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부산광역시)/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부산광역시 서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서구·동구서구 전역 + 동구 전역
시의원서구 1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서구 2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1동, 남부민2동, 암남동

2. 개요[편집]


김영삼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다.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 7선(분구 전의 사하구 지역 포함)을 한 지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3당 합당 이전에는 야세(통일민주당)가 강했다.

파일:external/img1.daumcdn.net/20170510152857992ltht.jpg
또한 노무현문재인이 지역사회에 이름을 알린 계기가 된 노무현·문재인 합동법률사무소(법무법인 부산)가 부민동에 위치하고 있었다.[1] 김영삼과 문재인, 대통령을 두 명이나 배출한 경남고등학교가 동대신동에 자리한다. 두 대통령 모두 고등학교 시절을 서구에서 보낸 것. 하지만 3당 합당과 고령층 인구 증가로 인해 보수적인 지역구가 되었다. 17대부터 20대까지 유기준이 이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새누리당 후보가 민주통합당 후보를 55 vs 29로 더블스코어 차이로 누를 만큼 보수정당 강세지역이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이후 재보궐로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 홍준표가 1위를 차지했다. 한때 부산 전 지역을 더불어민주당 문재인이 가져올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이 있었지만, 이곳을 비롯해 동구와 중구 역시도 홍준표가 1위를 했는데, 이 결과를 통해 구도심은 홍준표, 나머지는 문재인이 선택되었다는 것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홍준표는 총 7개의 동에서 40%를 넘겼는데 서구의 동들 중에 채 절반이 되지 않았고, 서대신4동, 부민동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수영구와 같이 자유한국당 소속이 구청장을 하는 단 둘 뿐인 구가 되었다.[2], 단 비례대표와 광역단체장에선 민주당이 승리를 거뒀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미래통합당 소속 前 부산일보 사장이었던 안병길 후보가 이재강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대학교 캠퍼스, 평지, 신축 아파트와 산동네, 달동네, 구축 건물들의 정치 성향이 확연히 다른 곳이기도 하다. 산동네 거주민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동대신1동, 동대신2동, 아미동, 초장동, 남부민1동, 남부민2동은 보수 정당의 득표율이 높은 반면[20대], 재개발 아파트단지가 있거나 대학가를 낀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암남동은 상대적으로 민주당 득표율이 조금 더 잘 나오는 편이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역대 서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서구
13대
ta-hash-start=w-c7b86021bc60e4fa90a836c2005c4247[[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삼8선
14대
ta-hash-start=w-e4c446f4b7669022a2bd89128a7dbc1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곽정출3선
15대
ta-hash-start=w-ac07a80f7d2efd74172e9148b1c25db0[[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인길초선[3]
1998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정문화초선
16대재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기준초선
18대
무소속

재선
19대
ta-hash-start=w-604f2c31e67034642b288d76a8df11d5[[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선
서구·동구
20대
ta-hash-start=w-db16e6aa171501bccfa39eb059e278c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기준4선
21대
ta-hash-start=w-f2ea68d7f8c88649a31393a0f9459930[[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안병길초선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역대 서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자유당무소속한나라당한나라당
변익규김영오박극제
201420182022
새누리당자유한국당국민의힘
박극제공한수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ta-hash-start=w-d4197b447fce767a5b4179700aa4693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변익규 40.12%

2위:
무소속

김영오 30.27%
3위:
무소속

이송학 29.60%
1998년1위:
무소속

김영오 47.28%

2위:
무소속

변익규 33.34%
3위:
ta-hash-start=w-0954173523b13b9dc8c4978a954fd0b0[[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최기복 19.37%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영오 100.00%[1]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극제 59.44%

2위:
무소속

김영오 40.55%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극제 무투표 당선
2014년1위:
ta-hash-start=w-8ed927a2472c548a5e7dcfa2bcd14227[[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극제 61.07%

2위:
무소속

유승우 38.92%
2018년1위:
ta-hash-start=w-a75f274ac99b6274a53e1134c76dac8b[[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공한수 47.7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진영 44.17%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공한수 65.43%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진영 30.24%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부산광역시장[편집]

서구
부산 서구 일원
정당
ta-hash-start=w-019665ab81a95464a25e2bf069f942f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무소속

