인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 속 사양은 770S 트랙터.[2] 롱노즈, 어뢰 캡(Torpedo Cab)... 이라고도 부른다.[3] T시리즈의 경우 1976년부터 생산된 역사깊은 라인업이다. 이전 모델인 스카니아 3시리즈, 4시리즈를 거쳐 5시리즈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된 것.[4] 공식적으로는 단종되었지만 싸제에프터마켓 형식으로 T캡 개조를 해주는 회사들이 있기때문에 6시리즈나 2세대 모델 T캡도 존재하긴 한다. 대표적인 T캡 개조 회사로는 네덜란드블래스투인 B.V.가 있다.[5] 중량물 수송 라인업 코드.[6] 특히 그릴색상. V8 모델은 검은색, 일반 직렬 모델은 회색으로 구분된다.[7] 2013년에는 유로6 사양 적용. 유럽 배출가스 기준 문서를 보면 알수 있지만 유럽에서 유로6 기준은 2014년이 돼서야 발령되었다. 이미 1년 전부터 유로규제 대응을 준비했다는 것. 발등에 불 떨어져서야 유로6 기준 충족시킨다고 모델 임시단종까지 시키는 국내랑은 좀 많이 다르다[8] 이 타이틀은 이듬해 9월 볼보트럭이 750마력 / 362 kgf·m D16 엔진을 출시하면서 빼앗겼다가 2020년 9월달에 훨씬 더 강력한 770마력 / 377 kgf·m DC16 엔진을 출시하면서 다시 받아왔다.[9] 당연히 모두 디젤엔진이다.[10] Enhanced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 유로5 기준에서 미세먼지(PM) 기준을 0.02g/kWh 이하로 강화시킨 등급.[11] 370마력 옵션이 추가되었다.[12] 현재 스카니아에서 생산중인 유로6 DC09, DC13 엔진은 SCR로만, 유로6 DC16 엔진(105, 106, 107 모델)은 SCR + EGR 조합으로 환경규제를 통과했었다.[13] 더욱 놀라운 것은, 이번 엔진부터는 EGR도 없다는 것이다. 마력수는 증가한 반면, 유로 6D라는 엄청나게 빡센 배기가스 규제는 SCR로만 충족시켰다는 소리. 역시 기술력이 외계인 고문 수준이다[14] 확장된 부분은 캡 후면 스포일러에 가려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측면에서 볼 경우 크게 달라진 부분이 없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15] 상대적으로 손대기 쉬운 그릴 라이트는 차주가 직접 부품을 구해다가 DIY로 개조해서 다니는 경우도 왕왕 보이는데, 당연히 등화류 불법개조로 취급된다(...) 차량검사 할때만 슬쩍 원복해서 통과하는 꼼수 루프 라이트는 손대기 위해 톱질이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에 영구적 손상) 사실상 개조가 불가능하다.[16] 탱커 샤시와 XT 덤프 모델에서만 출시.[17] 암롤 샤시 모델에서만 출시.[18] 트랙터 모델만 판매[19] 특장전용 8x4 샤시 모델 단독 판매, 트랙터 모델은 단종.[20] 540마력은 2021년형에서 덤프 모델 단독으로 출시되었으나 2023년 2월 이후에 6x2/4 사양의 트랙터로 출시될 예정이다.[21] 덤프 엔트리[22] 준대형 6x2샤시[23] 트랙터, 10×4/6샤시[24] 8×4/4샤시[25] 8×4 덤프[26] 트랙터[27] 6×4 샤시[28] 탱커 샤시[29] 덤프 엔트리[30] 암롤 샤시[31] 커민스 ISB엔진 베이스[32] 차세대 시티와이드와 인터링크에서 공용 파츠로 사용 중이다.[33] 해당 사건에 R450이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