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상운

덤프버전 :

파일:송파구 CI.svg 서울특별시 송파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남성버스동성교통[a]대성운수서울버스
송파상운진화운수한국brt[b]한서교통
공항리무진서울공항리무진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동부운수승원여객[a]신흥기업영동교통
[a] 송파구 이외 지역에 면허를 둔 업체 / [b] 주간선버스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송파상운 주식회사
松坡商運 株式會社
Songpa Sang-woon Corp.
설립일1970년 9월 14일
업종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이종언
주요 주주이봉현: 96%
이흥현: 4%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중소기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직원 수285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2억 7,75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289억 1,158만 2,728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2억 9,619만 3,968원(2022년 기준)
순이익-1억 2,441만 1,487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354억 3,829만 6,120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63억 4,308만 7,525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21.80%(2022년 기준)
소재지본사 - 서울특별시 송파구 성내천로63길 3 (마천동)[1]
강일영업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 426 (강일동, 강동공영차고지)
장지영업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충민로6길 61-29 (장지동, 장지공영차고지)

1. 개요
2. 상세
2.1. 차고지 부지 재개발 관련
3. 면허 체계
3.1. 타 회사 출신 면허
4. 운행 노선
4.1. 마천동본사 소속
4.2. 강동영업소 소속
4.3. 장지영업소 소속
5. 폐지 혹은 철수된 노선
6. 보유차량
7. 지배구조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송파구 성내천로63길 3(마천동)에 위치한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이다.


2. 상세[편집]


1970년 시영버스 노선을 불하받아 수도교통이라는 사명으로 설립했다.

1988년 4월 1일 사망자 19명, 부상자 35명의 천호대교 버스 추락 사고 이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1997년 12월에 마천동~서울종합운동장을 운행하던 555-2번을 테헤란로 경유 강남역 회차로 연장하였다

천호동 일대에서 테헤란로까지 한 번에 쏴준다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2]다 보니 제일생명앞(현 교보타워, 신논현역) 기준 01:00에 막차가 출발하는 심야 노선이 되면서 말 그대로 돈을 쓸어담았다. 회사 쪽에서도 테헤란로 연장을 신의 한 수로 생각한 건지, 연장 직전까지만 해도 무냉방 연두색 BS105L로 운행하던 걸 연장 당일 바로 로얄시티 냉방형 신차로 갈아치웠을 정도였다.[3]

하지만 555-2번은 2004년 버스 개편 때 공중분해되는데, 이때 단독 운행 구간인 서하남입구 구간만 살려놓은 채 3214번에 통폐합되었으며[4] 심야에 3214번 3대를 빼서 심야시간에 한해 운행했다.[5]

2004년 주간선 컨소시엄 출자 때 메트로버스에 출자했으며[6] 대부분의 차량이 자일대우버스로 구성되어 있으나, 2007년 이후로는 당시 계열사에 인수 후 현대자동차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도입했다.

2014년 3월 17명의 사상자를 낸 송파 버스사고 이후에도 현대차를 동년 10월에 출고하여 370번에 투입했다.

마천동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나 서울승합 공동배차 노선은 강동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노선도 있으며 370번의 경우 아웃송파 노선이다. 3320번 때문에 3321번은 공동 배차하게 되었으며, 370번은 대원여객과 메트로버스와 함께 공동배차 하던 것이 메트로버스 영업소 철수로 공동배차를 시작했다. 또한 장지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3314, 3315번도 있다. 마천동 기점 노선들은 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마지막 운행 종료 후 공차회송하는데, 노선별로 가스 충전 장소가 다르다. 3416번은 장지공영차고지에서 가스 충전을 하며 3214, 3316, 3317번은 송파공영차고지에서 가스 충전을 하고 마천동 소속 일부 운휴 차량들은 송파공영차고지에서 주박한다.

버스 노선 중 유일한 간선 노선인 370번을 제외하면 지선버스를 중심으로 운행하고 있다.

이 회사의 주 차량면허 중에서 20대 이상이 흥안운수로 넘어갔는데 574번을 구 신우교통으로 넘겨서 그렇게 되었다. 신우교통이 흥안운수 계열로 편입된 뒤 합병되면서 그대로 이어졌다.

