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F XF

덤프버전 : (♥ 0)

파일:DAF_logo.png
파일:DAF_XF_430.jpg
{{{#fff XF}}}

1. 개요
2. 역사
2.1. 95XF (1997)
2.1.1. 차량 옵션
2.2. XF95 (2002)
2.2.1. 차량 옵션
2.3. XF105 (2005)
2.3.1. 차량 옵션
2.4. XF (2012)
2.4.1. 차량 옵션
2.5. XF (2017)
2.5.1. 차량 옵션
2.6. XF (2021)
2.6.1. 차량 옵션
3. 등장 매체
4. 둘러보기


DAF XF

1. 개요[편집]


미국 파카 Inc 산하의 네덜란드 DAF에서 1997년부터 생산 중인 대형트럭/트랙터 라인업.


2. 역사[편집]



2.1. 95XF (1997)[편집]


파일:DAF_95XF.jpg

기존의 DAF 95(1987)를 기반으로 개량을 거쳐 최상급 라인업으로 출시한 모델. 명칭 뒤에 추가로 붙은 XF는 'Extra Forte'[1]의 머릿글자이다.

1998년 '올해의 트럭(International Truck of the Year)'을 수상하였다.


2.1.1. 차량 옵션[편집]


  • 엔진
엔진기관 형식배기량최대 출력최대 토크유로규제
XF 280 M직렬 6기통12.6리터381마력179 kgf·m유로2
XF 315 M428마력194 kgf·m
XF 355 M483마력209 kgf·m
VF 390 M[2]14리터530마력240 kgf·m


2.2. XF95 (2002)[편집]


파일:DAF_XF95.jpg

투박했던 외관이 조금씩 세련되지기 시작했고, 운전석 대시보드 디자인이 새롭게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PACCAR 엔진을 채택했다.


2.2.1. 차량 옵션[편집]


  • 엔진
엔진기관 형식배기량최대 출력최대 토크유로규제
XE 280 C직렬 6기통12.6리터381마력179 kgf·m유로3
XE 315 C428마력199 kgf·m
XE 355 C483마력214 kgf·m
XE 390 C530마력240 kgf·m

캡 종류실내 높이캡 전장캡 전폭엔진 터널
슈퍼 스페이스2,105 mm2,250 mm2,490 mm150 mm
스페이스1,735 mm


2.3. XF105 (2005)[편집]


파일:DAF_XF105.jpg

슈퍼 스페이스 캡의 외관이 바뀌었는데, 벨기에의 파츠 전문 제조업체인 인두폴(Indupol International)에서 루프 디자인을 맡았다. 전체적으로 XF 2002보다 깔끔해진 인상으로, 투박하고 각졌던 외모를 많이 탈피했다.

2007년 '올해의 트럭'을 수상하였다.


2.3.1. 차량 옵션[편집]


  • 엔진
엔진기관 형식배기량최대 출력최대 토크유로규제
MX 300직렬 6기통12.9리터410마력204 kgf·m유로5
MX 340460마력235 kgf·m
MX 375510마력255 kgf·m

캡 종류실내 높이캡 전장캡 전폭엔진 터널
슈퍼 스페이스2,105 mm2,250 mm2,490 mm150 mm
스페이스1,735 mm


2.4. XF (2012)[편집]


파일:DAF_XF106.jpg

XF105의 후속작으로, 캡 디자인은 XF105의 것을 약간만 손보고 그대로 이어받으면서 전면부는 더 곡선적이고 부드러운 형태의 디자인으로 변화시킨 페이스리프트 모델에 가깝다. 이 때부터 유로 6를 지원한다.

전작인 XF105, 동급 모델을 아우르는 명칭인 XF와 구별하기 위해 "XF106", "XF Euro 6"[3] 등의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공식 명칭은 그냥 "DAF XF"이다.공식 홍보책자 해당 세대부터 XF의 뒤에 번호를 붙이는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XF"로 이름을 통일했다.[4]


2.4.1. 차량 옵션[편집]


  • 엔진
엔진기관 형식배기량최대 출력최대 토크유로규제
MX-11 320직렬 6기통10.8리터435마력214 kgf·m유로6
MX-13 30312.9리터412마력204 kgf·m
MX-13 340462마력235 kgf·m
MX-13 375510마력255 kgf·m

캡 종류실내 높이캡 전장캡 전폭엔진 터널
슈퍼 스페이스2,105 mm2,250 mm2,490 mm150 mm
스페이스1,735 mm


2.5. XF (2017)[편집]


파일:DAF_XF106_FL.jpg

앞서 출시된 XF의 마이너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하향/상향등의 위치변경(기존이 위였다면 이번엔 아래), 실내트림 추가, 계기판 등에 소소한 변경이 있었고, 신규 엔진 라인업이 신설되었다. 2018년 '올해의 트럭'을 수상하였다.


