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비오 카르타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파비오 카르타
Fabio Carta
파일:파비오 카르타.jpg
출생1977년 10월 6일 (45세)
파일:Piemonte_c_a.png 피에몬테 주 파일:토리노.png 토리노
국적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신체172cm, 73kg
종목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1500m

1. 개요
2. 선수 경력
3. 평가
4. 수상 기록
4.1. 월드컵 성적



1. 개요[편집]


이탈리아의 前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다. 총 3번의 올림픽(1998, 2002, 2006)에 출전한 경력이 있다.


2. 선수 경력[편집]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계주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유럽 지역 한정으로 그의 유럽선수권 우승 기록이 설명해주 듯 경쟁자가 없을 정도로 명실상부 최강자였다. 여자 선수들인 예브게니야 라다노바, 아리안나 폰타나와 함께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4연패 기록은 남자부 한정으로 역대 최고 기록이다. 국제대회에서도 그의 전성기였던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까지는 정상급 기량의 선수였지만, 하필이면 김동성, 리자쥔, 마크 가뇽, 아폴로 안톤 오노 등 너무 뛰어난 선수들과 동시대에 활동하던 선수라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에서는 좋은 커리어를 쌓기에는 난이도가 너무 높았다.[1] 1995-96 시즌 처음으로 시니어 대표팀으로 선발되어 2007-08 시즌 이후 은퇴했다. 은퇴 이후에는 오랫동안 그의 그늘의 가려졌었던 니콜라 로디가리가 이탈리아 남자 대표팀 에이스 자리를 이어 받았다.


2.1.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편집]


1500m 결승에서 4위[2]를 기록했었고, 당시 '금메달 강탈' 사건에 대해 "김동성이 실격 당한 건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오노를 비난했고 해외 쇼트트랙 관련 인물 중에는 거의 유일하게 개념발언을 한 인물이다.[3] 당시 미국은 9.11 테러를 겪은지 얼마 안된 이후라, 미국에서 열린 올림픽 덕에 애국심이 들끓어 오른 상태였는데 파비오 카르타의 발언이 기사로 나가자 그는 남은 올림픽 기간 동안 미국 언론에게 엄청난 몰매를 맞았다.[4]


3. 평가[편집]


폭발적인 스퍼트와 좋은 스타트 능력이 있었고 스프린터임에도 불구하고 준수한 지구력도 겸비해 주종목이 딱히 없었을 정도로 모든 종목을 잘타던 선수였으며[5], 월드컵에서는 1998-99 시즌에는 500m 랭킹 1위, 2003-04 시즌에는 1500m 랭킹 1위를 달성한적도 있다.


4. 수상 기록[편집]


대회
올림픽010
세계선수권138
세계 팀선수권014
유럽선수권2353
합계241015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월드컵 시리즈 수상성적
월드컵 랭킹2417
월드컵 메달13211347
합계15251454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은메달2002 솔트레이크시티5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1999 소피아1500m
은메달1998 비엔나종합
은메달1998 비엔나1500m
은메달2002 몬트리올500m
동메달1997 나가노5000m 계주
동메달1998 비엔나1000m
3위1998 비엔나3000m
동메달1999 소피아종합
동메달1999 소피아500m
3위1999 소피아3000m S.F.
동메달2000 셰필드5000m 계주
동메달2002 몬트리올종합
3위2002 몬트리올3000m S.F.
동메달2004 예테보리1000m
동메달2004 예테보리5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은메달2005 춘천단체전
동메달1996 레이크플래시드단체전
동메달1998 보르미오단체전
동메달2000 부다페스트단체전
동메달2007 부다페스트단체전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금메달1997 말뫼종합
금메달1997 말뫼1000m
금메달1997 말뫼3000m
금메달1998 부다페스트종합
금메달1999 오버스트드로프종합
금메달1999 오버스트드로프5000m 계주
금메달2000 보르미오5000m 계주
금메달2000 보르미오종합
금메달2002 그르노블종합
금메달2002 그르노블5000m 계주
금메달2002 그르노블1000m
금메달2002 그르노블1500m
1위2002 그르노블3000m S.F.
금메달2003 상트페테르부르크5000m 계주
금메달2003 상트페테르부르크종합
금메달2003 상트페테르부르크500m
금메달2003 상트페테르부르크1500m
1위2003 상트페테르부르크3000m S.F.
금메달2004 주테르미에르5000m 계주
금메달2004 주테르미에르1000m
금메달2005 토리노종합
금메달2005 토리노500m
금메달2006 크루니차즈드루이5000m 계주
금메달2006 크루니차즈드루이1000m
1위2006 크루니차즈드루이3000m S.F.
금메달2008 벤츠필스5000m 계주
은메달1998 부다페스트5000m 계주
은메달2004 주테르메이르종합
은메달2004 주테르메이르1500m
은메달2005 토리노1500m
은메달2006 크르니차즈드루이종합
동메달1997 말뫼5000m 계주
동메달2002 그르노블500m
동메달2003 상트페테르부르크1000m
3위2005 토리노3000m S.F.


4.1. 월드컵 성적[편집]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우승 기록
500 m 1위1998-99 시즌
1500 m 1위2002-03 시즌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랭킹우승2위3위포디움
종합0112
500 m 랭킹1001
1000 m 랭킹0101
1500 m 랭킹1203
합계2417
월드컵 메달포디움
개인전 합계11141136
계주27211
메달합계13211347
랭킹 + 메달 합계15251454


[1] 더군다나 그의 커리어 황혼기에는 역대 최고의 스케이터로 평가받는 안현수가 등장했다.[2] 5번째로 결승선을 통과했지만 김동성의 실격으로 순위가 4위로 올라갔다.[3] 김동성의 실격 덕에 동메달 대신 은메달을 딴 리자쥔은 심판진의 결정의 수긍한다는 말만 남겼고, 4위에서 어부지리로 동메달을 딴 마크 가뇽 또한 별다른 코멘트를 하지 않았다.[4] 아폴로 오노는 이 내용을 또 비틀어 파비오 카르타가 본인에게 울먹이며 사과했다는 소설을 자서전에 쓰기도 했다.[5] 같은 나라의 여자 후배인 아리안나 폰타나가 이런면에서 그와 비슷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7:41:10에 나무위키 파비오 카르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