후보문정수노무현김현옥
득표수45,56529,9188,756
득표율53.39%35.06%10.26%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31,457
투표 수87,524
무효표 수2,195
투표율66.60%

3.1.1.2. 서구청장[편집]

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변익규(卞益圭)33,9951위

ta-hash-start=w-7f7884a41d8cd08c91314fce7f13dd1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0.12%당선
2김영오(金永五)25,6512위

무소속

30.27%낙선
3이송학(李松鶴)25,0833위

무소속

29.60%낙선
선거인 수131,457투표율
66.14%
투표 수87,524
무효표 수2,795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부산광역시장[편집]


3.1.2.2. 서구청장[편집]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부산광역시장[편집]


3.1.3.2. 서구청장[편집]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부산광역시장[편집]


3.1.4.2. 서구청장[편집]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부산광역시장[편집]


3.1.5.2. 서구청장[편집]



3.1.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6.1. 부산광역시장[편집]


3.1.6.2. 서구청장[편집]



3.1.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부산광역시장[편집]

서구
서구 일원[부산서구]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57db0091dc94a8b439cf5e46fc5dfd2[[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
득표수27,91922,7601,6701,091913
득표율51.36%41.87%3.07%2.0%1.67%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97,123
투표 수55,377
무효표 수1,024
투표율57.02%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부산 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7,919
(51.36%)
22,760
(41.87%)
1,670
(3.07%)
1,091
(2.0%)
913
(1.67%)
+5,159
(△9.49)
57.02%
동대신1동45.38%49.25%2.37%1.67%1.33%▼3.87[4]59.56
동대신2동45.14%48.15%3.34%2.05%1.32%▼3.0153.90
동대신3동50.11%42.67%3.45%2.24%1.53%△7.4458.25
서대신1동52.34%41.45%3.03%1.95%1.23%△10.8957.24
서대신3동52.18%41.63%3.20%1.89%1.10%△10.5559.27
서대신4동54.31%39.34%3.28%1.52%1.55%△14.9762.93
부민동54.27%38.40%3.73%2.43%1.16%15.8756.29
아미동46.27%46.24%2.38%2.26%2.85%△0.03[5]47.63
초장동45.01%48.13%2.61%2.15%2.10%▼3.1248.70
충무동46.83%46.31%3.0%2.13%1.73%△0.52[6]53.44
남부민1동45.32%49.37%2.37%1.16%1.77%4.0552.80
남부민2동49.71%44.53%2.16%1.70%1.90%△5.1852.0
암남동51.94%41.30%2.73%1.96%2.06%△10.6450.33
후보오거돈서병수이성권박주미이종혁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45.36%37.70%10.38%3.28%3.28%△7.66
관외사전투표66.61%24.87%4.21%2.51%1.80%41.74

3.1.7.2. 서구청장[편집]

서구
서구 일원[부산서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진영(鄭鎭永)23,8792위
44.17%낙선
2공한수(孔漢壽)25,8111위
47.74%당선
6김만근(金晩根)9364위
1.73%낙선
7유승우(柳昇佑)3,4343위
6.35%낙선
선거인 수97,123투표율
57.01%
투표 수55,372
무효표 수1,312

7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부산 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정진영공한수김만근유승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3,879
(44.17%)
25,811
(47.74%)
936
(1.73%)
3,434
(6.35%)
-1,932
(▼3.57)
57.01%
동대신1동42.32%51.47%1.34%4.87%▼9.1559.48
동대신2동40.06%51.51%1.55%6.88%▼11.4553.89
동대신3동45.0%46.09%1.27%7.64%▼1.09[7]58.19
서대신1동44.23%45.56%1.26%8.95%▼1.33[8]57.22
서대신3동45.15%45.97%0.89%7.98%▼0.82[9]59.27
서대신4동48.09%43.23%1.19%7.49%△4.8662.85
부민동50.85%42.24%1.60%5.31%8.6156.26
아미동37.25%53.21%2.08%7.46%▼15.9647.61
초장동36.14%54.63%2.39%6.84%▼18.4948.68
충무동39.81%52.99%1.97%5.23%▼13.1853.43
남부민1동34.45%58.89%2.26%4.40%24.4452.78
남부민2동38.44%54.42%1.94%5.20%▼15.9852.0
암남동41.25%51.68%2.70%4.37%▼10.4350.30
후보정진영공한수김만근유승우격차
거소·선상투표49.15%34.46%7.34%9.04%△14.69
관외사전투표62.72%29.62%1.43%6.22%33.10