2.5.1. 차량 옵션[편집]


  • 엔진
엔진기관 형식배기량최대 출력최대 토크유로규제
MX-11 330직렬 6기통10.8리터449마력235 kgf·m유로6
MX-13 31512.9리터428마력
MX-13 355483마력255 kgf·m
MX-13 390530마력265 kgf·m

캡 종류실내 높이캡 전장캡 전폭엔진 터널
슈퍼 스페이스2,105 mm2,250 mm2,490 mm150 mm
스페이스1,735 mm


2.6. XF (2021)[편집]


파일:DAF_XF_430.jpg

한국시간으로 2021년 6월 9일 오후 10시에 공개되었다. 1987년에 등장한 DAF 95 이후 동일한 레이아웃을 우려먹었던 기존 모델들과는 완전히 기본 설계부터 다른, 무려 34년 만에 풀체인지 된 모델이다. 다만 단일 부품들의 경우 여전히 원가 절감의 흔적이 보이는데, 자세히 보면 후방 캡 사이드 도어 요소수통은 구형 XF의 레이아웃을 그대로 가져왔으며 후미등도 구형과 똑같다. 일부 인테리어 요소 또한 그대로 가져왔다.[5] 한편 상위 모델로 전고가 더 높은 평바닥 캡 모델인 XG와 XG+ 라인업이 신설되면서 이제 XF 라인업은 DAF의 플래그십 타이틀을 내려놓게 되었다.

상위 모델인 XG와 함께, 새롭게 수정된 유럽의 상용차 관련 규정인 (EU) 2019/1892[6]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충족시킨 최초의 모델이다.[7] 또한 DAF 최초로 모든 거울들이 카메라로 대체된 미러캠+풀스크린 클러스터 적용모델이다. 2021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했다.

2022년 '올해의 트럭'을 수상하였다.


2.6.1. 차량 옵션[편집]


  • 엔진
엔진기관 형식배기량최대 출력최대 토크유로규제
MX-11 270직렬 6기통10.8리터367마력199 kgf·m유로6D
MX-11 300408마력219 kgf·m
MX-11 330449마력240 kgf·m
MX-13 31512.9리터428마력235 kgf·m
MX-13 355483마력255 kgf·m
MX-13 390530마력275 kgf·m

캡 종류실내 높이캡 전장캡 전폭엔진 터널
데이??2,500 mm175 mm
슬리퍼?2,290 mm
슬리퍼 하이1,830 mm


3. 등장 매체[편집]


  • 파일:external/b89698972fd979954351f2d657afd6e764a2e354796bd857496710a540143379.jpg
트럭 & 트레일러(Trucks & Trailers)에서 XF105 모델이 등장한다.

  • 파일: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jpg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에서 XF105와 XF 유로 6(2012), XF(2023) 모델이 등장한다.

  • 웹툰 자판귀 44화 에서 흰색 XF95 모델이 잠깐 등장한다. 영광이 성원에게 장난을 치다가 성원이 해당트럭에 교통사고를 당하게 된다.

  • 명탐정 코난 20기 극장판 순흑의 악몽 : 진한 녹색의 2005년형 XF105 모델이 트래픽카로 나온다. 고속도로 추격전에서 코너 구간에서 주행중이다 드리프트를 하는 3대의 차량들을 피하려다 중앙 분리대를 박으면서 리타이어.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3 05:20:53에 나무위키 DAF XF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랑스어로 "Extra Strong", 즉 "더 강한"을 뜻한다.[2] 커민스 N14 모델이다.[3] 대표적 예시로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가 있다.[4] 이전 세대의 95XF, XF105는 공식 명칭이 맞다.[5] 다만 차량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잘 보이지 않는 부품들을 이전 모델이나 다른 제조사의 것을 그대로 가져와 적용하는 경우는 매우 흔하다. 어차피 구조 설계만 동일할 뿐 부품 자체는 매번 새로 생산하므로 실제 작동 성능에는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 대표적 예시로 엔진 자체를 포함한 대부분의 내부 부품들이 전부 모기업 BMW의 것인 롤스로이스가 있다.[6] 2020년 9월부터 발령, 연비 향상 및 충돌사고 발생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유선형 디자인+크럼플 존의 확장) 트랙터의 전장 제한이 완화되었다. 쉽게 말해 차량한계가 더 널널해졌다는 뜻.[7] 프로토타입 중에는 테슬라 세미처럼 길쭉한 유선형 롱노즈 모델도 있었는데, 공기역학 효율이 겨우 1% 밖에 증가하지 않는 반면, 차량 중량 증가와 운전자 시야, 차량 기동성의 악영향이 더 크다고 결론이 나면서 롱노즈 모델로의 개발은 취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