내부에 디지털 시계가 철거된 차량들이 많으며[7] 대부분의 서울시 버스 회사들이 서울시 공지가 나온 이후 후면 BLU를 철거하였으나 이 회사는 오랫동안 후면 BLU를 철거하지 않았다가 공동예비차를 제외하고 후면 BLU를 철거하였다.

2022년에는 3416번에는 전기버스, 370번에는 수소전기버스를 투입한다. 전기버스 충전소는 마천동본사에 설치하였고, 수소 충전은 대원여객과 마찬가지로 상일초등학교 근처에 있는 저장식 부생수소 충전소에서 진행한다. 차종은 전기&수소전기 모두 일렉시티로 나온다.

2024년에는 강동공영차고지에도 전기버스 충전소를 설치했고 370번, 3318번에도 전기버스를 투입한다. 이번 도입분은 일렉시티 뿐만 아니라 하이퍼스1611P도 나왔다.

2023년 3월 1일부터 현금승차 폐지 확대운영 업체로 선정되어 교통카드가 있어야 버스를 탈 수 있다.


2.1. 차고지 부지 재개발 관련[편집]


거여마천뉴타운 사업으로 마천동, 거여동 일대 재개발이 추진되어 진행중인데, 이는 해당 지구인 거여 2-2 지구에 송파상운 차고지 또한 포함되었다. 송파상운이 부지에서 나오지 않아 분양절차가 진행되지 않음으로서 막대한 손해를 보고 있다고 전해진다.

2017년 8월 23일 오전 11시에 거여 2-2 재개발 조합측에서 집행을 위해 송파상운으로 왔다. 서울시는 이 사태를 대비하여, 며칠 전부터 송파구와 인근구에 위치한 운수사들에게 공문을 전달하였고, 이들 업체의 예비차를 투입하여 송파상운 소속 노선들을 대체 운행한다고 했다. 그리고 207억 원 정도의 보상금을 지급한다고 한다.

2017년 8월 23일 철거 용역과 버스기사 간의 재개발갈등 충돌이 있었다.

송파상운과 조합, 서울시 측에 갈등 7시간 만에 합의하여 사태는 일단락되었다. 기존 차고지 부지의 일부는 개발을 위해 조합에서 가져가고 일부는 32개월 동안 송파상운에서 사용하도록 유예기간을 가진다. 그리고 유예기간 동안 서울시는 최선을 다해 대체부지를 찾는다는 내용이다.

2017년 8월 24일 첫차부터 정상 운행한다.

2017년 9월에 박원순 서울시장은 마천3구역에 공영 차고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확정했으며, 그 곳에 송파상운이 들어선다고 밝혔다. 언제부터 사용할 예정이냐는 서울시 의원의 질문에는 2022년부터 쓸 것이며 시에서 버스 차고지의 이전에 지원을 해줄 수 있다고 답변했다.

2019년 10월에 차고지 이전 계획이 발표되었는데, 정확한 위치가 4318번 풍납동 차고지로 밝혀졌다.

3대를 유상감차하고 3314번3315번은 장지공영차고지에 정식으로 입주하는 것으로 결정났다. 출발 및 가스충전만 장지공영차고지에서 하고 운휴차량 주박은 송파공영차고지나 올림픽공원 주차장으로 공차회송을 가는 듯 하다. 밤늦게 올림픽공원역과 그 인근에서 실내등을 전부 끄고 다니는 차량들을 다수 목격할 수 있다.

마천동 본사는 3317번 종점인 남한산성입구로 이전했다.