3.1.8.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서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격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16,029
(32.27%)
32,323
(65.07%)
-16,294
(▼32.80)
동대신1동28.35%68.81% ▼40.46
동대신2동29.68%67.49% ▼37.81
동대신3동33.17%64.31% ▼31.14
서대신1동33.18%64.24% ▼31.06
서대신3동33.23%64.20% ▼30.97
서대신4동35.68%63.35% ▼27.67
부민동[10]33.04%64.18% ▼31.14
아미동30.59%66.88% ▼36.29
초장동28.73%69.01% ▼40.28
충무동28.56%69.24% ▼40.68
남부민1동28.59%69.80% ▼41.21
남부민2동31.12%66.83% ▼35.71
암남동32.13%65.44% ▼33.31
거소투표38.68%47.59% ▼8.91
관외사전투표41.57%55.31% ▼13.74

3.1.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9.1. 부산광역시장[편집]

8회 지선 서구 개표 결과
부산광역시장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변성완박형준(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898
(30.06%)
31,635
(68.42%)
- 17,737
(▼38.36)
47,053
(50.36%)
동대신1동27.30%71.28%▼43.9851.16
동대신2동27.27%71.25%▼43.9847.64
동대신3동[A]29.78%68.60%▼38.8150.44
서대신1동[B]31.97%66.60%▼34.6350.60
서대신3동[C]31.25%67.53%▼36.2748.94
서대신4동[D]32.07%66.79%▼34.7253.44
부민동[E]31.65%66.43%▼34.7845.43
아미동26.63%71.29%▼44.6643.71
초장동26.02%72.43%▼46.4143.46
충무동[F]26.64%72.03%▼45.3945.58
남부민1동25.21%73.45%▼48.2451.03
남부민2동27.78%70.79%▼43.0146.72
암남동[G]28.49%69.85%▼41.3544.73
후보변성완박형준격차
거소투표37.01%59.09%▼22.09
관외사전투표40.45%57.90%▼17.44
국회의원
선거구
변성완박형준격차투표율
서구·동구[H][11]29.43%69.13%▼39.6947.87


3.1.9.2. 서구청장[편집]

서구청장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정진영공한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900
(30.24%)
30,076
(65.43%)
- 16,176
(▼35.19)
47,052
(50.36%)
동대신1동28.35%67.87%▼39.5251.18
동대신2동27.73%68.70%▼40.9747.64
동대신3동[A]31.49%64.25%▼32.7650.49
서대신1동[B]32.63%62.50%▼29.8650.59
서대신3동[C]31.83%63.39%▼31.5648.98
서대신4동[D]33.18%62.83%▼29.6453.46
부민동[E]32.89%62.67%▼29.7845.44
아미동27.50%68.05%▼40.5543.71
초장동25.25%69.28%▼44.0243.46
충무동[F]27.26%67.94%▼40.6745.60
남부민1동24.51%70.74%▼46.2251.03
남부민2동24.08%71.62%▼47.5346.71
암남동[G]27.12%69.13%▼42.0144.73
후보정진영공한수격차
거소투표36.05%55.78%▼19.72
관외사전투표41.39%54.86%▼13.46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부산 서구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35,84369,7608,9872,372
득표율30.59%59.53%7.66%2.02%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136,220
투표 수119,222
무효표 수2,050
투표율87.50%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부산 서구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85,15112,4956,1368,378
득표율75.05%11.01%5.40%7.38%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138,816
투표 수114,643
무효표 수1,199
투표율82.60%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부산 서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52,15213,79626,080
득표율55.77%14.75%27.89%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123,982
투표 수95,096
무효표 수1,587
투표율76.70%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부산 서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55,48021,4272,118
득표율69.98%27.02%2.67%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259,347
투표 수80,008
무효표 수729
투표율68.90%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부산 서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8,31439,6201,5663,02511,967
득표율12.78%60.94%2.40%4.65%18.40%
순위3위1위5위4위2위
선거인 수109,489
투표 수65,288
무효표 수278
투표율59.60%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부산 서구 일원[서]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48,12926,426
득표율64.28%35.2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03,696
투표 수75,140
무효표 수271
투표율72.50%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서구 일원[부산서구]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24,52226,36011,8684,9133,131
득표율34.46%37.04%16.68%6.90%4.40%
순위2위1위3위4위5위
선거인 수98,536
투표 수71,446
무효표 수298
투표율72.51%

