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덤프버전 :




ISU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파일:ISU 쇼트트랙.jpg
최초 개최지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말뫼(1997)
최근 개최지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그단스크(2023)
차기 개최지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그단스크(2024)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드레스덴(2025)

1. 개요
2. 역사
3. 역대 종합 우승자
3.1. 여자부
3.1.1. 메달 집계
3.2. 남자부
3.2.1. 메달 집계
4. 최다 우승자
4.1. 메달 집계
5. 역대 대회


1. 개요[편집]


ISU에서 주관하는 대회로 매년 1월에 개최한다. 유럽 국가 소속의 선수들만 출전할 수 있다.[1]


2. 역사[편집]


1997년에 처음 시행되었으며 개최지는 매년 바뀐다. 당시 유럽은 쇼트트랙 불모지였기에 이탈리아가 초강세를 보였다. 남자부에서는 이탈리아의 파비오 카르타와 니콜라 로디가리가 각각 7회, 5회 우승했고 여자부에서는 불가리아의 전설 라다노바가 5연패와 7회 우승이라는 업적을 이뤘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쇼트트랙이 세계평준화가 되었고 러시아, 네덜란드, 헝가리, 영국 등 다른 유럽 국가들의 기량이 상승해 예전 만큼 한 나라가 압도적인 모습은 나오기 힘들다. 그리고 이 경쟁은 다시 유럽 선수들의 기량 상승의 원천이 된다.


3. 역대 종합 우승자[편집]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 1회(1997년) ~ 26회(2022년)
[ 펼치기 · 접기 ]

1회1997 말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리넬라 칸클리니15회2011 헤이렌베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
2회1998 부다페스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리넬라 칸클리니16회2012 믈라다볼레슬라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
3회1999 오버스트도르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리넬라 칸클리니17회2013 말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
4회2000 보르미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18회2014 드레스덴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요린 테르모르스
5회2001 덴 하흐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19회2015 도르드레흐트파일:영국 국기.svg 엘리스 크리스티
6회2002 그르노블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20회2016 소치파일:영국 국기.svg 엘리스 크리스티
7회2003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21회2017 토리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
8회2004 주테르메이르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22회2018 드레스덴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
9회2005 토리노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보로둘리나23회2019 도르드레흐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10회2006 크르니차즈드루이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24회2020 데브레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11회2007 셰필드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25회2021 그단스크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12회2008 벤츠필스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26회2022 드레스덴취소COVID-19
13회2009 토리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
14회2010 드레스덴파일:체코 국기.svg 카테르지나 노보트나

종합 우승제 폐지: 27회(2023년) ~
[ 펼치기 · 접기 ]

27회2023
그단스크
5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벨기에 국기.svg 하너 데스멋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1500m파일: 국기.svg
28회2024
그단스크
500m파일: 국기.svg 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3.1. 여자부[편집]


역대 유럽선수권 여자부 종합 순위
199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97파일:스웨덴 국기.svg 말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리넬라 칸클리니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엘렌 위거파일:러시아 국기.svg 엘레나 티카니나
1998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리넬라 칸클리니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앙케 야니 랜드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엘렌 위거
-
1999파일:독일 국기.svg 오버스트도르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리넬라 칸클리니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모런 데 랑게

200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0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보르미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티아 지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브리나 로디가리
200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덴 하흐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라 지니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테파니 부비에
2002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르노블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라 지니파일:영국 국기.svg 조안나 윌리엄스
2003파일:러시아 국기.svg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테파니 부비에파일:러시아 국기.svg 니나 예브테예바
2004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주테르메이르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보로둘리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타 카푸르소
200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보로둘리나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타 카푸르소
2006파일:폴란드 국기.svg 크르니차즈드루이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티아 지니
2007파일:영국 국기.svg 셰필드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테파니 부비에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티아 지니
2008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벤츠필스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파일:러시아 국기.svg 니나 예브테예바
200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파일:체코 국기.svg 카테르지나 노보트나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테파니 부비에