3. 면허 체계[편집]


  • 서울 70 사 9501 ~ 9503, 9608 ~ 9609, 9616 ~ 9617, 9621 ~ 9623
    • 송파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 서울 71 사 1806 ~ 1812, 1933, 1935
    • 송파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8]
  • 서울 74 사 4901 ~ 4999호
    • 송파상운 주 면허.[9]


3.1. 타 회사 출신 면허[편집]


  • 서울 70 사 9706호
    • 송파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정확히는 서울승합 면허로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1 사 2236, 2245, 2247호
    • 강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정확히는 영인운수 면허로,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1210, 1213, 1217, 1233, 1242, 1244, 1250, 1268, 1270호
    • 경성여객 출신 면허. 구.132-1번을 인수하면서 받았다.
  • 서울 74 사 1624호
    • 대진여객 면허. 우신운수가 구.86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다. 이후 우신운수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3050호
    • 구.삼선버스 면허. 구.삼선버스가 구.205번 운영권을 북부운수로 넘겨주면서 받은 면허다.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3812, 3849호
    • 구.상원여객(구.동아여객) 면허. 구.삼선버스상진운수의 구.24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다. 후에 서울승합과 흡수합병되면서 서울승합으로 넘어갔다가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4189, 4297호
    • 서울승합 면허.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4143, 4172, 4182호
    • 서부운수 면허. 서부운수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4346호
    • 대원교통 면허.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5408호
    • 구.신원교통 면허. 구.삼선버스가 구.9-1번(김포교통의 구.9-1번과는 무관)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다. 후에 서울승합과 흡수합병되면서 서울승합으로 넘어갔다가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5900호
    • 신촌교통 면허. 신촌교통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6166 ~ 6167, 6169, 6171 ~ 6173, 6181호
    • 구.신한교통(구.선진교통) 출신 면허. 구.23번을 인수하면서 받았다.
  • 서울 74 사 6645호
    • 구.안성여객 면허. 폐업되면서 대원교통으로 넘어갔다가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6925호
    • 영인운수 면허.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9026, 9039, 9042 ~ 9043, 9056, 9060, 9081, 9091호
    • 구.영동교통 출신 면허. 구.555-2번을 인수하면서 받았다.
  • 서울 74 사 9147호
    • 태화상운 면허. 대원교통이 서울면허 노선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다.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9584호
    • 구.화곡교통 면허. 구.풍양운수와 통합되면서 넘어온 면허다.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10]
  • 서울 74 사 9732호
    • 구.서울시영버스 면허. 북부운수가 구.205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다. 2010년에 컨소시엄을 탈퇴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9811호
    • 대성운수 면허. 서부운수가 이문동영업소를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이나 서부운수의 감차과정에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9908호
    • 서울버스 면허. 구.우성버스가 구.555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다. 후에 구.영동교통이 구.555-2을 신설하면서 구.영동교통으로 넘어갔다가 구.555-2번을 인수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4. 운행 노선[편집]



4.1. 마천동본사 소속[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3214남한산성입구마천동금호어울림아파트 - 마천동사거리 - 오금공원사거리 - 올림픽공원역 - 강동역 - 천호역 - 강동구청역 - 올림픽대교강변역10~15
3316마천동금호어울림아파트 - (→ 파크데일아파트 →) - 마천동사거리 - 오륜사거리 - 둔촌오륜역 - 강동역천호역9~15
3317마천역.송파파크센트럴 - 거여초등학교 - 가락동미륭아파트 - 가락시장 - 석촌역잠실역8~11
3416마천동금호어울림아파트 - 거여역 - 가동초등학교 - 경찰병원 - 가락시장 - 수서역 - 세곡동사거리은곡마을입구10~13


4.2. 강동영업소 소속[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370[공동배차1]강동공영차고지강일리버파크 - 고덕천교차로 - 초이동 - 강동역 - 천호역 - 광나루역 - 군자역 - 답십리역 - 동대문구청 - 동대문 - 종로1~6가 - 광화문충정로역1~6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3318[공동배차2]강동공영차고지강동리버스트상가 - 상일동역 - 한영중고.한영외고 - 명일역 - 암사역 - 천호역 - 올림픽회관 - 잠실나루역 - 잠실역 - 송파나루역 - 오금역 - 거여역 - 마천동사거리마천동10~13
3321[공동배차2]고덕자이아파트 - 상일동역 - 한영중고.한영외고 - 명일역 - 천동초교삼거리 - 천호역 - 강동구청역강동구청11~15