19대 대선 부산 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4,522
(34.46%)
26,360
(37.04%)
11,868
(16.68%)
4,913
(6.90%)
3,131
(4.40%)
-1,838
(▼2.58)
72.51%
동대신1동29.96%43.19%15.97%7.0%3.50%▼13.2374.84
동대신2동31.50%41.32%16.84%6.50%3.50%▼9.8270.39
동대신3동34.20%37.15%16.24%7.62%4.56%▼2.9574.61
서대신1동34.24%37.19%16.52%7.12%4.56%▼2.9573.48
서대신3동35.57%36.37%16.20%6.97%4.54%▼0.80[12]77.14
서대신4동35.73%35.08%17.16%7.34%4.52%△0.65[13]77.54
부민동37.34%32.68%15.44%9.11%4.98%4.6674.71
아미동29.59%41.66%17.43%6.33%4.21%▼12.0761.30
초장동29.21%43.74%16.87%5.66%3.58%▼14.5362.42
충무동31.80%41.97%15.91%6.15%3.86%▼10.1770.95
남부민1동28.99%46.01%16.25%4.92%3.25%17.0266.87
남부민2동31.83%41.54%16.72%5.92%3.31%▼9.7165.62
암남동34.05%36.21%18.37%6.49%4.30%▼2.1670.50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5.53%20.92%27.79%5.44%4.58%△7.74
관외사전투표45.10%23.69%16.07%8.33%6.29%△21.41
재외투표55.53%11.52%14.75%5.30%12.44%40.78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서구·동구[14][15]34.15%37.57%16.78%6.59%4.43%3.4272.79%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서구
서구 일원[부산서구]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25,15441,470
득표율36.39%60.0%
순위2위1위
선거인 수94,117
투표 수69,786
무효표 수674
투표율74.15%

20대 대선 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5,154
(36.39%)
41,470
(60.00%)
- 16,316
(▼23.61)
69,786
(74.14%)
동대신1동33.82%62.06%▼28.2375.76
동대신2동32.71%63.62%▼30.9169.99
동대신3동[A]36.08%60.45%▼24.3775.44
서대신1동[B]37.24%59.54%▼22.2975.00
서대신3동[C]37.05%59.62%▼22.5774.69
서대신4동[D]38.68%58.14%▼19.4677.20
부민동[E]37.49%58.05%▼20.5673.42
아미동33.47%62.70%▼29.2263.12
초장동32.29%63.71%▼31.4265.46
충무동[F]32.80%64.04%▼31.2470.65
남부민1동31.82%64.94%▼33.1168.63
남부민2동35.66%60.61%▼24.9567.13
암남동[G]36.63%60.21%▼23.5868.88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36.52%56.08%▼19.57
관외사전투표42.00%53.88%▼11.87
재외투표58.44%36.82%△21.6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서구·동구[H][16]35.61%60.90%▼25.2971.33


3.3. 총선[편집]



3.3.1. 서구 (13~19대)[편집]




3.3.2. 서구·동구 (20대~)[편집]



21대 총선 서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서구·동구)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강안병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6,189
(42.22%)
34,815
(56.13%)
- 8,626
(▼13.91)
63,012
(65.28%)
[ 펼치기 · 접기 ]