2010년대
[ 펼치기 · 접기 ]
2020년대
[ 펼치기 · 접기 ]




3.1.1. 메달 집계[편집]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유럽선수권 여자부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1171452
2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19121142
3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97016
4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791329
5파일:영국 국기.svg 영국35614
6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4814
7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15612
8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539
9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1132
10파일:체코 국기.svg 체코1102


3.2. 남자부[편집]


역대 유럽선수권 남자부 종합 순위
199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97파일:스웨덴 국기.svg 말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미르코 부일레르민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루노 로스코스
1998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미켈레 안토니올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데이브 버스티그
-
1999파일:독일 국기.svg 오버스트도르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프란체스키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미켈레 안토니올리

200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0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보르미오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영국 국기.svg 니키 구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프란체스키나
200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덴 하흐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루노 로스코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키스 유퍼만스파일:영국 국기.svg 니키 구치
2002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르노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루노 로스코스
2003파일:러시아 국기.svg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미켈레 안토니올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프란체스키나
2004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주테르메이르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프란체스키나
200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독일 국기.svg 아리안 나크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프란체스키나
2006파일:폴란드 국기.svg 크르니차즈드루이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벨기에 국기.svg 피터 지셀
2007파일:영국 국기.svg 셰필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파일:벨기에 국기.svg 피터 지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리 콘포르톨라
2008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벤츠필스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하랄드 실로우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닐스 케르스트홀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
200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하랄드 실로우스파일:헝가리 국기.svg 빅토르 크노치

201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10파일:독일 국기.svg 드레스덴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콜라 로디가리파일:프랑스 국기.svg 티보 포코네파일:프랑스 국기.svg 막심 샤테니에
201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헤이렌베인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하랄드 실로우스[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파일:러시아 국기.svg 루슬란 자카로프
2012파일:체코 국기.svg 믈라다볼레슬라프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닐스 케르스트홀트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2]
2013파일:스웨덴 국기.svg 말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프레이크 판데르바르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에프
2014파일:독일 국기.svg 드레스덴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닐스 케르스트홀트 [3]
2015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도르드레흐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2016파일:러시아 국기.svg 소치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린 샨도르파일:프랑스 국기.svg 빈센트 잔
201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린 샨도르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2018파일:독일 국기.svg 드레스덴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블라디슬라브 비카노프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2019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도르드레흐트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린 샨도르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1] 티보 포코네가 종합 1위였으나 도핑에 적발된 후 무효 처리가 되었다.[2] 티보 포코네가 종합 3위였지만 도핑에 적발된 후 무효 처리가 되었다.[3] 싱키 크네흐트가 종합 3위였지만 빅토르 안에게 중지를 들어올리는 욕을 해서 박탈당했다.
2020년대
[ 펼치기 · 접기 ]




3.2.1. 메달 집계[편집]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유럽선수권 남자부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281040
2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1216432
3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914528
4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991432
5파일:영국 국기.svg 영국25613
6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259
7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2114
8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2811
9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0213
10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0134
11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0011


4. 최다 우승자[편집]


선수우승우승 연도
남자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7회1997, 1998, 1999, 2000, 2002, 2003, 2005
여자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7회2000, 2001, 2002, 2003, 2004, 2006, 200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7회2008, 2009, 2011, 2012, 2013, 2017, 2018


4.1. 메달 집계[편집]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유럽선수권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43282394
2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28261872
3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0192665
4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10201141
5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97016
6파일:영국 국기.svg 영국5101227
7파일:독일 국기.svg 독일441220
8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2114
9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71119
10파일:체코 국기.svg 체코1102
11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1034
12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0213
13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0134
14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0011


5. 역대 대회[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8:48:10에 나무위키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이스라엘과 터키 선수들은 아시아 대륙에 속하지만 유럽선수권에 출전한다. 이는 다른 빙상종목도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