4.3. 장지영업소 소속[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3314장지공영차고지호반써밋송파 - 포레나송파 - 마천역 - 거여초등학교 - 오금역 - 석촌역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119안전센터 - 삼전역종합운동장10~15
3315호반써밋송파 - 거여역 - 마천동금호어울림아파트 - 마천동사거리 - 오금역 - 송파나루역 - 잠실역.롯데월드 - 삼전역삼전동6~10


5. 폐지 혹은 철수된 노선[편집]


  • 3214 (서하남IC 경유) : 2005년 천호동으로 단축 후 3316번으로 변경
  • 3313 : 한서교통과 공동 배차하다가 2010년 3318번 신설을 위해 철수
  • 3415 : 마천동 남한산성입구 - 삼성역(잠실역 단축과 함께 3317번으로 변경)


6. 보유차량[편집]



6.1. 현재 보유차량[편집]



6.1.1. 자일대우버스[편집]



6.1.2. 현대자동차[편집]



6.1.3. 하이거[편집]




6.2. 과거 보유차량[편집]



6.2.1. 자일대우버스[편집]



6.2.2. 현대자동차[편집]



6.2.3. 기아[편집]




7. 지배구조[편집]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지분율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봉현96.00%[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흥현4.00%[12]


8.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강남구도선여객정평운수
강동구서울승합
강북구동아운수선일교통삼양교통
영신여객한성운수
강서구공항버스김포교통영인운수
정평운수다모아자동차
관악구관악교통보성운수한남여객운수
광진구신흥운수
구로구군포교통보성운수서울매일버스
태진운수
금천구범일운수보영운수신인운수
노원구삼화상운진아교통태릉교통
한성여객흥안운수
도봉구서울교통네트웍아진교통
마포구다모아자동차유성운수
서대문구서부운수신촌교통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대흥교통삼성여객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태진운수대원교통대원여객
성북구대진여객도원교통동성교통
상진운수성원여객
송파구남성버스동성교통대성운수
서울버스송파상운진화운수
한국brt한서교통
양천구관악교통도원교통세풍운수
신길교통양천운수중부운수
은평구보광교통신수교통선진운수
원버스유성운수제일여객
종로구동해운수
중랑구경성여객대원교통메트로버스
보광운수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동작구영등포구용산구
서울특별시 관외에 영업소를 둔 시내버스 회사
광명시범일운수보영운수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동해운수서울매일버스선진운수
신촌교통제일여객신수교통
부천시신길교통
안양시서울매일버스
군포시·의왕시군포교통대원여객우신버스
성남시남성버스동성교통
의정부시·양주시대원여객제일여객
파주시신수교통제일여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56:25에 나무위키 송파상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상법상 본점 주소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마천로41길 28 (마천동)이다.[2] 당시 8호선은 모란~잠실까지만 개통된 상태였고, 버스를 타고 잠실까지 가서 2호선으로 갈아타는 방법은 혼잡도가 너무 높았다.[3] 로얄시티의 공식 출시는 1998년 4월이지만, 1997년 12월에 이미 시제품이 나와 있었고 송파상운에서 이걸 대거 사들였다.[4] 방이역을 지나던 571번은 3214번 방이역 경유 노선으로, 555-2번은 3214번 서하남입구 경유 노선으로 운행한 것.[5] 마천동 기점 기준 23:00/23:30/24:00 강남 제일생명앞 막차는 01:00이었다.[6] 2010년 7월에 컨소시엄에서 탈퇴하면서 370번의 공동 배차를 시작했다. 이후 일부 차량들은 재도색되어 지선노선으로 넘어가 증차되기도 했다.[7] 상진운수 일부 차량도 마찬가지이다. 2020년 이후에 뽑은 현대 개선형 저상버스는 디지털 시계를 유지하고 있다.[8] 1933호는 구 서울 74사 4953호, 1935호는 송파 버스사고 피해차량이였던 구 서울 74사 9580호였다.[9] 4901호는 흥안운수로 넘어갔기 때문에 사실상 4902호부터 시작한다.[10] 9580호는 송파 버스사고 때문에 71사 1935호로 전환되었다.[공동배차1] 대원여객과 공동배차[공동배차2] A B 서울승합과 공동배차[11] 상진운수 공동대표이사[12] 상진운수 공동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