동대신1동38.53%59.44%▼20.9167.72
동대신2동37.60%60.74%▼23.1463.56
동대신3동[*A ]41.59%56.57%▼14.9867.80
서대신1동[*B ]43.62%55.21%▼11.5965.33
서대신3동[*C ]41.31%57.09%▼15.7868.97
서대신4동[*D ]45.05%53.74%▼8.6970.66
부민동[*E ]45.98%52.88%▼6.9065.38
아미동39.21%58.49%▼19.2855.88
초장동38.52%59.73%▼21.2056.33
충무동[*F ]39.18%59.13%▼19.9562.98
남부민1동37.63%60.76%▼23.1459.12
남부민2동39.30%58.92%▼19.6260.66
암남동[*G ]40.99%57.56%▼16.5758.07
후보이재강안병길격차
거소·선상투표43.87%49.31%▼5.44
관외사전투표54.42%43.61%△10.81
재외투표65.06%32.53%△32.53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28,139
(47.08%)
15,712
(26.28%)
3,872
(6.47%)
3,398
(5.68%)
2,619
(4.38%)
+ 12,427
(△20.79)
63,038
(65.22%)
[ 펼치기 · 접기 ]

동대신1동47.40%25.36%5.03%5.49%3.12%△22.0467.70
동대신2동50.21%23.07%5.72%5.59%3.98%△27.1463.56
동대신3동[*A ]47.28%25.80%6.17%6.14%5.11%△21.4867.78
서대신1동[*B ]46.11%26.69%7.42%6.08%4.67%△19.4265.35
서대신3동[*C ]47.64%25.36%6.87%6.02%4.95%△22.2868.99
서대신4동[*D ]43.16%27.94%7.56%7.14%4.93%△15.2270.67
부민동[*E ]44.04%28.04%7.36%6.39%4.34%△16.0065.38
아미동49.61%25.10%6.66%4.87%2.91%△24.5155.89
초장동51.49%24.73%6.16%4.27%2.62%△26.7656.33
충무동[*F ]50.81%25.44%5.47%5.56%3.40%△25.3763.00
남부민1동54.62%23.58%4.93%3.79%2.79%△31.0559.12
남부민2동51.21%24.74%5.91%4.89%3.79%△26.4760.67
암남동[*G ]48.90%25.67%5.70%5.45%4.40%△23.2358.06
정당
ta-hash-start=w-dfbd682ae356d6db8440bfc465fd2d96[[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e14e58299bc41e7fb10c701130c5cb27[[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e34cf17184ef9fcf93dc1d4514df71f6[[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21ea0396c61ba3b8f89aa0a75a1a36a7[[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dcca3fb7d92465f056f7ab9b5d28f5b8[[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36.72%22.54%9.45%3.63%3.27%△14.18
관외사전투표34.92%32.67%8.01%6.19%7.23%△2.25
재외투표28.71%32.67%4.95%3.96%16.83%▼3.96







[1] 해당 법무법인은 부산지방법원거제동으로 이전하면서 근처의 부산법조타운으로 따라갔다.[2] 반면 다른 원도심인 중구, 동구, 영도구는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이 구청장을 싹쓸이했다가 윤종서 중구청장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해서 2020년 재보궐선거 이후에는 미래통합당 소속 후보가 당선되어 3명으로 늘어났다.[20대] 대선 기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 더블 스코어 격차로 승리했다.[3] 97.12.26. 의원직 상실 (뇌물수수)[부산서구] A B C D [4] 불과 93표 차이였다.[5]1표 차로 순위가 갈렸다.[6] 불과 22표 차이였다.[7] 불과 38표 차이였다.[8] 불과 65표 차이였다.[9] 불과 33표 차이였다.[10] 박형준 후보가 동아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했던 동아대 부민캠퍼스가 위치한 동이다. 이곳은 부산 서구에서 눈에 띄게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곳이나 이번 투표에서는 그렇지 않았다.[A] A B C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가 있는 동네[B] A B C 법정동 서대신동1~2가. 대신 푸르지오가 있는 동네[C] A B C 대신 롯데캐슬이 있는 동네[D] A B C 대신 더샵이 있는 동네[E] A B C 법정동 부민동1~3가 · 부용동1~2가.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가 있는 동네[F] A B C 법정동 충무동1~3가 · 토성동1~5가[G] A B C 고신대학교 송도캠퍼스가 있는 동네[H] A B 관외투표 제외[11] 지역구 국회의원 : 안병길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서] 부민동,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암남동,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남부민1동, 남부민2동[12] 불과 41표 차이였다.[13] 불과 27표 차이였다.[14]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유기준[15] 관할 동 : 서구 전역 및 동구 전역[16] 지역구 국회의원 : 안병길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